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명대의 사회경제와 문화의 발달 >
1) 서론
2) 본론
Ⅰ.명대의 상품경제의 발전과 자본주의
1.농업의 발전
2.수공업의 발전
3.상품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번영
4.자본주의 맹아설
Ⅱ.명대의 문화
1.명대 문화특징과 학술
2.사학과 『영락대전』의 편찬
3.문학
4.예술
5.약학과 기술
3) 결론
- 참 고 문 헌 -
1) 서론
2) 본론
Ⅰ.명대의 상품경제의 발전과 자본주의
1.농업의 발전
2.수공업의 발전
3.상품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번영
4.자본주의 맹아설
Ⅱ.명대의 문화
1.명대 문화특징과 학술
2.사학과 『영락대전』의 편찬
3.문학
4.예술
5.약학과 기술
3)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대되었다. 또한 채소의 종류도 늘어나 외국으로부터 고구마, 토마토, 양배추, 고추 등이 들어왔다.
경제작물로는 면화의 재배 면적이 확대되었다. 명대에는 면포가 주요 의료였기 때문에, 면화의 재배가 장려되었을 뿐만 아니라 많이 재배하여도 면세가 되었다. 그리고 면화의 생산지도 강소의 송강(松江)과 하남·하북·산동·산서·섬서성까지 확대되었다. 송강의 경우는 절반 이상을 면화만 재배하였기 때문에 부족된 양식은 외지로부터 구입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미국의 담배도 필리핀을 통하여 복건·광동성에서 재배되다 점차 북방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미국의 땅콩도 강소·복건·절강성 등지에서 재배되었다.
2.수공업의 발전
명 초기의 수공업은 관영 수공업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장호의 신분적 예속관계가 약화되어 어느정도의 자유가 인정되었다. 특히 중기 이후 장호는 반장은(班匠銀)으로 역을 대신하게 하여, 관영수공업은 점차 쇠퇴하고 민영수공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면방직업은 대단히 보편화된 가정 수공업이었다. 명대는 면방직업의 발달로 면화의 수요가 늘어나고, 그 재배가 확대되었다. 명대는 면방직업의 발달로 면화의 수요가 늘어나고, 그 재배가 확대되었다. 사직업은 소주와 항주가 중심지였다. 이때 직기도 요기(腰機)와 제화기(提花機)를 사용하였는데, 제화기는 구조가 복잡하기는 하였으나 각종 문양과 색깔을 넣어 짤 수 있었다. 야철은 대부분 관영이었다. 명대에는 채광시설도 앞 시대보다 발전하여 화약폭파로 채광하였으며, 또 코크스를 사용하여 용광로의 온도를 높였다. 또한 야철기술도 뛰어나 연철에 석탄을 사용하고 목제 풍상(風箱)을 사용하였으며, 연철의 용량도 크게 늘어나 하북 준화(遵花)의 용광로는 높이가 1장 2척, 용량이 2천여 근이나 되었다.
도자기는 경덕진을 중심으로 기술의 혁신을 가져와 취유법(吹釉法)으로 잠유법(釉法)을 대신하여 광택이 더욱 빛났다. 명 초기에 이미 청화자기가 등장하였는데 유약위에 유약을 덧발라 더욱 여러종의 색채를 낼 수 있었다. 초기에는 관영이 많았으나, 후기에는 민영이 관영을 훨씬 초과하였다. 물론 민요의 제품은 판매를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전국 도처로 보급되었다.
제지업은 인쇄술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원료는 죽(竹), 마, 수피(樹皮), 도초(稻草)를 사용하였는데, 안휘성의 선지(宣紙)는 화가들이 애용하였고, 복건·강서성의 연사지(連史紙)와 모변지(毛變紙)는 서적 인쇄에 널리 쓰였다. 이처럼 종이 질의 개선은 인쇄상의 요구를 총족시켰기 때문에 인쇄술은 송·원의 기초 위에 더욱 발전되었다. 이러한 서적 인쇄 이외에도 절강 지구에서는 족보도 인쇄하였다. 활자도 목(木)·동(銅)·석(錫)·연(鉛)활자를 썼는데, 중기 이후는 동활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채색된 목각화도 등장했다.
조선업은 내하의 조운으로 민선이 많았으나 해선의 제조가 뛰어났다. 관영으로 남경의 용강(龍江)조선창이 유명하였는데, 정화의 남해 항해 때 이용된 것도 이곳에서 만든 것이다. 광동과 복건에는 민영 조선창이 있어 해선을 제조하여 해외무역에 활용하였다.
