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 최현배(1984~1970)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와 사상배경

2. 외솔의 교육사상
▣ 신교육론
▣ 민족교육론

3. 인생관

4. 외솔 교육사상의 시사점

본문내용

육이란 민주주의에 입각한 민족의 발전을 기하는 교육론이다. 그래서 민주주의의 이념에 근거해야만 한다. 민족은 민족문화를 지니지 못할 때 존립할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외솔의 논리였다. 외솔은 한 걸음 더 깊숙이 민족 문화는 “말로써 들어가며, 하여 간다.”고 하면서 민족문화의 그릇인 모국어 교육을 민족교육의 핵으로 자리매김했다.
둘째는 공동체 교육의 논리 중시다. 이는 더불어 배우고, 더불어 풀고, 더불어 사는 삶의 방식을 익혀가는 교육의 중요성을 이름이다. 외솔은 공동사회 또는 협동사회 운동에 힘썼고, 그의 모든 교육이론에도 이것을 반영시켰다.
셋째는 우리말 찾아 쓰기, 만들어 쓰기 운동의 전개이다.
넷째는 일깨움의 교육의 논리 확립이다. 우리는 ‘교육’을 사람은 ‘만드는’일이라고 말들 한다. 그러나 이 만든다는 말의 뜻이 무엇인가. 영어권에서도 옛날에는 make, 독어권에서는 machen을 썼었다. 그러나 1950년대부터 20세기 독일의 최고의 교육철학자요, 페스탈로치 교육철학의 계승자인 스프랑거(1882~1963)의 각성적 교육관이 깊게 널리 음미되면서부터는, 이 만든다는 말을 삼가게 되었다. ‘일깨우다는’ 각성적 교육관은 쇠파리가 잠자고 있는 말을 쏘아대어 잠에서 깨어나 뛰게 하듯이, 교육은 졸고 있는 학생에게 심한 자극을 주어, 참 자기에 눈떠 자기회복과 자기실현을 하게 하는 계기를 주는 자기각성이며, 교사와 학생과의 인격적 ‘만남’이 그 방법원리의 생명이다.
다섯째는 교사의 성실성 분석이다. 성실성은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을 말하는 가. 거짓말은 절대 못하는 인간적 성실성, 자기 몫을 철저하게 해내는 등 직업에 대한 성실성, 그리고 보다 나은 미래를 지향하고 참여하는 등 역사 앞에서의 성실성, 이 세 가닥의 성실성으로 짜여지는 하느님 앞의 성실성으로 보인다. 현대의 교사에게 요구되는 것도 바로 이것이다. 이것이 영원한 스승 김교신, 이승훈, 함석헌, 안창호, 남궁억, 그리고 외솔에서 보이는 참 스승상이다.
참고문헌
김정환, 최현배의 교육사상 연구(교육철학회, 1988)
김정환, 외솔의 교육사상 분석(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7)
손인수, 외솔 최현배의 민족주의 교육사상(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장원동, 외솔 최현배의 민족교육사상연구,(한국 국민윤리 학회, 2003)
최현섭, 외솔과 국어교육(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www.encykorea.com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