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형이상학
2.윤리학
3.예술관
4.이상적인 국가
5.인식론
6.논리학
7.덕론
8.정치학
2.윤리학
3.예술관
4.이상적인 국가
5.인식론
6.논리학
7.덕론
8.정치학
본문내용
아침에 꺾은 그 장미꽃은 아주 짙으면서도 선명한 붉은색을 띠고 있다’와 같이 설명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도 엄밀하게 말하자면 내가 지각하는 순간의 붉음과 다음 순간에 내가 지시하는 순간의 붉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실체의 상태로 인해 다른 ‘붉음’들일 수밖에 없다. 결국 나는 그 ‘붉음’을 지각한 그대로 정확하게 이야기할 수 없으며, 어떤 방식으로든 일반화된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는 표현할 수 없다.
6.논리학
1). 실재에 대한 인간의 사유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
2). 형이상학의 기초
3). 삼단논법
대전제 : 모든 인간은 죽는다. P → M
소전제 :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S → M
결 론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S → P
7.덕론
인간의 영혼 - 비이성적인 기능을 하는 부분 - 식물적인 부분: 무의식적 기능 - 동물적인 부분: 의식적 기능
도덕적인 덕: 이성에 귀 기울이고, 이성의 명령에 따르는 덕 습관의 산물
- 이성적인 기능을 하는 부분 - 의식성, 신중성, 인간으로서 탁월성
지적인 덕 - 이론적 지혜 - 실천적 지혜
→ 참된 덕을 인식하고(이론지) 사려 깊게 이를 실천에 옮겨(실천지) 아는 것을 거듭 실천해서 습관화해야(도덕적인 덕) 유덕한 사람
8.정치학
1). 국가의 기능- 도덕적 지적인 인간 생활의 보충(이를 행하지 못하면 비판 가능)
2). 인간은 사회적 정치적 동물이다.
3). 정의 - 중용
① 보편적 정의
② 특수적 정의 - 분배적 정의: 개인의 능력, 업적을 기준으로 분배
- 교정(시정, 개선)적 정의: 과오, 불의 일어났을 때 공평한 몫을 찾는 것
6.논리학
1). 실재에 대한 인간의 사유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
2). 형이상학의 기초
3). 삼단논법
대전제 : 모든 인간은 죽는다. P → M
소전제 :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S → M
결 론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S → P
7.덕론
인간의 영혼 - 비이성적인 기능을 하는 부분 - 식물적인 부분: 무의식적 기능 - 동물적인 부분: 의식적 기능
도덕적인 덕: 이성에 귀 기울이고, 이성의 명령에 따르는 덕 습관의 산물
- 이성적인 기능을 하는 부분 - 의식성, 신중성, 인간으로서 탁월성
지적인 덕 - 이론적 지혜 - 실천적 지혜
→ 참된 덕을 인식하고(이론지) 사려 깊게 이를 실천에 옮겨(실천지) 아는 것을 거듭 실천해서 습관화해야(도덕적인 덕) 유덕한 사람
8.정치학
1). 국가의 기능- 도덕적 지적인 인간 생활의 보충(이를 행하지 못하면 비판 가능)
2). 인간은 사회적 정치적 동물이다.
3). 정의 - 중용
① 보편적 정의
② 특수적 정의 - 분배적 정의: 개인의 능력, 업적을 기준으로 분배
- 교정(시정, 개선)적 정의: 과오, 불의 일어났을 때 공평한 몫을 찾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