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段階(Introduction)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최종적 본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硏究方法(Methods)
1. 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硏究結果(Results)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硏究結果에 대한 論議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結論(Conclusions)
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2. 앞으로의 타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최종적 본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硏究方法(Methods)
1. 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硏究結果(Results)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硏究結果에 대한 論議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結論(Conclusions)
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2. 앞으로의 타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본문내용
표집을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연구문제 대해 어느 정도의 답변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은 “설문조사를 행할 때 보상이 있으면 설문조사의 신뢰도가 더 높아진다.”라 할 수 있다.
연구를 하는데 있어 설문조사 방법은 널리 쓰이고 또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얻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연구내용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에 대해 별다른 반성조차 없이 실험을 하고 있다. 설문조사 한 내용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임에 틀림이 없다. 설문조사 결과가 믿을 수 없다면 연구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설문조사를 할 때 신뢰도를 최대한 높이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며, 설문조사의 신뢰도 문제를 보상으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보상이 설문조사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나타났지만, 보상이 있고 없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보상이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있어, 얼마나 보상이 되는가, 즉 보상의 정도가 더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2. 앞으로의 他硏究를 위한 提言(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우리는 설문조사를 행할 때 보상이 설문조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고 실험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행한 연구는 여러 가지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시간과 노력의 문제로 서울대학생 만을 표집하여 실험을 실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표집집단을 확대함으로써 설문조사와 신뢰도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느냐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명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타대학생이라든지, 더 나아가 직업, 지역에 따른 다른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험을 실시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비용 상의 문제로서 우리는 실험집단을 높고, 낮음 두 가지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는데, 좀 더 많은 비용이 들더라도 보상의 정도를 다양화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보상이 설문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겠다. 실험결과에서는 낮은 보상과 무보상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는데,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보상이 피험자들에게 높은 보상으로 인식되는지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보상이라는 변인만을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더 연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실험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이다. 심리학과 김청택 교수님에게 자문을 구했었는데, 교수님께서는 이러한 신뢰도는 성별이나 나이 또는 형제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이야기 해주셨다. 우리 조는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험을 하려고 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인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제약점 등으로 인하여 이에 대해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앞으로 연구를 통하여 여러 가지 변인들과의 관계도 밝혀야 할 것이다.
학문은 현상을 기술하고, 이러한 현상에 대해 설명을 하며, 더 나아가 현상을 예측하고, 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행한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있어, 보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현상을 기술하는 차원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우리는 보상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측정하고 이를 검증하였으나, 그것이 어떻게 일어난 일인지, 또 어느 정도의 보상이 얼마만큼의 신뢰도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이 연구를 통해 예측하지 못하였다. 학부생들이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것은 무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더 논의를 진전시켜 이를 연구한다면 설문조사뿐 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보상이 어떠한 행위를 이끌어내는데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보상이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보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참고문헌]
신호철. “설문 조사의 응답률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전략”, 가정의학회지 : 제26권11호. 2005.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2004.
Church AH. Estimating the effect of incentives on mail survey response rates: A meta-analysis. Public Opinion Quarterly 1993.
Fox RJ, Crask MR, Kim J. Mail survey response rate. A meta-analysis of selected techniques for inducing response. Public Opinion Quarterly 1988.
Hopkins KD, Gullickson AR. Response rates in survey researc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onetary gratuit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1992.
James JM, Bolstein R. Large monetary incentives and their effect on mail survey response rates. Public Opinion Quarterly 1992.
