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연방 규제기구들은 연구 부정행위의 범위를 날조, 변조 및 표절로 정의
2. 연구 부정행위 증가의 원인
3. 주요 연구 부정행위 사례
4. 과학 연구윤리(날조, 변조, 표절) 문제를 막기위한 방법
2. 연구 부정행위 증가의 원인
3. 주요 연구 부정행위 사례
4. 과학 연구윤리(날조, 변조, 표절) 문제를 막기위한 방법
본문내용
극심한 경쟁양상이 연구 부정행위의 중요한 동기
- 이해관계가 상층할 경우 당사자 간의 권위의 차이로 인해 보편주의(universalism) 원칙이 실제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됨
· 소만 사건에서도 거정(펠리크)과 신전연구자(로드바아드) 간의 권위의 차이는 신진연구자의 주장이 신뢰받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
4. 과학 연구윤리(날조, 변조, 표절) 문제를 막기위한 방법
(1)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제도 수립
① 전체 연구진행과정(주제선정 → 연구수행 → 결과보고 → 성과활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윤리문제를 포괄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설계
②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중하고 지속적인 정책수립 과정이 필요
(2) 감독과 예방활동의 병행을 통해 제도의 실효성 제고
① 연구 부정행위에 대해 엄격한 처벌기준을 마련하되,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의 합리성과 공정성 확보에 유의
② 위반행위를 단속하고 감시하는 것으로는 정직한 연구문화 조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사전적 예방을 위한 노력과 조치를 병행해야 함
(3) 상호간 이해증진으로 생산적 토론문화 조성
①정부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쟁점을 공론화하고 사회적 합의 도출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
② 과학기술계와 사회 구성원들이 상호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대한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 확충
<1>Elizabeth Wilson, "Superheavy Furor", C&EN News, Vol 80, No.29, p22, 2002.7.22
<2>Broad, W. and Wade, N., 『과학사에 오점을 남긴 배신의 과학자들』, 박익수 譯, 겸지사, 1996
- 이해관계가 상층할 경우 당사자 간의 권위의 차이로 인해 보편주의(universalism) 원칙이 실제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됨
· 소만 사건에서도 거정(펠리크)과 신전연구자(로드바아드) 간의 권위의 차이는 신진연구자의 주장이 신뢰받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
4. 과학 연구윤리(날조, 변조, 표절) 문제를 막기위한 방법
(1)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제도 수립
① 전체 연구진행과정(주제선정 → 연구수행 → 결과보고 → 성과활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윤리문제를 포괄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설계
②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중하고 지속적인 정책수립 과정이 필요
(2) 감독과 예방활동의 병행을 통해 제도의 실효성 제고
① 연구 부정행위에 대해 엄격한 처벌기준을 마련하되,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의 합리성과 공정성 확보에 유의
② 위반행위를 단속하고 감시하는 것으로는 정직한 연구문화 조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사전적 예방을 위한 노력과 조치를 병행해야 함
(3) 상호간 이해증진으로 생산적 토론문화 조성
①정부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쟁점을 공론화하고 사회적 합의 도출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
② 과학기술계와 사회 구성원들이 상호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대한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 확충
<1>Elizabeth Wilson, "Superheavy Furor", C&EN News, Vol 80, No.29, p22, 2002.7.22
<2>Broad, W. and Wade, N., 『과학사에 오점을 남긴 배신의 과학자들』, 박익수 譯, 겸지사, 1996
추천자료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
21세기 결정론적 과학과 환원주의
[서평] 과학의 사기꾼
왜 중국에서는 과학 혁명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고대, 중세와 구별되는 17세기 과학의 특징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한계-<이슬람의 과학과 문명>과 <마셜 호지슨의 세계사론>을 비...
제 7차 과학교과 교육과정
소칼논쟁을 중심으로 한 과학연구의 역사성과 철학적 문제들
[교육사회학A+] 과학고와 외고를 중심으로 기능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특목고 열풍 분석
황우석사태를 통해본 한국의 과학문화
서평-'기술혁신의경제학'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저서 비교
[서 평] 과학혁명의 구조
로봇, 과학과 인문학 융합의 정점
나와 너의 사회과학 _ 우석훈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