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심리학에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운동의 기초과학
가. 운동의 생리학 (1)
1)뼈와 관절의 기능
2)운동이 뼈에 미치는 영향
3)근육의 종류
4)근육의 성질
2. 근수축의 형태
3. 근수축에 영향을 주는 요인
4.운동이 근육에 미치는 영향
5.근수축의 에너지원

◑ 운동의 심리학적 기초 ◑
1. 운동 욕구
2. 운동과 동기
3. 인간의 욕구
4. 고등 학교 시기의 운동 욕구
5.정서가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6.정서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
7.운동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8.운동 기능의 발달
9.연습 곡선
10.운동을 해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
11.고원(plateau) 현상
12.슬럼프 현상 (주로 심리적 갈등에서 옴)
13.운동 기능의 향상과 목표
14.시합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체력과 기술 이외에도 긍정적 심리 요인이 뒷받침 되어야 함

본문내용

① 1차적 욕구 : 신체의 성장과 활동하려는 생리적 욕구 (성욕, 식욕 ,수면, 배설, 휴식)
② 2차적 욕구 : 개인의 독립된 인격을 유지하려는 심리적 욕구
1) 인간의 욕구
※ Maslow의 욕구단계설
① 생리적 욕구 : 생존에 필요한 욕구 ② 안전의 욕구 : 신체 보호의 욕구
③ 애정의 욕구 : 동식물, 사람을 사랑하려는 욕구
④ 존경의 욕구 : 존경하고 싶고, 소속되어지고 싶어하는 욕구
⑤ 자기 실현의 욕구 : 자기 꿈과 능력을 실현 시키고자하는 욕구
2) 고등학교 시기의 욕구
3) 욕구의 발달 : 생리적 욕구 사회적 욕구 자기 실현의 욕구
2. 운동과 동기
1) 운동 수행과 동기 유발
운동 수행에서 동기 유발의 효과는 같은 운동의 형태라 할지라도 개인, 운동의 난이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개인 및 운동 특성에 맞는 동기 유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2) 동기 유발 방법
① 도달 목표가 명확하게 하고 구체적으로 정한다.
② 동작이나 운동에 대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
③ 운동 자체에 내재된 흥미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
3. 인간의 욕구 : 운동 욕구는 원시적인 욕구로서 성장 발달의 원동력이 됨.
(1) 생리적 욕구 : 생존에 필요한 욕구
(2) 안전의 욕구 : 신체 보호의 욕구
(3) 애정의 욕구 : 사랑하려는 욕구
(4) 존경의 욕구 : 존경받고 싶어 하는 욕구
(5) 자기 실현의 욕구 : 자기 꿈과 능력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욕구
4. 고등 학교 시기의 운동 욕구 : 운동에 대한 욕구가 사회적 운동 욕구로 바뀌어지며, 승리감이나 만족감이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촉진시킴.
5.정서가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1) 노하거나 긴장했을 때 : 맥박이 높아지고 호흡이 거칠어지며, 얼굴이 붉어지고 침이 마르며, 근육이 떨리고 눈동자가 달라지며 현기증이 나타남.
(2) 정서의 변화와 동요 : 자율 신경에 영향을 주어 부신 수질에서 아드레날린이 분비됨.
6.정서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
(1) 칭찬과 상을 주면 활동 욕구의 동기 유발.
(2) 알맞은 긴장과 투지력은 적극적인 운동 유발.
(3) 지나친 긴장과 초조불안은 소극적으로 운동을 하게 함(무대 공포증).
7.운동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1) 풍부한 정서, 포용력 있는 인격 형성.
(2) 정서가 안정됨.
(3) 심신의 긴장과 욕구 불만 해소.
(4) 정확한 상황 판단 능력과 자신감 등이 길러져서 여유 있는 개인 생활 향유.
(5) 정정당당하게 승부를 겨루는 과정에서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
