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존재로서 자신과 만든 자로서 신을 안다.
한편 만들어가야 할 세계는 인간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고통을 요구한다.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사이의 모순을 알고 그 모순을 지양하는 노력, 이것이 자유이다.
Nature의 첫번째 의미: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적 의미에서의 자연.
사물의 발전과 성숙 이전의 원래 상태.
에덴 동산의 세계
Nature의 두번째 의미:
사물 발전의 필연적 결과로서 성취된 ‘본질’로서의 자연 .
‘에덴의 동쪽’에서 아담과 이브가 만들어가야 할 세계
자연
인간
자연=본질
자연≠본질
본능과 충동=자연, 본질
본능과 충동=자연≠본질
동물은 ‘동물다운 동물’이 되기 노력할 필요가 없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인간의 본질에 이르기 위해 ‘자기의식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인간의 본질: 인간이 그것을 통해서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인간에게 고유한 속성의 총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것. 인간의 본질은 원래부터 주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획득된 것.
자연으로부터 나왔으면서도 단지 본래적 자연에 충실할 때 인간의 본질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 이것이 인간의 모순이며 인간의 ‘고뇌’는 여기에서 비롯한다.
자연은 이 두 세계의 모순을 알지 못하므로 고뇌도 없다. 인간은 첫째 세계의 지양을 통해 둘째 세계의 내용을 획득해야 한다. 인간은 이처럼 자칫하면 도로(徒勞)에 그칠 수도 있는 끝없는 노력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획득해가야 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 인간의 자유도 깃들어 있다.
“쉼 없이 노력하는 자여 그대 이름은 인간이로다”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괴테(J.W.V.Goethe, 1749~1832) ‘파우스트’에서
<사진16-괴테>
나는 이 말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보았다.
“끊임없이 본질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자 그대 이름은 인간이로다”
“인간은 본질에 도달하기 위해, 즉 완성을 향해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방황하지 않는 자는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없다
6. 자연을 지양하여 자유로
지양(止揚)의 의미-부정(否定)하면서 보존(保存)하는 것.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나왔으면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자연성을 지양함으로써
인간의 본질, 자유에 이른다.
인간은 내부의 자연성, 정신성의 불일치를 통일시키려는 노력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자연성과 정신성 둘 중 어느 하나를 배제하면 인간이 될 수 없다. 이것이 인간의 모순이다.
자유의 의식은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사이의 모순의 자각이며, 자유는 그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주체의 운동이다. ‘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결정됨’과 ‘결정함’ 사이의 대립과 긴장, 모순의 해소 과정에 인간의 자유가 있다.
역설적이지만 자신과 세계를 만들어가는 자유, 이것이 인간의 운명이다.
<학습정리>
1. 충동과 욕망을 제어하는 의지와 사유작용의 관계
2. 자유는 본능적 자기결정(자기원인에 의한 결정)이 아닌 합리적, 자기의식적 자기결정이다.
3. 능력(할 수 있음)과 욕망(하고 싶음)의 관계
4. 에덴동산 설화와 자기의식의 발생 과정
인간은 에덴에서 (주어진 세계)-에덴의 동쪽(만들어가야 할 세계)으로 추방된 존재이다. 자유는 이 두 모순을 지양하는 운동이다.
5. nature의 이중적 의미. 자연과 본질
인간은 자연을 지양하여 자유로 나아간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자연상태와 본질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다 인간의 본질은 획득하는 것, 인간 자신의 고통스런 노력을 통해 만들어 가는 것이지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이것이 인간의 고뇌, 방황이다.
6. 지양(止揚)의 의미-부정(否定)하면서 보존(保存)하는 것.
한편 만들어가야 할 세계는 인간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고통을 요구한다.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사이의 모순을 알고 그 모순을 지양하는 노력, 이것이 자유이다.
Nature의 첫번째 의미: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적 의미에서의 자연.
사물의 발전과 성숙 이전의 원래 상태.
에덴 동산의 세계
Nature의 두번째 의미:
사물 발전의 필연적 결과로서 성취된 ‘본질’로서의 자연 .
