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족과현대가족의차이점과 현대가족의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전통적 가족의 정의와 현대적 가족의 정의의 차이점
1.가족에 대한 전통적 정의
※전통적 가족정의의 문제점

2.가족에 대한 현대적 정의
※가족의 정의에 대한 외국 사회학자들의 견해
※가족의 정의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견해

II.현대 가족의 문제
1.이혼
1)우리나라 이혼의 실태
2)이혼증가의 원인
3)이혼의 대책

2.노인문제
1)노인문제의 원인
2)노인문제의 대책

3.청소년 문제
1)청소년 비행의 원인
2)청소년 비행의 대책

III.한국 가족 주기상의 변화
1.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
※WHO 기준 가족생활주기 (family life cycle)

2.가족생활주기의 변화

본문내용

공간을 매개로 한 범죄와 폭력 등이 새로운 사회문제의 원인이 된다.
2)청소년 비행의 대책
① 제도적 청소년 복지 : 비행청소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세 가지 차원에서 사회 복지적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첫째, 가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둘째, 학교교육에서 인간성의 회복, 셋째, 경제적 불평들의 완화 등이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가족복지정책의 확립이 필요하다. 가족의 물질적 토대를 보장해 주기 위해서는 가족수당(Family allowance)이나 각종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 등을 확충하고 주택정책을 통해 청소년 자녀와 노인 부모를 포함하는 3대 가족이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에서 청소년의 건전한 사회화와 발달을 위해 학교사회사업(School social work)이 공식적인 제도로 도입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불평등 완화와 절대빈곤 해소를 위한 복지 국가적 정책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불평들에 수반되는 빈곤은 청소년의 건전한 발달을 해치는 환경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청소년 비행의 구조적 요인으로서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② 보완적 청소년 복지 - 교정 복지 : 비행 청소년에 대해서 사후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교정 복지이다. 교정 복지란 범죄인이나 비행청소년을 개선 및 교화시킴으로써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복귀를 도모하기 위한 공공 및 민간 차원의 조직적 전문 활동이다.
교정사업은 첫째,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정학 또는 교정 복지를 전공한 이력을 활용하여 전문적인 기법을 통한 치료적 개입으로 비행청소년의 재활을 도와야 한다. 둘째, 교정의 개별화가 필요하다. 비행청소년들을 격리시키거나 구금하는 것 위주의 획일적 처우보다는 청소년 개인의 다양한 성격과 상황, 비행동기에 따라 개별화된 교정사업을 위해서는 행동과학적 전문지식과 관찰, 청소년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근거한 과학적 분류심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정의 사회화가 필요하다. 교정은 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 탈시설화를 통하여 공개적이고 민간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비행청소년의 교화과정에서 일반사회와 유사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I.한국 가족 주기상의 변화
1.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
남녀의 결혼으로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고,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교육하면서 가족이 확대되고, 자녀가 성장한 후 각자 독립하면서 가족이 축소되기 시작하여, 부부가 사망함으로써 소멸되는 가족의 변화과정을 말한다.
※ WHO 기준 가족생활주기 (family life cycle)
1단계 형성기: 결혼 - 첫 자녀 출생
2단계 확대기: 첫 자녀 출생 - 막내 출생
3단계 확대완료기: 막내 출생 - 자녀 결혼 시작
4단계 축소기: 자녀 결혼 시작 - 자녀 결혼 완료
5단계 축소완료기: 자녀 결혼 완료 - 배우자(주로 남편) 사망
6단계 해체기: 배우자 사망 - 본인 사망
2.가족생활주기의 변화
과거와 비교하여 최근 우리나라 가족의 생활주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1) 가족생활주기의 기간의 연장
초혼 연령이 상승해서 결혼의 시작 시기는 늦춰지지만 부부들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가족생활주기의 전체 기간이 길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2) 가족형성 및 확대기와 축소기간의 단축
초혼연령이 상승하고 동시에 출산하는 자녀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결혼에서부터 자녀출산 완료까지의 기간이 단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세대의 여성들에게 자녀양육의 역할은 일생 동안 지속되었으나 근래로 올수록 여성들은 자녀양육 및 교육이 끝난 이후에도 긴 시간을 갖게 된다.
3) 확대 완료기 및 축소 완료기와 해체기간의 연장
위의 특징과 연결되는 것으로, 자녀들이 결혼하고 배우자 중 한 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배우자가 사망하기 전까지의 기간은 길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즉,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자녀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자녀가 모두 결혼하여 집을 떠난 후 부부만이 지내는 긴 시간을 갖게 된다. 나아가 자녀와 한 배우자 모두가 떠난 후 혼자만의 긴 시기를 맞이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지게 된다.
형성기
확대기
확대완료기
축소기
축소완료기
해체기
1935-44
4.1
15.5
9.3
15.5
-5.8
5.9
1945-54
3.2
12.6
12.9
12.6
-7.0
7.0
1955-64
1.9
9.1
17.1
9.1
1.4
7.6
1965-74
1.5
5.0
21.2
5.0
10.2
7.6
1975-85
1.2
2.2
24
2.2
15
7.2
<연대별 가족생활주기 변화 추세 (단위 : 년)>
오늘날에 와서 여성의 늦은 초혼, 자녀수의 감소, 교육기간의 연장, 평균수명의 증가, 모성취업의 증가 등에 의해 가족주기가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며 또한 결혼-이혼-재혼의 양상이 증가함에 따라 가족주기의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다.
여성의 출생연도
1935-1944
1955-1964
1975-1985
초혼 연령
첫자녀 출생
막내 출생
막내 결혼
배우자 사망
부인사망
16세
20
36
60
55
61
20세
22
31
58
59
66
23세
24
26
52
67
75
빈 둥지 시기
1년
8년
23년
혼자만의 시기
1년
7년
8년
<한국 가족의 생활주기>
참고 문헌
조정문 외(2001), 「가족 사회학」
김미숙 외(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유영주 외(2004), 「새로운 가족학」
한국가족학회(1994), 「현대가족과 사회」
참고 자료
변화순(한국여성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이혼의 사회적 접근’
채규만(성신여대 심리학과 교수-한국 및 미국 임상 심리전문가),
‘이혼 사례 유형별 분석: 원인과 대책’
참고 사이트
http://education.sangji.ac.kr
http://pgeh.hs.kr/~win/htmfile/f12.htm
http://bh.knu.ac.kr/%7Epsdon/catholic/c6.htm
http://ipcp.edunet4u.net/~teacher17/이혼문제.htm
http://blog.naver.com/hanmailhan?Redirect=Log&logNo=90002446441
네이버, 엠파스, 야후 지식인각종 블로그

키워드

가족,   정의,   전통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2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