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스미스슨의 조형작품 세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문
1. 대지미술
2. 로버트 스미스슨
3. 스미스슨의 작품세계

Ⅲ. 정리

본문내용

이다. 그에게서 언어는 문자적 의미화와 비유적 의미화 사이에서 작용한다. 그것은 언어를 항상 발전하는 과정, 즉 단어들의 시간화로 보는 견해이다. 스미스슨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진 측면 중 하나는 역설적으로 숭고에 대한 낭만주의적 환기를 창조하기 위하여 반 낭만주의적, 반 숭고적 자세를 강력하게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의 작품에서 숭고는 무의미한 인간 현존과 관련지어 구조화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인 자연의 광대함 가운데서 상실된 열성적인 인간 현존과 관련지어 구조화되는 것이다. 그의 조각은 전반적인 모더니즘 미술 내에서 모순적이며 심지어는 대립적인 경향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연유로 그는 뒤샹 계열에서 벗어나 폴록의 계열에도 흥미를 느끼는 등 유럽의 모더니즘 전통에서 벗어나는 작가와 미술형식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나선형 방파제>는 엔트로피의 상징으로서 뿐만 아니라 반 엔트로피의 상징으로서도 제작되었다. 크라우스는 <나선형 방파제>가 시간에서 프루스트(Proust)적 경과의 윤곽을 그린다고 제안하는 반면에, 차일즈는 최초 기원으로의 시간 여행을 포함하여 나선형을 연속적, 통합적 시간의 전형으로 해독한다. 이러한 해독들은 비록 이미지들, 엔트로피의 작용들과 공존한다고 할지라도 작품 내에 잔존하는 시간 반전이나 非 엔트로피의 힘으로도 연결된다. 상대적인 시간-공간은 스미스슨의 작품에서는 반복되는 주제이다. 그것들은 수세기의 기나긴 공간을 나타내는데 있어서보다는 차라리 초 단위로까지 분할되는 시간의 체계적 환원에 관계한다. 이러한 그의 변증법은 후기 마르크스주의이며, 동시에 후기 헤겔주의의 양면성을 띠고 있다.
Ⅲ. 정리
어릴 적 만들어 놀던 두꺼비집이 생각난다. 놀이터에서 신나게 뛰어 놀다가 숨이 가빠오면 조금 쉬어가는 요량으로 친구들과 모여 한손은 모래 속에 파묻고 다른 한손으로는 열심히 모래를 모아와 덮고, 어느 정도 많이 덮었다 싶어 손을 빼면 두꺼비집 완성! 나는 만들어 놓고도 그 집이 참 마음에 들어 한참을 보면서 두꺼비가 껑충껑충 뛰어 들어갔다 나갔다, 그리고 두꺼비가 나간 그 집으로 내가 들어가 사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었다. 반원의 작지만 구멍이 난 그 집은 나에겐 모래밭 별장, 자연에서의 집으로 느껴지곤 했다.
스미스슨은 현대미술 중 한 분야인 대지미술가로서 자신의 사상을 환경과의 조화로운 추구로 표현하였다. 후기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무분별한 자연의 파괴, 변형, 소멸, 상실 속에서 다시 자연 속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한 그는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최대의 도구인 조형을 통해 만들어갔다. 대형의 대지미술 작품들은 만들었던 그 재료가 있던 자연으로 다시 회귀할 것이다. 본질적으로 자연에서 온 미술도구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그 작품의 과정은 그가 추구했던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며 자연의 흐름을 인공적으로, 조형적으로 옮겨놓았을 뿐이다. 그 작품의 과정은 프랑스 앙드레 시트로앵 공원 내에 있는 ‘움직이고 있는 정원’과 비슷할 것이며 결과는 바로 우리들이 돌아가야 할 그곳, 자연이리라.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들은 나의 어린 시절 두꺼비집처럼, 회색의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편히 지낼 수 있는 휴식처와 같은 곳을 하나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하고 조그맣게 상상해본다.
◇로버트 스미스슨의 작품◇
그림1)
Enantiomorphic Chambers, 1965
그림2)
Alogon #1 (as originally installed)
그림3)
Dallas-Fort Worth Regional Airport Layout Plan : Wandering Earth Mounds and Gravel Paths, 1967
그림4)
Pointless Vanishing Point. 1968
그림5)
Leaning Strata, 1968
그림6)
A Tour of the Monuments of Passic, New Jersey, 1967
그림7)
A Nonsite, Pine Barrens, New Jersey, 1968
그림8)
A Nonsite, Pine Barrens, New Jersey, 1968
그림9)
Nonsite Bayon, New Jersey
그림10)
파사익 유적으로의 여행, 1968
그림11)
Asphalt Rundown, Rome, Italy. 1969
그림12)
Glue Pour, Vancouver, British Columbia, January 1970
그림13)
Spiral Jetty, Great Salt Lake, Utah, April 1970
그림14)
Spiral Hill, Emmen, Holland. Summer 1971
그림15)
깨진 원과 피라미드,1972,Emmen, Holland(Photograph by Peter and Paul Massee)
◇대지미술 화가들의 작품◇
그림1)
리차드롱-사하라 사막에서의 Hoggar와의 6일간의 산책(1998)
그림2)
Christo-덮어씌워진 섬(1980-83)
그림3)
Michael Heizer-꺼냈다가 다시 놓인 덩어리(1969)
◇참고문헌 및 사이트◇
로버트 앳킨스(1994), 알기 쉬운 현대미술의 개념풀이, 시공사
노버트 린튼(1993), 20세기의 미술, 예경
김도경,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나타난 근대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제24집 제2호, 1996, pp.62-73
최병길, “엔트로피 이론에 의한 스미스슨 조각 해설”, 『범한철학』 :제31집, 2003
http://www.artdj.pe.kr/HTML/ModenSculptor_Smithson.htm
http://blog.daum.net/doctor21/5862404
http://blog.naver.com/misulmun49?Redirect=Log&logNo=19588778
http://blog.naver.com/silver6541?Redirect=Log&logNo=120003406282
http://blog.naver.com/misulmun49?Redirect=Log&logNo=20123286
http://archinude.com/architect/shs-junglim.htm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10.0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