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9장 처짐과 처짐각
1. 보의 처짐과 처짐각
1.1 탄성곡선식법
(1) 보의 탄성곡선식
곡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여기서, 는 곡률반경이다.
곡률은 수직방향 변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차 미분으로 정의된다.
즉,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보의 탄성곡선식을 유도할 수 있다.
탄성곡선식 :
(2) 처짐각
처짐각은 수직변위를 한 번 미분한 것이므로,
(3) 처짐
1.2 모멘트 면적법
(1) 모멘트 면적 제 1정리
탄성 곡선상에서 임의의 점 m과 n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이 두 점간의 휨모멘트도의 면적을 로 나눈 값과 같다.
(2) 모멘트 면적 제 2정리
탄성 곡선상에서 임의의 점 m에서 탄성 곡선에 접하는 접선으로부터 그 탄성곡선상에서 다른 점 n까지의 수직거리 (y)는 이들 두 점간의 휨모멘트도 면적의 m점을 지나는 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를 EI로 나눈 값과 같다.
1.3 탄성 하중법
(1) 단순보의 임의점에서의 처짐각은 휨모멘트도(B.M.D.)를 EI로 나눈 값을 하중으로 생각할 때 (이를 탄성하중이라고 함), 이 탄성하중에 의하여 그 점에 발생되는 전단력이 그 점의 처짐각이다.
(2) 단순보의 임의점에서의 처짐은 휨모멘트도(B.M.D)를 EI로 나눈 값을 하중으로 생각할 때, 이 탄성하중에 의하여 그 점에 발생되는 휨모멘트가 그 점의 처짐이다.
1.4 공액보법
(1) 탄성하중법은 단순보의 경우에만 적용되며, 단순보 이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탄성하중법의 원리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단부의 조건을 변화시킨 보를 공액보라고 하며, 공액보에 라는 탄성하중을 재하시켜서 탄성 하중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처짐과 처짐각을 구하는 방법을 공액보법이라고 한다.
(2) 공액보의 적용
끝단힌지 <-> 끝단 이동단 (롤러 지점)
고정지점 <-> 자유단
중간 힌지(롤러) 지점 <-> 중간 힌지 절점
(3) 공액보의 예
i. 단순보
ii. 캔틸레버보
iii. 내민보
iv. 내민보
1.5 가상일의 방법
구하고자 하는 점에 가상 단위하중 (또는 단위 모멘트)를 작용시켜 처짐 (또는 처짐각)을 구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 주어진 하중에 의한 임의 점의 휨모멘트
: 를 구할 때는 가상 모멘트 에 의한 임의점의 휨모멘트, 를 구할 때는 가상 하중 에 의한 임의점의 휨모멘트
1.6 카스틸리아노의 제 2정리의 적용
구하고자 하는 점에 가상 하중 (또는 가상모멘트 )을 가하여 주어진 하중상태와 함께 전 구간의 휨모멘트를 구한 뒤, 가상 하중 (또는 가상 모멘트 )으로 1차 편미분한 경우는 그 점의 처짐 (또는 처짐각)이 된다. 적분한 뒤에 , 은 0으로 한다.
2. 단순보의 처짐과 처짐각
2.1 모멘트에 의한 단순보의 처짐각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③ ,
⑥ = ① +④ ,
⑦ = ② + ③ ,
⑧ = ② + ④ ,
2.2 집중하중 및 등분포 하중에 의한 단순보의 처짐각과 처짐
처짐각 ,
중앙 처짐 (C점)
처짐각 ,
중앙 처짐 (C점)
2. 켄틸레버보의 처짐과 처짐각
처짐각
처짐
처짐각
처짐
처짐각
처짐
3. 내민보의 처짐과 처짐각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자유단 C점의 처짐이 0이 되기 위한 P/Q는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하다.)
해설:
P에 의한 C점의 처짐은
Q에 의한 C점의 처짐 는 공액보에서의 값이므로
이므로,
4. 게르버보의 처짐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보에서 하중 P만에 의한 C점의 처짐은? (단, 여기서 EI는 일정하고, 이다.)
해설:
공액보에서
5. 트러스 처짐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2부재 트러스의 B에 수직하중 P가 작용한다. B절점의 수직 변위 는? (단, 트러스의 단면적 A와 탄성계수 E의 곱 EA는 두 부재가 모두 같다.)
해설:
(1) 먼저 부재력을 구하면,
에서,
(인장)
(2) 에서,
(압축)
(3) 단위 하중법(가상일의 방법)을 이용하면, 이므로,
부재
길이(cm)
단면적 A
()
y(cm)
500
A
400
A
6. 라멘의 처짐
<<기본문제>> 휨강성이 EI인 프레임의 C점의 수직처짐 를 구하면?
해설:
부재
CB
BA
1. 보의 처짐과 처짐각
1.1 탄성곡선식법
(1) 보의 탄성곡선식
곡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여기서, 는 곡률반경이다.
곡률은 수직방향 변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차 미분으로 정의된다.
즉,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보의 탄성곡선식을 유도할 수 있다.
