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 자연적 교육관
3) 실천적 교육관
3. 결론
* 참고문헌
2. 본론
1)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 자연적 교육관
3) 실천적 교육관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칸트의 교육개념의 범위와 교육의 필요성, 둘째, 자연적 교육, 셋째, 도덕적 도야와 실천적 교육이었다. 이러한 고찰에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칸트의 교육학에 관한 강의의 주요관심이 도덕적 진보에 도달하는 방법에 있었다. 그는 그러한 점에 자신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있다. 왜냐하면 Brumbaugh 等이 지적한 바와 같이 모든 지식은 인격에 의하여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무용하고 유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칸트는 우리의 궁극적 목적이 인격의 형성이라고 말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측면에서 칸트는 고전이론과 현대이론의 교량 이상이었고 또한 한 시대(18세기)의 대변자 이상이었다는 칸트에 관한 Brumbaugh 等의 論評은 그에게 합당한 논평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김병옥,「칸트의 교육사상 연구」, 집문당, 1986.
2. 김영래,「칸트의 교육이론」, 학지사, 2003.
3. 임태평, 「교육이론」, 이문출판사, 1984.
4. 채후남,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해석적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5. 칸트/ 조관성 옮김, 「칸트의 교육학 강의」, 철학과현실사, 2001.
그러므로 칸트는 우리의 궁극적 목적이 인격의 형성이라고 말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측면에서 칸트는 고전이론과 현대이론의 교량 이상이었고 또한 한 시대(18세기)의 대변자 이상이었다는 칸트에 관한 Brumbaugh 等의 論評은 그에게 합당한 논평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김병옥,「칸트의 교육사상 연구」, 집문당, 1986.
2. 김영래,「칸트의 교육이론」, 학지사, 2003.
3. 임태평, 「교육이론」, 이문출판사, 1984.
4. 채후남,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해석적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5. 칸트/ 조관성 옮김, 「칸트의 교육학 강의」, 철학과현실사,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