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의 독재는 필요악이었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승만의 삶.
2.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3. 독재의 그림자
4. 이승만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오던 부정적 권력에 대한 저항의 의미가 담긴 것이다. 결국 민중의 항쟁으로 정권을 무너뜨린 최초의 사건이었고 국민의 민주화의 요구를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이승만에 대한 평가
우리에게 이승만은 건국의 아버지보다는 분단의 ‘원흉’이나 장기집권의 독재자로 기억되고 있다. 그가 통치한 1950년대는 잿빛 이미지로 다가온다. 전쟁, 가난, 부패, 퇴폐, 혼란, 독재 등이 그 시대의 이미지였다. 그 중심에는 이승만이 있다. 이승만은 장기집권이라는 정치적 과오로 인해 지금은 독재자로 인식되어 있다. 이승만을 국부로 칭송만 하는 것도 문제지만, 분단의 장본인이나 영구 집권의 독재자 정도로 폄하만 하는 것도 문제이다. 우리에게는 이 두 극단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그 당시 시대적 조건과 과제에 견주어 이승만을 올바르게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으로서 근대 국민국가 건설의 과제를 훌륭하게 수행했다.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점령하고 있고 양국간에 냉전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그는 남한만의 단정수립이라는 차선책을 택하는 결단을 내렸다. 그는 해방 직후 좌우이념의 혼란기에 빠르게 냉전 질서의 정착을 간파하였다. 그리고 단독 정부 수립 구상을 통해 반공 노선을 관철할 수 있었던 것은 동서양의 폭넓은 교양으로 무장된 그의 탄탄한 사상과 현실을 인지하는 탁월한 정치 감각의 합작품이었다. 이것은 냉전이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끝난 현시점에서 그것은 옳은 선택이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정부수립 이후 그는 농지분배와 전쟁 그리고 반공에 대한 강조를 통해 38선 이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한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만들었다. 그리고 부산정치파동은 분명 그의 권력연장을 위한 친위쿠데타였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전쟁정책을 둘러싼 한국과 미국 사이의 갈등이라는 측면과 당시 한국 실정에 적합하지 못한 내각제를 거부하고 대통령제를 강화시켜 국가적 권위를 확립한다는 측면도 있었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이룩한 급속한 경제성장도 이승만 정권 때 기본적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에 이룰 수 있었다. 만약에 1950년대에 교육 확대를 통해 인력을 길러 놓지 않고, 사회 복구 과정에서 나름대로 사회 간접자본을 형성하지 못했더라면 1960년대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가능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승만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건국에 이바지했으며, 그 나라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근대 국민 국가 건설의 과제를 원만히 수행했다. 그리고 한국정치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국민들의 정체성을 찾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정권 말기에 영구 집권을 위해 독재정치를 행했던 일은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다. 그렇다고 그 일로 인해 이승만의 업적까지 내팽개쳐 버리고 그의 전체를 독재자라고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우리는 역사나 인물의 한 단면만을 보고 평가해 버리는 나쁜 버릇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잘못된 평가를 사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므로 한 단면만을 보고 평가하는 자세는 버리고 양면 전체를 보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08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