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 최현배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생애

▷ 교육사상
Ⅰ. 신교육론
1. 인간교육 - 신교육
2. 주체성 교육
3. 노작교육
Ⅱ. 민족 교육론
1. 도덕교육
2. 전인교육(全人敎育)

▷ 의의

본문내용

품안에 안아 줄 생각을 하는 사람을 길러 내는 데에 교육의 보람을 찾는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러한 외솔의 휴머니티에 입각한 교육 사상은 페스탈로찌의 빈민을 위한 교육의 정신과 통하는 것이다.
2. 전인교육(全人敎育)
외솔은 교육은 “인성의 어느 한쪽만을 두드러지게 다룰 것이 아니라, 전인으로서의 지·정·의의 조화로운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라고 전인교육(全人敎育)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전인교육은 페스탈로찌의 이른바 삼육론(三育論)에 그 근거를 두었다. 외솔은 그것을 “생각하기, 느끼기, 행하기로 나누었고, 그 세 가지는 사람의 내면성에 깊은 통일을 이루고 있는 것이므로 교육은 마땅히 전체로서의 사람들 도야(陶冶)함으로써 ‘순진한 아름다움’이 얻어지도록 하여야한다”고 말하였다.
또 외솔은 “ 그렇게 전체로서의 인간 교육을 생각하면서도 어느 쪽이냐 하면 느끼기(心情力)에 더 중점을 두었다. 여기서 페스탈로찌가 말하는 심정력의 도야란 신뢰·순종·감사의 생각을 통하여 사랑을 알고 행할 수 있게 하는 도덕성의 도야를 말한다”고 하였다.
▷ 의의
외솔이 주장한 교육이란 어디까지나 어떤 이념적인 가치의 구현을 위한 과정적인 방편으로서의 교육이며, 가치의 인식을 위한 지적 탐구 과정으로서의 교육이라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외솔에 있어서의 지(知)는 단순한 기능적인 지나 백과사전적 지가 아니라, 의식을 구성하는 인식을 그 전제로 한 지(知)가 위주로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적(知的) 탐구를 통하여 가치를 바로 인식 하고 이를 의식화하며, 이것이 정적인 자기 강화를 통하여 행동화하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어떤 이념적 가치가 인식되고 의식화하여 행동화하는 이념 교육 과정을 페스탈로찌의 생각하기(head)느끼기(heart)행하기(hand)의 조화로운 발달이 교육이라는 이른바 삼육론에서 힘입어 체계화한 전인교육(全人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외솔의 교육사상은 교육이라 하면 기능적인 지(知)만을 강조하고, 교육학이라 하면 이런 지(知)를 가리키는 방법론만을 연상케하는 요즈음의 지적(知的) 기능습득 위주 교육관에 대한 반성을 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외솔의 교육사상은 현재 교육의 문제를 반성해 보고 미래의 교육이 전인교육으로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데 하나의 큰 사상적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서경대학교 장원동의 논문 외솔 ≪최현배의 민족교육사상연구≫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1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