[부록] 설문지
*목 차
Ⅰ. 序論段階(Introduction)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최종적 본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硏究方法(Methods)
1. 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硏究結果(Results)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硏究結果에 대한 論議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結論(Conclusions)
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2. 앞으로의 타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연구를 하는데 있어 설문조사 방법은 널리 쓰이고 또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얻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연구내용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에 대해 별다른 반성조차 없이 실험을 하고 있다. 설문조사 한 내용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임에 틀림이 없다. 설문조사 결과가 믿을 수 없다면 연구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설문조사를 할 때 신뢰도를 최대한 높이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며, 설문조사의 신뢰도 문제를 보상으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보상이 설문조사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나타났지만, 보상이 있고 없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보상이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있어, 얼마나 보상이 되는가, 즉 보상의 정도가 더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2. 앞으로의 他硏究를 위한 提言(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우리는 설문조사를 행할 때 보상이 설문조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고 실험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행한 연구는 여러 가지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시간과 노력의 문제로 서울대학생 만을 표집하여 실험을 실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표집집단을 확대함으로써 설문조사와 신뢰도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느냐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명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타대학생이라든지, 더 나아가 직업, 지역에 따른 다른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험을 실시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비용 상의 문제로서 우리는 실험집단을 높고, 낮음 두 가지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는데, 좀 더 많은 비용이 들더라도 보상의 정도를 다양화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보상이 설문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겠다. 실험결과에서는 낮은 보상과 무보상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는데,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보상이 피험자들에게 높은 보상으로 인식되는지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보상이라는 변인만을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더 연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실험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이다. 심리학과 김청택 교수님에게 자문을 구했었는데, 교수님께서는 이러한 신뢰도는 성별이나 나이 또는 형제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이야기 해주셨다. 우리 조는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험을 하려고 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인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제약점 등으로 인하여 이에 대해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앞으로 연구를 통하여 여러 가지 변인들과의 관계도 밝혀야 할 것이다.
학문은 현상을 기술하고, 이러한 현상에 대해 설명을 하며, 더 나아가 현상을 예측하고, 통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행한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있어, 보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현상을 기술하는 차원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우리는 보상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측정하고 이를 검증하였으나, 그것이 어떻게 일어난 일인지, 또 어느 정도의 보상이 얼마만큼의 신뢰도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이 연구를 통해 예측하지 못하였다. 학부생들이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것은 무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더 논의를 진전시켜 이를 연구한다면 설문조사뿐 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보상이 어떠한 행위를 이끌어내는데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보상이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보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참고문헌]
신호철. “설문 조사의 응답률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전략”, 가정의학회지 : 제26권11호. 2005.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2004.
Church AH. Estimating the effect of incentives on mail survey response rates: A meta-analysis. Public Opinion Quarterly 1993.
Fox RJ, Crask MR, Kim J. Mail survey response rate. A meta-analysis of selected techniques for inducing response. Public Opinion Quarterly 1988.
Hopkins KD, Gullickson AR. Response rates in survey researc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onetary gratuit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1992.
James JM, Bolstein R. Large monetary incentives and their effect on mail survey response rates. Public Opinion Quarterly 1992.
[부록] 설문지
*목 차
Ⅰ. 序論段階(Introduction)
1. 연구문제의 제기
2. 시안적 연구문제의 서술
3. 관계문헌의 조사연구
4. 최종적 본연구문제의 서술
5. 검증할 가설의 설정
6. 중요 술어의 정의
Ⅱ. 硏究方法(Methods)
1. 연구계획 또는 설계
2. 자료의 수집
3. 수집된 자료의 검토 및 분석
Ⅲ. 硏究結果(Results)
1. 가설들의 검증결과
Ⅳ. 硏究結果에 대한 論議
1.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2. 연구상의 제한점
Ⅴ. 結論(Conclusions)
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2. 앞으로의 타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조합간부의 리더십훈련 요구분석
비재무적성과측정과 재무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 식음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가 관광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의 소비자 구매행동요인이 구매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론] 조사설계
현장교육연구의 의미와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유형과 특징, 현장교육연구의 가치, 현장교육...
과학탐구(과학적 탐구)의 의미, 과학탐구(과학적 탐구)의 목표, 과학탐구(과학적 탐구)의 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정의 및 예시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건설업체 전기분야를 중심으로-
SPA브랜드- 소비자 만족도,유니클로 SPA 브랜드,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문제의 규명 및 필요정보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조사과정
[심리학연구방법] 삼리학의 연구방법(실험법, 관찰법, 조사법, 검사법, 사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