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교육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루소
1.루소의 생애와 저서
2.교육론

Ⅲ. 교육 소설 에밀
1.에밀의 내용과 교육 사상
2.자연중심 교욱 사상
3.소극 교육

Ⅳ. 루소 교육 사상의 현대적 의의

Ⅴ.맺음말

본문내용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진보주의 아동관 즉 아동 중심 교육과 그 본질적인 면에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루소의 아동교육론은 20세기 아동 인식에 대한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J.Dewey의 교육 사상에 그대로 반영되었던 것이다.
오늘날 교육은 직업적 기술을 익히는 데에는 매우 성공하여 변호사, 정치인, 사업가. 교수 등 전문적 지식인을 육성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다 하겠다. 그러나 18세기와 마찬가지로 오늘날도 지식과 기술 습득을 강조하는 교육은 사람들로 하여금 교육의 최고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도덕성을 갖추지 않은 지식이나 기술은 악영향을 끼칠 뿐이라는 생각을 사람들은 쉽게 잊고 있는 듯 하다. 과거의 교육은 기술 교육이나 직업 교육이 아니었다. 과거의 교육은 동양의 유가 사상과 루소의 교육관에서 특히 강조된 것처럼 바로 덕성 함양(德性 涵養) 교육이었다. 지식을 배우기 전에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이 된다는 말이 곧 산다는 말이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한 때 우리 사회는 고위 공무원들의 부패와 비리로 인해 몸살을 앓았던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도 완전히 사라졌다고는 볼 수 없다. 이처럼 지식만을 강조하는 교육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를 위하여 현재를 희생하고 현재에 의미도 없는 미래의 행복을 위하여 각종의 수단으로 아이들을 속박하고 어린 시절을 불행하게 보내야 하는 무모한 교육은 무엇이라 생각할 것인가?” 라는 외침은 바로 지금 우리의 교육 현실을 가장 적절히 묘사한 말이라 할 수 있겠다. 물론 우리 나라가 이룩한 눈부신 성장 뒤에는 이러한 교육의 힘이 작용하였음을 부정하진 않겠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트 위주의 사회 의식이 지금 우리의 학생들을 공부 외에는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는, 아니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쪽으로 몰아가고 있다. 꿈 없는 젊은이들을 양성하는 교육은 결코 진정한 교육이라고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루소가 위대한 교육 사상가로 추앙받는 이유는 바로 그가 어린이를 어린이 그 자체로서 인식하고 존중했기 때문이다. 루소는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판이 아니며, 그들은 각 시기에 맞는 나름의 성장 단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그것을 존중한 최초의 사상가였다. 그래서 그는 모든 종류의 조기 교육을 반대하였다. 어린이의 자연스러운 성장 단계를 무시한 이런 조기 교육의 어린이의 성장 발달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며,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함을 역설하였다. 요즘 조기 교육의 열풍이 우리 나라를 휩쓸고 있다. 아이들은 모국어를 완전히 습득하기도 전에 영어와 씨름하는 실정이 되어버렸다. 남들이 다 하니까 우리애만 뒤쳐질까 두려워하는 것들은 모두 어른의 기준이며 시각이다. 어린이는 어린이답게 그들 나름이 생각과 논리로 살아가야 한다. 물론 아동에게 무조건적인 자유를 보장하자는 말은 아니다. 다만 어른의 논리와 잣대로 아동을 평가하고, 그 틀에 아동을 묶어놓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교육이 지나친 지식 중심에서 탈피하여 전인적 교육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루소의 교육 사상에서 수용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동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성장하는 자연의 피조물로 보아야 하며, 교육 과정상 개인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고, 교육 목표 설정에 있어서도 아동의 특성과 발달 과정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행복하고 즐거운 생활로서의 교육 활동을 통해 이성적이고 창의적 특성을 지닌 자유인을 육성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처럼 주지주의 교육 일변도의 사회 풍토에서 아동을 독립된 인간으로 보는 루소의 아동관은 아동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방법 그리고 진정으로 아동을 위한 교육이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라 하겠다.
Ⅴ.맺음말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명제는 루소의 교육의 목표이자 자연주의 교육의 이상이다.
루소의 교육 사상은 전통적인 교육 사상을 정립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교육 사상의 근원적인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권위주의적이고 형식주의적이며 교사 중심의 주지주의(主知主義) 교육과 실천과 행동, 그리고 생활과 유리된 이상주의 교육이나 본질주의(本質主義) 교육, 주조형의 인간 형성을 목표로 하는 틀에 박힌 획일적인 교육을 비판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그리고 그의 사상은 자기 성찰과 반성, 독창적인 사상으로 시대와 현존 사상에 대한 비판과 거부를 통해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인습(因習)과 전통(傳統)의 틀을 깨고서 교육의 전체적 구조와 체제를 재구성하고 재발견하고자 했던 것이 루소의 교육 사상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그의 신념이다.
그의 사상은 형식적이고 제도적인 학교 교육에 관해서는 소홀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는 교육에서 지식과 이성, 지성 그리고 과학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실을 도외시한 유토피아적이고 이상주의 교육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교육이론은 교육 사상적인 면에서나 현대 교육의 이론적 토대에서나 많은 긍적적인 평가를 받고있다. 루소에 의해서 인간 존중 사상의 발달이 가능했다. 그의 인간의 발견과 아동의 발견은 후일 인간존중의 휴머니즘사상으로 계승ㆍ발전하였으며, 현대 자유주의(自由主義), 진보주의(進步主義), 아동 중심주의(兒童 中心柱義) 교육사상의 형성에도 기여하였다.
특히 교육에 있어서의 권위주의(權威主義), 형식주의(形式主義), 언어주의(言語主義)의 거부에서 자율학습, 발견학습, 탐구학습의 원리를 발전시키는데 근원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현대의 탈학교론(脫學敎論)의 선두자로서 뿐아니라 교육에서의 저항이론과 비판이론 그리고 Marxism의 사상과 교육에도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의 부정의한 사회를 비판하고 과학과 학문의 허구성을 폭로하고 고발함으로써, 사회 비판적인 사상의 형성과 발전을 이룩한 루소의 교육사상은 우리 나라뿐 아니라 세계의 교육사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요즈음 우리 나라의 교육현실이 과잉보호, 출세주의에 초점을 맞추어서 행해지는 것을 볼 때 루소가 주장한 교육사상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2.2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