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의 개념과 형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학의 개념과 형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개의 글
2. 논리학의 개요
가. 사유의 두 측면
나. 논리학의 연구대상
3. 논리학의 의의
4. 동서양의 論理學 歷史
가. 東洋의 論理學 歷史 : 意味論
5. 西洋의 論理學史
6. 형식논리학과 변증법적 논리학의 비교
7. 논리학의 범위에 관하여<중국인의 논리학>
8. 중국논리학의 특징
가. 동양의 합리사상
나. 중국과학의 사상적 풍토
다. 중국인의 논리학
라. 類比推理
9. 西洋 論理學의 內容
10. 형식논리학의 근본적인 다섯가지 오류
11. 불교나 한의학에서는 변증법처럼 상대론적 관점이다.
12. 자연의 자기운동
가. 원리
나. 개념
다. 정의
13. 문제점
14. 판단(judgement)
15. 오류(fallacy)
분류
16. 추리(inference)
가. 귀납추리
다. 두 추리간의 차이점 : 1
라. 연역추리의 타당성
마. 일반화

본문내용

해의 오류: 전체에 관해서만 참인 것을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에 관해서도 역시 참이라고 주장한다거나 어떤 집합이 갖는 속성을 그 집합에 속하는 개별적 구성원들에까지 적용하려 할 때 일어난다.
추리(inference)
이미 알려진 판단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내는 사고작용이다. 사고 작용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사고형식은 판단이다. 그리고 이 판단작용이 더욱 발전된 것이 추리이다.
㉠ 직접추리 : 단 하나의 전제인 판단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결론인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 내는 추리방식
예) 비가 온다. 그러므로 강물이 많아질 것이다.
㉡ 간접추리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을 전제로 하여 새로운 판단을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리방식
㉮ 연역추리 : 전통적으로 삼단논법으로 불려지는 것이다. 삼단논법이란 두 전제로부터 결론이 추론되는 연역 논증이다.
예) 모든 인간은 가사적이다.
그런데 모든 왕은 인간이다.
고로 모든 왕은 가사 적이다.
특징 : 일반적으로 연역추리는 지식의 확대를 가져오지 못하는 대신에 논증의 기능을 가진다.
귀납추리
연역추리와 더불어 사유방법을 이분하는 것이다.
예) 이 물은 100도에서 비등한다.
저 물도 100도에서 비등한다.
고로 물은 100도에서 비등한다.
* 정의 : 충분히 열거된 개별적인 것으로부터 보편적 진리를 추리하는 방법이다. 즉 특수한 사실들로부터 일반화를 통하여 일반적 법칙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다.
* 특징 : 귀납추리의 결론은 언제나 전제들의 내용을 뛰어넘는 비약을 가진다.
* 장점 : 그 기지의 전제들에서 도출되는 예언적 결론은 그것이 정확한 것일 때에는 새로운 지식 또는 미지의 세계에로의 지식의 확대가 될 것이다.
* 단점 : 연역추리와 같은 필연성이 없다는 점
* 종류 : 귀납추리는 개별적인 것으로부터 보편적인 것을 도출하는 추리이므로 본질적으로 모든 귀납추리는 열거에 의한 추리이다.
완전 열거적 귀납추리 : 일상생활에서 불가능하다.
불완전 열거적 귀납추리 :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한다. 그러나 이 때 불완전하다는 말로서 어떤 잘못된 조잡한 귀납추리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 유비추리 : 귀납추리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유비에 의한 논증인 유추(유비추리)이다. 이것은 보통,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실에서 유비를 통하여 다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실을 추리하는 불완전 귀납추리라고 말해진다. 즉 유추는 과거의 일로부터 미래를 추정하는 우리의 거의 모든 일상적 추리의 근간이 되어 있다.
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다른 유성들, 예컨대 토성, 목성, 화성, 금성, 수성은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지구와 마찬가지로 그들도 태양 주위를 돌며, 태양에서 빛을 가져오며 자전하고 또 그로 인하여 주야의 교체가 있고, 위성을 가지며, 그 모든 운동에 있어서 운동의 법칙을 따른다. 따라서 이 모든 유사성으로부터 이들 유성에도 지구와 마찬가지로 각종 생물들이 존재하리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 특징 : 유추의 본질은 절대적 확실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유추에는 타당하다. 타당하지 못하다는 분류가 적용되지 않는다. 가망성 또는 개연성(probability)이 유추가 요구한 전부인 것이다. 요컨대 유추는 '유사성의 열거'에 의한 추리이다.
* 일반적 형식 : 유추는 두 가지 점에 있어서 두 사물이 유사함을 주장하는 전제들로부터 두 사물은 세 째의 점에서도 유사하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추리이다.
* 규칙 : 결론의 개연성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규칙
㉠ 유비되는 사실 또는 사례는 수가 많을 수록 좋다.
㉡ 유사점은 많을수록 좋다.
㉢ 추정된 결론을 파괴할 만한 특이한 사정이 없어야 한다.
㉣ 대비되는 사례는 비슷하지 않을수록 좋다.
㉤ 유사점은 결론에서 추정되는 성질과 본질적 관계가 있어야한다.
두 추리간의 차이점 :
연역추리는 결론의 진임을 전제에서부터 필연적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논증하려는 것인데 반하여, 귀납추리는 다만 결론의 진임을 전제로부터 개연적으로 확립하려는 데 있다. * 귀납적 추론 : 여러 번의 관찰 결과에 근거하여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각각의 별개의 관찰 사실을 종합하여 보편성을 끌어내는 것이다.
* 연역적 추론 : 어떠한 커다란 가설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구체적인 결론을 내리는 방법이다. 말하자면 보편적인 추론을 정한 후 구체적인 명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 귀납적 방법: 외연적 정의를 통해 내포적 정의를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 연역적 방법: 내포적 정의를 통해 외연적 정의를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연역추리의 타당성
그 형식이 타당하고 전제들이 참이라고 가정하면 결론은 필연적으로 참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귀납추리의 경우에는 정확한 추리형식 아래서도 전제들이 참이라고 해서 결론이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다. 다만 참일 가능성(확률)이 높을 뿐이다. 연역추리에서는 타당할 가능성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거기에서는 추리가 타당한 것이거나 아니면 부당한 것이거나 이다. 다시 말하면 타당성에는 정도 차가 있을 수 없다. '타당하다(valid)'라는 말은 이런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귀납추리에서는 전제들이 결론을 밑받침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전제들이 결론에 대하여 증거력이 매우 강한 경우, 상당히 강한 경우, 그리고 어느 정도 강한 경우 등 정확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귀납법은 필연적 지식보다는 개연적 지식, 참일 수 있는 최선의 확률을 추구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일반화
어떤 타당한 추리형식이 주어지면 연역추리에서는 전제들이 아무리 많아져도 그 '타당성'을 바꾸지 못한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귀납추리에서는 전제들이 곧 '증거(evidence)'이기 때문에 전제들이 많으면 증거력이 그 만큼 강화된다. 즉 추가적 증거들이 많을 수록 결론은 정확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것을 통계학에서는 '샘플의 크기'라고 하여 귀납적 일반화의 중요한 변수로 다룬다.
키워드 논리학, 논리학의 의의, 유비추리, 형식논리학, 변증법, 상대론, 귀납추리, 연역추리,논리학의 역사
12k
논리학, 철학
과제 : 논리학의 개념과 형태를 설명하여라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2.10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