3.상품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번영
명대는 농업경제작물의 재배 면적이 날로 증가하면서 농산품의 상품화가 가속화 되었다. 호주(湖洲)의 많은 농민들은 스스로 양잠을 하기 위하여 뽕나무를 많이 심었던 것이 아니라 뽕잎을 팔기 위하여 심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직업이 발달한 복주(福州)와 소주(蘇州)는 그 원료인 잠사를 호주에 의존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송강의 면직업도 당지에서 면화를 재배하였으나 턱없이 모자라 외지에서 들여와야 했다. 심지어 쌀을 생산하지 않고 다른 경제작물을 재배하여 쌀도 상품화가 되어
경제작물로는 면화의 재배 면적이 확대되었다. 명대에는 면포가 주요 의료였기 때문에, 면화의 재배가 장려되었을 뿐만 아니라 많이 재배하여도 면세가 되었다. 그리고 면화의 생산지도 강소의 송강(松江)과 하남·하북·산동·산서·섬서성까지 확대되었다. 송강의 경우는 절반 이상을 면화만 재배하였기 때문에 부족된 양식은 외지로부터 구입해야 하는 실정이었다. 미국의 담배도 필리핀을 통하여 복건·광동성에서 재배되다 점차 북방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미국의 땅콩도 강소·복건·절강성 등지에서 재배되었다.
2.수공업의 발전
명 초기의 수공업은 관영 수공업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장호의 신분적 예속관계가 약화되어 어느정도의 자유가 인정되었다. 특히 중기 이후 장호는 반장은(班匠銀)으로 역을 대신하게 하여, 관영수공업은 점차 쇠퇴하고 민영수공업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면방직업은 대단히 보편화된 가정 수공업이었다. 명대는 면방직업의 발달로 면화의 수요가 늘어나고, 그 재배가 확대되었다. 명대는 면방직업의 발달로 면화의 수요가 늘어나고, 그 재배가 확대되었다. 사직업은 소주와 항주가 중심지였다. 이때 직기도 요기(腰機)와 제화기(提花機)를 사용하였는데, 제화기는 구조가 복잡하기는 하였으나 각종 문양과 색깔을 넣어 짤 수 있었다. 야철은 대부분 관영이었다. 명대에는 채광시설도 앞 시대보다 발전하여 화약폭파로 채광하였으며, 또 코크스를 사용하여 용광로의 온도를 높였다. 또한 야철기술도 뛰어나 연철에 석탄을 사용하고 목제 풍상(風箱)을 사용하였으며, 연철의 용량도 크게 늘어나 하북 준화(遵花)의 용광로는 높이가 1장 2척, 용량이 2천여 근이나 되었다.
도자기는 경덕진을 중심으로 기술의 혁신을 가져와 취유법(吹釉法)으로 잠유법(釉法)을 대신하여 광택이 더욱 빛났다. 명 초기에 이미 청화자기가 등장하였는데 유약위에 유약을 덧발라 더욱 여러종의 색채를 낼 수 있었다. 초기에는 관영이 많았으나, 후기에는 민영이 관영을 훨씬 초과하였다. 물론 민요의 제품은 판매를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전국 도처로 보급되었다.
제지업은 인쇄술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원료는 죽(竹), 마, 수피(樹皮), 도초(稻草)를 사용하였는데, 안휘성의 선지(宣紙)는 화가들이 애용하였고, 복건·강서성의 연사지(連史紙)와 모변지(毛變紙)는 서적 인쇄에 널리 쓰였다. 이처럼 종이 질의 개선은 인쇄상의 요구를 총족시켰기 때문에 인쇄술은 송·원의 기초 위에 더욱 발전되었다. 이러한 서적 인쇄 이외에도 절강 지구에서는 족보도 인쇄하였다. 활자도 목(木)·동(銅)·석(錫)·연(鉛)활자를 썼는데, 중기 이후는 동활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채색된 목각화도 등장했다.
조선업은 내하의 조운으로 민선이 많았으나 해선의 제조가 뛰어났다. 관영으로 남경의 용강(龍江)조선창이 유명하였는데, 정화의 남해 항해 때 이용된 것도 이곳에서 만든 것이다. 광동과 복건에는 민영 조선창이 있어 해선을 제조하여 해외무역에 활용하였다.
3.상품경제의 발전과 도시의 번영
명대는 농업경제작물의 재배 면적이 날로 증가하면서 농산품의 상품화가 가속화 되었다. 호주(湖洲)의 많은 농민들은 스스로 양잠을 하기 위하여 뽕나무를 많이 심었던 것이 아니라 뽕잎을 팔기 위하여 심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직업이 발달한 복주(福州)와 소주(蘇州)는 그 원료인 잠사를 호주에 의존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송강의 면직업도 당지에서 면화를 재배하였으나 턱없이 모자라 외지에서 들여와야 했다. 심지어 쌀을 생산하지 않고 다른 경제작물을 재배하여 쌀도 상품화가 되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