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주제안권
2. 제안권자
3. 주주제안권의 행사방법
4. 주주제안권의 효과
5. 주주대표소송
6. 주주집단소송
7. 주주제안권(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제기할 수 있는 방법)
ㄱ. 서 론
ㄴ. 제도의 활용
ㄷ. 주주제안권
8 번외
ㄱ) 제안 후 주주확정 전에 주주제안권 행사요건을 상실한 경우
ㄴ)법적 검토
2. 제안권자
3. 주주제안권의 행사방법
4. 주주제안권의 효과
5. 주주대표소송
6. 주주집단소송
7. 주주제안권(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제기할 수 있는 방법)
ㄱ. 서 론
ㄴ. 제도의 활용
ㄷ. 주주제안권
8 번외
ㄱ) 제안 후 주주확정 전에 주주제안권 행사요건을 상실한 경우
ㄴ)법적 검토
본문내용
것이다. 하지만 회사의 경영상의 중요문제 등에 있어서 그 결정에는 소수주주들의 의견 또한 존중되고 반영되어야 하였다. 회사에 출자를 한 주주들에 대해서는 어떤 형식으로든 경제적 이익을 확보할 수단과 주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법적인 보장장치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법은 이러한 필요에 따라 소수주주의 보호와 관련하여 주주제안제도를 1997년부터는 상장회사에 1998년부터는 일반회사에 적용시행하였다. 주주제안권이 제도화됨으로써 첫째 과거 형식적이었던 주주총회의 기능을 활성화 하고 회사경영의 민주화를 이룰 수 있게 되었고 둘째 경영진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견제장치가 마련되어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존재과시를 목적으로 정관변경을 요구하거나 투기집단에 의한 위협행동을 보이는 등 주주제안권의 역기능 또한 부각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소수주주의 보호라는 차원에서 도입된 주주제안제도의 법률적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주제안권, 의주주제안권(Antragsrecht)이란 「주주가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러한 주주제안권은 미국(증권거래위원회규칙 14a-8조)영국(회사법 제376조)독일(주식법 제126~127조)일본(상법 제232조의 2) 등에서 인정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에 증권거래법을 개정하여 주권상장법인에 대하여 이를 인정하다가(증권거래법 제191조의 14) 1998년 개정상법에 의하여 상법상 모든 주식회사에 주주제안권제도를 두도록 일반화 되었다.
추천자료
상법 서브노트
기업회계의 주요 이슈와 시사점
[주식회사의 합병_M&A]
외환카드사의 노사분쟁
[제도경제학]주인-대리인모형에 관한설명과 공개법인이 안고 있는 약점
상법(회사법) 요약 서브노트
소수지배구조
미국의 회사지배구조
전환사채 저가발행에 대한 이사의 배임죄 성부
카카오톡마케팅,카카오톡서비스문화,카카오톡이슈,온라인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
[기업금융][기업금융 특성][기업금융 격차][기업금융 규제][기업금융 제도][기업금융 지원][...
[회사설립][회사설립 지주회사 설립][회사설립 법인회사 설립]회사설립의 유형, 회사설립의 ...
[기업경제학]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국내외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5개 이상 조사...
2016년 2학기 주식회사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선고 2005다45537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