(6) 정신 활동의 활발로 기능 발달에 도움.
8.운동 기능의 발달 : 개인차가 있지만 연습에 의해 발달됨. 연습 → 일정한 목표를 가지고 어떤 일을 반복하는 과정.
9.연습 곡선(practice curve) : 연습에 의해 운동 기능이 발달하는 과정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
▶ 볼록형 : 처음에는 빠른 속도로 향상되다가 어느 시기가 되면 차차 느려지는 상태. 가장 평범하고 흔히 나타나는 연습 곡선.
▶ 오목형 : 처음에는 발달 속도가 느리다가 어느 시기가 되면 차차 빨라지는 상태. 근력의 증대가 중요한 운동일 경우에 나타나는 연습 곡선.
▶ 중간 휴식형 : 처음에는 발달 속도가 빠르고 어느 시기가 되면 거의 정지하다가 다시 발달되는 상태. 신경계의 작용이 주가 되거나 연습자의 의욕이 왕성한 경우에 나타남.
▶ 직전 정체형 : 처음에는 발달 속도가 빠르다가 어느 시기에 거의 정지하는 상태에서 머뭄.
▶ 직선형 :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비율로 기능이 향상하는 상태. 실제로는 보기 드문형.
▶ S자형 : 초기에는 발달 속도가 느리고 어느 시기에서는 빠르다가 다시 느리게 발달하는 상태. 볼록형, 오목형, 직선형의 요소를 포함.
10.운동을 해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
▶ 연습 방법에 결함이 있을 때
▶ 동기(motive)나 흥미에 변화가 생겼을 때
▶ 외부적인 환경 조건이 악화되었을 때
▶ 심신의 발달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을 때
▶ 고원 또는 한계 현상이 생겼을 때
11.고원(plateau) 현상 : 연습 효과의 일시적 정체 현상. 연습 초기, 단순 동작 연습 과정시 발생
▶ 원인
▷ 흥미를 잃거나, 주의 집중이 되지 않을 때
▷ 기술의 분화에 저항감이 생겼을 때
▷ 동작의 나쁜 습관에서 탈피하지 못할 때
▷ 조그만 실패에 의한 심리적 부담을 느낄 때
▶ 처방
▷ 무리한 연습은 피하고 연습을 포기하지 않음.
▷ 그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식견을 갖음.
▷ 신체 조건을 갖추고 새로운 연습 방법을 연구
12.슬럼프 현상 (주로 심리적 갈등에서 옴)
▶ 특징 : 연습의 효과가 퇴보하는 현상.
▶ 발생 시기 : 연습의 후기 과정에서 일어남.
▶ 원인
▷ 신체적, 정신적 피로가 겹쳤을 때
▷ 익숙해진 동작에 고도화한 기술을 습득하려고 의식적인 동작을 가할 때
▷ 정신적 동요 등 심리적 변화가 생겼을 때
▶ 처방
▷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제거.
▷ 휴양을 하거나 지도자 조언으로 연습법 개선.
13.운동 기능의 향상과 목표
운동 기능의 향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목표의 설정 필요.
실제로 관념적인 목표를 세운 팀보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팀의 발전도가 높음. 최종 목표만을 정한 팀보다는 단기적인 목표를 세운 팀이 발전도가 높음.
14.시합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체력과 기술 이외에도 긍정적 심리 요인이 뒷받침 되어야 함.
가.시합이 인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경쟁은 상대를 긍정하는 데서 이루어져 인간 관계가 원만해짐.
나.심리적 요인이 시합에 미치는 영향
(1) 적당한 긴장
▶ 강한 투지력과 자신감을 심어줌.
▶ 교감 신경이 자극되어 호흡이 깊어져서 운동에 적응할 수 있는 신체 여건이 됨.
(2) 지나친 긴장 :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경기에 실패하기 쉬움.
과도긴장의 원인. 징조. 조치
원인
징조
조치
처녀출전
오줌이 자주 마려움
준비운동을 충분히 함
이성의 응원
주의력 산만
심호흡
지나친 기대승패 의식
팔다리가 뜻대로 움직이지 않음
칙임을 의식하지 않음
인내심없음
자제력을 잃음
심리적 안정
새로은 환경 지나친 민감
불안하여 침착성이 없음
사람들과 이야기하여 원기 회복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2.1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