‘에덴의 동쪽’에서 아담과 이브가 만들어가야 할 세계
자연
인간
자연=본질
자연≠본질
본능과 충동=자연, 본질
본능과 충동=자연≠본질
동물은 ‘동물다운 동물’이 되기 노력할 필요가 없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인간의 본질에 이르기 위해 ‘자기의식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인간의 본질: 인간이 그것을 통해서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인간에게 고유한 속성의 총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것. 인간의 본질은 원래부터 주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획득된 것.
자연으로부터 나왔으면서도 단지 본래적 자연에 충실할 때 인간의 본질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 이것이 인간의 모순이며 인간의 ‘고뇌’는 여기에서 비롯한다.
자연은 이 두 세계의 모순을 알지 못하므로 고뇌도 없다. 인간은 첫째 세계의 지양을 통해 둘째 세계의 내용을 획득해야 한다. 인간은 이처럼 자칫하면 도로(徒勞)에 그칠 수도 있는 끝없는 노력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획득해가야 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 인간의 자유도 깃들어 있다.
“쉼 없이 노력하는 자여 그대 이름은 인간이로다”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괴테(J.W.V.Goethe, 1749~1832) ‘파우스트’에서
<사진16-괴테>
나는 이 말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보았다.
“끊임없이 본질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자 그대 이름은 인간이로다”
“인간은 본질에 도달하기 위해, 즉 완성을 향해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방황하지 않는 자는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없다
6. 자연을 지양하여 자유로
지양(止揚)의 의미-부정(否定)하면서 보존(保存)하는 것.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나왔으면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자연성을 지양함으로써
인간의 본질, 자유에 이른다.
인간은 내부의 자연성, 정신성의 불일치를 통일시키려는 노력 속에서 자신을 형성한다.
자연성과 정신성 둘 중 어느 하나를 배제하면 인간이 될 수 없다. 이것이 인간의 모순이다.
자유의 의식은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사이의 모순의 자각이며, 자유는 그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주체의 운동이다. ‘
주어진 것’과 ‘만들어가야 할 것’, ‘결정됨’과 ‘결정함’ 사이의 대립과 긴장, 모순의 해소 과정에 인간의 자유가 있다.
역설적이지만 자신과 세계를 만들어가는 자유, 이것이 인간의 운명이다.
<학습정리>
1. 충동과 욕망을 제어하는 의지와 사유작용의 관계
2. 자유는 본능적 자기결정(자기원인에 의한 결정)이 아닌 합리적, 자기의식적 자기결정이다.
3. 능력(할 수 있음)과 욕망(하고 싶음)의 관계
4. 에덴동산 설화와 자기의식의 발생 과정
인간은 에덴에서 (주어진 세계)-에덴의 동쪽(만들어가야 할 세계)으로 추방된 존재이다. 자유는 이 두 모순을 지양하는 운동이다.
5. nature의 이중적 의미. 자연과 본질
인간은 자연을 지양하여 자유로 나아간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자연상태와 본질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다 인간의 본질은 획득하는 것, 인간 자신의 고통스런 노력을 통해 만들어 가는 것이지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이것이 인간의 고뇌, 방황이다.
6. 지양(止揚)의 의미-부정(否定)하면서 보존(保存)하는 것.
추천자료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의 기원과 특징....
계몽주의, 자유주의, 사회계약설 요약정리
복지국가에 대한 자유주의적 관점과 사회민주주의적 관점
[윤리] 『자유주의, 사회계약설, 공리주의』에 대하여
[지체부자유아]지체부자유아(지체부자유아동)의 성격, 사회적 인지, 지체부자유아(지체부자유...
[지체부자유아동, 지체부자유아]지체부자유아동(지체부자유아)의 사회심리적 특성, 원인질환,...
시민사회의 개념, 유형, 시민사회의 성립, 영역규정, 시민사회의 정체성, 이중성, 시민사회의...
[방송통신대 2학년 생활속의경제(B형)] 시장과 정부의 관계에 대해 논하시오 (시장실패와 정...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중 신자유주의적 성격이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민영화 정책에 대해 ...
[사회복지개론] Chapter 8. 사회복지의 관점 (보수주의, 신자유주의, 제3의 길, 시민권 사회...
[사회정치복지이론] 자유주의패러다임(The Liberal Paradigm)
복지국가의 기본적 이념(사회복지정책과 평등 자유 효율)
사회복지정책의 주요 이념(신자유주의-신보수주의-신우파 복지다원주의-복지혼합 조합주의 사...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중 자유와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