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의 성격과 특징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본론
2.1 경기체가의 개념
2.2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2.3 경기체가의 형성과정
2.4 경기체가의 작가와 향유층
2.5 경기체가의 형식과 유형
2.6 경기체가의 주제와 내용에 따른 분류 (대표적 작품 소개)
2.7 경기체가의 미적 경향
2.8 경기체가의 발전 및 소멸과정
2.9 경기체가의 의의

3. 맺음말

본문내용

고, 임란을 계기로 하여 사대부 계층이 그들의 세계를 과시하고 찬양할 여건이 상실하게 되자 자연적으로 소멸하게 되었던 것이다.
2.9 경기체가의 의의
내용면에서는 문학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하겠지만 운율적으로는 한국적 운율과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면서 향가 이후 우리의 정서를 표현할 새로운 시형의 모색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경기체가는 문학적 가치는 다소 결여되었다고 하나 문학사적인 가치는 크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 고려시대 이루어진 경기체가는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만 남아 전하므로 문학사적 위치를 논하기 어렵다. 그러나 조선 초기의 경기체가까지 고려하면 경기체가가 신흥사대부의 노래임은 물론이고 안축의 작품에서 조선 전기의 경기체가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안축의 경우 신흥사대부로 개경에 거주하던 문벌귀족과는 다르게 지방의 향리로서 기반을 다지고 자기 노력으로 진출했다. 안축은 고려의 과거에 급제하고 다시 원나라 과거에 급제했으며, 그런 경력에 힘입어 관직에 나아가고 고려 말기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려고 진력했다. 권문세족의 횡포를 제어하고 백성을 돌보고자 하는 의지를 한시를 통하여 적극 표현하였고, 경기체가를 짓는 것은 대단하지 않은 여기 정도로 생각했겠으나, 자기 스스로는 깊이 의식하지 않은 채 경기체가를 신흥사대부 의식의 구현물로 정착시키는 데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처럼 경기체가의 사물관은 신흥사대부 특유의 사고방식을 나타내면서 기존 국문시가에 대해 반발하는 의의를 지닌다.
3. 맺음말
경기체가는 고려 중엽이후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주로 한 학자에 읊어진 것으로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고도 한다.
경기체가의 장르에 대해서는 조동일은 경기체가는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인 교술장르에 속한다고 주장하였고, 김학성은 경기체가는 자아의 미적 감각에 의해 변형시켜 미적 구조물로 형상화하고 있으므로 오히려 세계의 자아화인 서정장르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다 후에 이를 다시 수정하여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을 유동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견해를 폈다. 요즘은 경기체가의 성격이 유동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명확히 결정을 내리지는 못했다.
그리고 경기체가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한 신흥사대부들이 주로 창작하고 향유했던 시가이다.
경기체가의 형식상의 특징은 ① 연장체 시가이다. ② 전대절과 후소절로 되어 있다.
③ 제1∼3행은 3보격, 제4∼6행은 4보격으로 이루어진 6행시이다.
④ 제4행과 제6행은 “위∼경 긔엇더니잇고”로 4음보를 이루는 것이 원칙이다.
⑤ 제1 2행은 334란 음수율에, 제5행은 4444란 음수율에 매우 익숙해 있다 는 것이다.
경기체가에 표현된 주제 의식을 요약하면 자신이 처한 현실 생활과 삶에 대한 만족과 거기에서 오는 기쁨과 즐거움이라고 할 수 있다.
경기체가의 향락적, 자기 과시적 성격은 고려 후기 신흥 사대부들의 의욕적인 성격과 맞물려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에 걸쳐 크게 유행하였고 특히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악장문학으로서의 큰 몫을 담당해냈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로 접어들면서는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특히 사림들에 의해 많은 비판을 받게 되면서 경기체가는 결국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 삶에 대한 만족과 기쁨을 노래하는 자기 과시의 유흥 문학으로 출발한 경기체가는 그 틀 속에 변화를 담아내지 못하고 결국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문학개론』, 김열규, 학지사, 1998
『경기체가 연구』, 박경주, 이회문화사, 1996
『한국 한림시 평석 : 경기체가』, 경북대학교 출판부, 김창규, 1962 등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