탄성곡선식 :
(2) 처짐각
처짐각은 수직변위를 한 번 미분한 것이므로,
(3) 처짐
1.2 모멘트 면적법
(1) 모멘트 면적 제 1정리
탄성 곡선상에서 임의의 점 m과 n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이 두 점간의 휨모멘트도의 면적을 로 나눈 값과 같다.
(2) 모멘트 면적 제 2정리
탄성 곡선상에서 임의의 점 m에서 탄성 곡선에 접하는 접선으로부터 그 탄성곡선상에서 다른 점 n까지의 수직거리 (y)는 이들 두 점간의 휨모멘트도 면적의 m점을 지나는 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를 EI로 나눈 값과 같다.
1.3 탄성 하중법
(1) 단순보의 임의점에서의 처짐각은 휨모멘트도(B.M.D.)를 EI로 나눈 값을 하중으로 생각할 때 (이를 탄성하중이라고 함), 이 탄성하중에 의하여 그 점에 발생되는 전단력이 그 점의 처짐각이다.
(2) 단순보의 임의점에서의 처짐은 휨모멘트도(B.M.D)를 EI로 나눈 값을 하중으로 생각할 때, 이 탄성하중에 의하여 그 점에 발생되는 휨모멘트가 그 점의 처짐이다.
1.4 공액보법
(1) 탄성하중법은 단순보의 경우에만 적용되며, 단순보 이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탄성하중법의 원리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단부의 조건을 변화시킨 보를 공액보라고 하며, 공액보에 라는 탄성하중을 재하시켜서 탄성 하중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처짐과 처짐각을 구하는 방법을 공액보법이라고 한다.
(2) 공액보의 적용
끝단힌지 <-> 끝단 이동단 (롤러 지점)
고정지점 <-> 자유단
중간 힌지(롤러) 지점 <-> 중간 힌지 절점
(3) 공액보의 예
i. 단순보
ii. 캔틸레버보
iii. 내민보
iv. 내민보
1.5 가상일의 방법
구하고자 하는 점에 가상 단위하중 (또는 단위 모멘트)를 작용시켜 처짐 (또는 처짐각)을 구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 주어진 하중에 의한 임의 점의 휨모멘트
: 를 구할 때는 가상 모멘트 에 의한 임의점의 휨모멘트, 를 구할 때는 가상 하중 에 의한 임의점의 휨모멘트
1.6 카스틸리아노의 제 2정리의 적용
구하고자 하는 점에 가상 하중 (또는 가상모멘트 )을 가하여 주어진 하중상태와 함께 전 구간의 휨모멘트를 구한 뒤, 가상 하중 (또는 가상 모멘트 )으로 1차 편미분한 경우는 그 점의 처짐 (또는 처짐각)이 된다. 적분한 뒤에 , 은 0으로 한다.
2. 단순보의 처짐과 처짐각
2.1 모멘트에 의한 단순보의 처짐각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③ ,
⑥ = ① +④ ,
⑦ = ② + ③ ,
⑧ = ② + ④ ,
2.2 집중하중 및 등분포 하중에 의한 단순보의 처짐각과 처짐
처짐각 ,
중앙 처짐 (C점)
처짐각 ,
중앙 처짐 (C점)
2. 켄틸레버보의 처짐과 처짐각
처짐각
처짐
처짐각
처짐
처짐각
처짐
3. 내민보의 처짐과 처짐각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자유단 C점의 처짐이 0이 되기 위한 P/Q는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하다.)
해설:
P에 의한 C점의 처짐은
Q에 의한 C점의 처짐 는 공액보에서의 값이므로
이므로,
4. 게르버보의 처짐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보에서 하중 P만에 의한 C점의 처짐은? (단, 여기서 EI는 일정하고, 이다.)
해설:
공액보에서
5. 트러스 처짐
<<기본문제>> 그림과 같은 2부재 트러스의 B에 수직하중 P가 작용한다. B절점의 수직 변위 는? (단, 트러스의 단면적 A와 탄성계수 E의 곱 EA는 두 부재가 모두 같다.)
해설:
(1) 먼저 부재력을 구하면,
에서,
(인장)
(2) 에서,
(압축)
(3) 단위 하중법(가상일의 방법)을 이용하면, 이므로,
부재
길이(cm)
단면적 A
()
y(cm)
500
A
400
A
6. 라멘의 처짐
<<기본문제>> 휨강성이 EI인 프레임의 C점의 수직처짐 를 구하면?
해설:
부재
CB
BA
추천자료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1장 정역학의 기초 (기본 문제 포함)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2장 단면의 성질 (기본 문제 포함)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3장 재료의 역학적 성질 (기본 문제 포함)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4장 정정보 (기본 문제 풀이 포함)
[응용역학]삼천포대교의 모든 것
열역학 제 1법칙과 팽창일의 응용, 엔탈피의 기본개념
[기계공학]응용재료역학 설계
[공식][수학][물리학][공학][열역학][블랙숄즈]고등수학의 공식, 물리학의 공식과 단위, 열역...
열역학 법칙의 실생활에서의 응용, 그와 관련된 철학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