출산 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산전후휴가제도

2.육아휴직제도

3.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인지도

4.모성보호제도 이용현황

5.정부정책

6.모성보호제도의 효과

본문내용

사업체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287개 사업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직장보육시설, 수유시간 등 여성 친화적 프로그램을 도입한 기업일수록 생산성이 높고 이직률이 낮다는 실증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유 교수는 조사대상 사업장별로 도입하고 있는 여성 친화적 프로그램 수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해당 기업의 1인당 생산성과 월평균 이직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1가지 추가 도입할 경우 근로자 1인당 매출액이 103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간 이직률은 0.9%p 낮아진다고 밝혔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여성 친화적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일수록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유연성이 증가하여 결국 생산성도 높아진다는 가설이 선진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증명된 것”이라고 밝혔다.
* 참고문헌
여성공무원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의 확보방안
_한국정책학회 2005년도하계공동학술대회발표 논문집(I); 금창호, 박기관
우리나라 모성보호제도의 실시현황과 개선방안
_ 한국여성개발원_2003 연구보고서 230-19 ; 김홍태, 김난주
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lab.go.kr/
연합뉴스 2007-03-06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9.1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