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 작품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처용랑망해사조

2. 처용가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접근 방법

3. 설화인가 시가인가, 혹은 그 둘 모두인가의 문제

4. 각각의 방법론에 대한 옹호와 비판
1). 문학적인 접근
2). 역사적 접근
3). 민속학적 접근
4). 불교적 접근
5. 발제문 작성자의 견해와 작품론 소개

본문내용

러선다. 노래 부르며 추는 그의 춤사위는 억누르기 어려운 분노의 표현이었기에 매우 굳세고도 격렬한 몸짓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뻬았겼으니 어찌하겠는가”라는 마지막 행의 표현이 화자의 연애관이 묻어나온 것이라고 읽는다. 고대인들의 성생활은 현대인들의 그것보다 훨씬 자유롭고 방랑적이었을 수 있다. 화자는 애정의 대상에 대한 미련이나 집착이 무의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화자를 향한 그 대상의 애정이 식은 상황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서구에서도 고대인들의 성생활은 지금보다 훨씬 덜 억압적이고 덜 규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나 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권력이 성의 관리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미셸 푸코에 따르면 고대는 동성애를 포함한 성적 행위들이 비난 받을 경우는 오직 그것이 그 자신에게 과할 때였다. 자기를 수련하고 배려하다는 측면에서 그것은 비난의 대상이 된 것이다.
다시 그 혹자의 견해에 따르면 처용가는 시적 화자의 행동 및 의식이 ‘밖-안-안-밖’의 구조적인 전개를 이루고 있다. 밖과 안의 대립은 애초에 처용이 놓인 ‘망해’와 ‘신방’의 모순적 상황, 곧 서라벌 밖-서라벌 안의 대립에서 집 밖-집 안의 대립으로 옮아온 것이다. 시대의 모순에 개인의 모순이 중첩된 상황에서 시적 화자의 고뇌가 깊을 수밖에 없다. 이에 사랑의 파탄에 따른 분노의 감정과 함께 팽팽한 의식의 긴장이 작품에서 느껴진다. 요컨대, 이 작품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온 시선이 다시 밖을 향하게 되는 시상의 전개, 시적 화자가 삭이고 있는 분노의 감정과 더러운 상황에서 초월하려는 결연한 의지, 여기에 ‘가랑이 넷’으로 표현된바, 성교를 하고 있는 육체의 심상 등이 얽혀 강렬한 인상을 주고 있다. 간통 사건으로 인한 비탄과 분노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시적 화자의 고뇌가 그려진 사랑의 시라는 것이다.
6. 참고 문헌
고려 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김수경, 2004, 보고사
향가의 해부, 나경수, 2004, 민속원
신라향가론, 김승찬, 1999, 부산대학교
향가의 미학, 신재홍, 2006, 집문당
*목차
1. 처용랑망해사조
2. 처용가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접근 방법
3. 설화인가 시가인가, 혹은 그 둘 모두인가의 문제
4. 각각의 방법론에 대한 옹호와 비판
1). 문학적인 접근
2). 역사적 접근
3). 민속학적 접근
4). 불교적 접근
5. 발제문 작성자의 견해와 작품론 소개
6. 참고 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1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