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암 박지원의 출신 배경
2. 연암 박지원의 세계관
(1) 자연관
(2) 인간관
3. 연암 박지원의 문학에 대하여
(1) 박지원은 신분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다.
(2) 박지원의 신분관
4. 연암 박지원의 경제관
(1) 농업
(2) 상공업
5. 연암 박지원이 남긴 영향
(1) 연암학파
(2)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
2. 연암 박지원의 세계관
(1) 자연관
(2) 인간관
3. 연암 박지원의 문학에 대하여
(1) 박지원은 신분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다.
(2) 박지원의 신분관
4. 연암 박지원의 경제관
(1) 농업
(2) 상공업
5. 연암 박지원이 남긴 영향
(1) 연암학파
(2)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
본문내용
72년) 사신으로 다시 청(淸)에 가서 양무운동(洋務運動)을 목격하고 조선의 개국과 개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귀국 후 형조판서(刑曹判書), 우의정을 거치면서 당시 강력한 쇄국정책을 펼치던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게 천주교의 박해를 반대하고 문호개방의 필요성을 역설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1874년에 사퇴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그의 사랑방에서 김옥균(金玉均), 홍영식(洪英植), 서광범(徐光範),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등 젊은 양반자제를 대상으로 실학적 학풍을 전하고 중국에서의 견문과 국제정세를 가르치며 개화파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875년 운요호사건을 빌미로 일본이 수교를 요구해오자 그는 최익현(崔益鉉) 등의 강력한 척화(斥和) 주장을 물리치고 일본과의 수교를 주장하여 강화도조약을 맺게 하였다. 이후 박규수의 영향을 받은 젊은이들은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주도하는 등 개화기의 조선에 큰 족적을 남겼다.
※ 참고자료
저서
강만길,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출판사, 1998)
김지용, 『연암 박지원의 이상과 그 문학』(명문당, 2005)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푸른역사, 1998)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 2』(동방미디어, 2000)
정진석 정성철 김창원, 『조선철학사(상)』(이성과 현실사, 1988)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예문서원, 1996)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예문서원, 1996)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다운샘, 2000)
논문, 글
강혜선, <박지원 문학의 근대성에 대하여>, 『박지원 문학 연구』(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1)
박용기,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경제사상과 직업논리>, 『전문경영인연구』(1999)
배병삼, <박지원의 유토피아 : 「허생전」의 정치학적 독해>, 『정치사상연구 9집』(2003)
민현식, <다시 보는 연암 박지원>,『인물과 사상 제 18호』(1999)
장석규, <‘序’에 나타난 박지원의 현실인식>,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통권 제 53호』(1992)
Emanuel Pastreich,<연암, 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과 그의 단편들 - 조선후기 사회에서 지식인의 역할>,『한국한문학연구 제 36호』 (2005)
기타 자료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서울대학교 규장각 공식 홈페이지(http://kyujanggak.snu.ac.kr/)
※ 참고자료
저서
강만길,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출판사, 1998)
김지용, 『연암 박지원의 이상과 그 문학』(명문당, 2005)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푸른역사, 1998)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 2』(동방미디어, 2000)
정진석 정성철 김창원, 『조선철학사(상)』(이성과 현실사, 1988)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예문서원, 1996)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예문서원, 1996)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다운샘, 2000)
논문, 글
강혜선, <박지원 문학의 근대성에 대하여>, 『박지원 문학 연구』(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1)
박용기,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경제사상과 직업논리>, 『전문경영인연구』(1999)
배병삼, <박지원의 유토피아 : 「허생전」의 정치학적 독해>, 『정치사상연구 9집』(2003)
민현식, <다시 보는 연암 박지원>,『인물과 사상 제 18호』(1999)
장석규, <‘序’에 나타난 박지원의 현실인식>,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통권 제 53호』(1992)
Emanuel Pastreich,<연암, 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과 그의 단편들 - 조선후기 사회에서 지식인의 역할>,『한국한문학연구 제 36호』 (2005)
기타 자료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서울대학교 규장각 공식 홈페이지(http://kyujanggak.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