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판결 요지>
< 평 석 >
1. 경영해고 요건에 대한 판례법리와 근로기준법의 해석상 차이
2. 근로기준법상 사전협의 규정의 해석
3. 경영선택 및 결정에 대한 사전의 정보공유와 협의 절차의 중요성
< 평 석 >
1. 경영해고 요건에 대한 판례법리와 근로기준법의 해석상 차이
2. 근로기준법상 사전협의 규정의 해석
3. 경영선택 및 결정에 대한 사전의 정보공유와 협의 절차의 중요성
본문내용
협의과정에서 근로자대표기구는 사용자가 제시한 계획 및 그 시행방법에 관한 의견과 사용자의 계획에 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근로자대표기구의 의견이나 대안에 대하여 사용자는 이유 있는 답변을 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근로자 전체가 경영의 변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측의 적극적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동자대표들은 사용자의 비용부담으로 공인회계사를 선임하여 기업상황 및 구조조정계획에 대하여 분석 평가하여 보고서를 작성 제출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방식도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보고서를 토대로 하여 노사간의 구체적인 협의절차가 진행된다면 불필요한 대립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줄일 뿐만 아니라 노사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사관계가 극히 대립적이며 불안정하다고 평가받는 우리나라에서 올바른 노사관계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법이나 제도적 장치는 계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과제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노동법의 개별 규정 자체에 대한 법원의 보다 적극적인 인식과 해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법적 사고방식으로 노동법을 재해석하는 법원에 의해 노동법의 의미 자체가 퇴색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러울 따름이다.
노사관계가 극히 대립적이며 불안정하다고 평가받는 우리나라에서 올바른 노사관계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법이나 제도적 장치는 계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과제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노동법의 개별 규정 자체에 대한 법원의 보다 적극적인 인식과 해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법적 사고방식으로 노동법을 재해석하는 법원에 의해 노동법의 의미 자체가 퇴색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러울 따름이다.
추천자료
정리해고의 요건
합법적인 정리해고
개정법에 따른 노동위원회 제도 법적 검토
휴업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에 대한 법적 측면 검토
[산업안전보건법]산업안전보건법의 기원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의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성공적인 아웃소싱을 위한 비즈니스 서비스 수준 합의서 구축방안
노사관계론_중간고사_써머리
[노동법, 노동법 전개, 노동법 역사, 노동법 성립, 노동법 본질, 노동법 주체, 노동법 체계]...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 원리와 특성,문제 및 개선과제
제주대 이러닝 강영순교수님 노사관계론 족보
제주대학교 노사관계론 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