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갑상선기능항진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된 내용의 토론은 하지 않게 함
심하게 불안정한 환자를 위해서는 진정제를 투여
영양 간호
신진대사 증가 때문에 심하게 배가 고픔
하루 6회 식사가 필요
영양이 풍부하고 균형 잡힌 음식을 섭취 - 단백질, 당질, 비타민 B 복합체,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
장운동을 증가시켜 설사를 일으키는 양념이 많은 음식, 양이 많은 음식, 섬
유성이 많은 음식제한, 체중 매일 측정, 체중 감소 시 보고
체온유지 간호
시원한 환경 제공
잠옷은 가볍고 면섬유로 된 것
발한이 심하면 자주 갈아입도록 함
신체손상
예방 간호
갑상선 절제 후 간호 목표는 목 부위의 긴장감 감소, 목의 통증 완화,
호흡기 분비물 제거, 수술 후 합병증(출혈, 호흡기도 폐쇄, 회귀후두신경
손상, 테타니, 갑상선 위기 등)의 예방임
목 부위의
긴장감 감소
Fowler 체위
머리와 목 지지
자신이 목 뒤로 두 팔을 올리고 목을 받치도록 교육
수술부위 실이 제거 되면 목운동 실시
흉터 감소 위해 콜드크림을 부드럽게 매일 바름
출혈
드레싱 관찰
손을 목 뒤로 넣어 만져 출혈의 유무 확인
수술 후 몇 시간 동안 맥박
혈압을 매 15분 간격으로 측정 내출혈의 징후 확인
얼음주머니 제공
질식감이나 압박감 호소 시 드레싱을 풀고 의사에게 연락
호흡 장애
성문 부종, 양쪽 회귀후두신경 손상, 출혈로 인한 기관 압박이 원인
양쪽 신경의 손상 시 빨리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절개술 시행
회귀 후두신경
한 쪽의 회귀후두신경 손상은 목소리의 허약함이나 쉰 소리를 내게
하지만 보통 일시적임
불필요한 말은 하지 않게 함
수술 후 매 30-60분 간격으로 간단한 말을 시켜 목소리 변화를 확인
테타니
calcium gluconate를 정맥 내로 투여
수주에서 수개월 칼슘과 비타민 D 투여하면 회복
목의 통증 완화
수술 후 오심이 없어지면 고당질 수분을 투여 할 수 있음
목의 통증으로 음식 섭취가 곤란 시 진통제를 식사하기 30분 전에 투여
증기 흡입으로 목 점막을 부드럽게 할 수 있음
환자 교육
절제술을 한 경우 갑상선절제술을 한 경우 호르몬 자가 투여법에 대
해 교육
퇴원 후 합병증의 발생 유무를 확인위해 1년에 2회의 병원방문을 지
키도록 교육
- 성인 간호학. 이항련 외. 2007. 수문사 -
- 성인 간호학. 전시자 외. 2005. 현문사 -
- 성인 간호학. 학술편찬국. 2006. 퍼시픽 출판사 -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