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의 정의와 체력 측정 방법 총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력의 정의와 체력 측정 방법 총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체력의 정의

-체력 측정 방법 및 평가 진단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체력에 대한 마무리 정리

본문내용

무게 81.80kg을 가진 남학생보다 파워가 적은 값을 내었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정환한 파워의 산출값을 얻기 위해서는 피검자의 몸무게를 고려한 계산표를 마련하여 이용해야 한다.
- 순발력의 측정방법
에르고미터(ergometer)를 이용하는 방법
중량부하법
중량부하법(weigt loading method)은 일정한 중량을 부하로 하여 그 중량에 대한 근수축의 최대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근육에 중량이 작용했을 때 근 운동이 끝날 무렵의 속도는 어느 일정치에 이르게 되며, 이 때의 힘은 중량과 일치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힘과 속도의 관계” 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때 사용되는 측정기로서의 중량부하장치는 근 수축에 대한 자극 부하로 규정된 부하 량, 즉 0.5 1, 3, 5, 10, 20kg의 추가 각각 2개씩, 그리고 근 수축 동작에 따르는 돌림 레버의 각도 변화상황을 증폭기에 전송하기 위하여 전자식각도계가 준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순발력을 측정한다.
관성부하법
관성부하란 중력과 관계없는 물체의 관성법칙 (힘 = 질량 X 가속도)을 이용한 부하를 말한다. 그러므로 관성부하법은 관성의 법칙을 응용한 관성수레바퀴와 돌림속도에 의해 근파워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부하로 사용되는 관성질량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측정방법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전신 순발력을 측정하는 방법
제자리 높이뛰기 검사
제자리 높이뛰기 검사는 다리의 순발력을 측정하는 종목으로써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최대의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계측한다. 그러나 근육에 대한 순발력, 즉 파워를 측정하려면 피검자로 하여금 일정한 중량의 물건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운동을 하고 , 그 때의 소요 시간을 계측하여 작업율을 계산해야 한다. 제자리 높이뛰기는 피검자의 몸무게가 중량물이 되기 때문에 엄밀한 파워를 측정하려면 몸무게와 근수축력이 도약하는데 발휘된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제자리 높이뛰기의 측정치(D)와 몸무게(W),시간(T)을 계측하여 그 때의 발휘한 출력 파워의 평균치(P)를 계산한다. 그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W X D / T
P = 파워 , W = 몸무게 , D = 거리 , T = 시간
일반적으로 다리펴짐근력과 제자리 높이뛰기의 값은 비례하고 있으나, 근육의 내부저항 및 신경근육의 협조성 등 근 수축 속도를 좌우하는 여러 인자는 개인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리펴짐근력만을 측정하여 순발력을 추정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러나 실제 경기에서 도약거리를 계측하기 때문에 몸무게 값에 의하여 측정치를 환산하지 않고 측정값 그대로를 이용해도 좋을 것이다.
- 유의사항
서서 팔을 뻗을 때 무릎과 팔꿈치를 굽히지 않고 똑바로 편다.
발뒤꿈치를 들지 않고 가능한 높은 곳에 표시한다.
제자리 멀리뛰기 검사
제자리 멀리뛰기 검사는 도움닫기 없이 제자리에서 앞쪽으로 멀리뛰는 동작으로써 주로 다리 부분의 근육군을 중심으로 한 전신 순발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제자리 멀리뛰기는 제자리 높이뛰기와 어느 정도 비슷한 근육을 사용하고 있으나, 파워의 요소는 약간 적은 편이다. 그리고 여러 가지의 체력요인 (근력 평형성 유연성 협응성 등) 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자리 멀리뛰기의 수평 이동거리가 키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도 있다. 그런데도 제자리 멀리뛰기를 순발력 측정종목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것은 특별한 장소나 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과 일상생활을 통해 어릴 때부터 훈련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성이 있다는 이유에서 이다.
- 측정방법
멀리뛰기를 할 수 있는 모래 밭, 줄자, 고무래, 비 등을 준비한다.
피검자는 발구름판 위에 표시선을 넘지 않도록 서서 팔과 몸통의 충분한 예비동작을 실시하여 앞으로 멀리 뛴다.
이 때 발구름은 양발로 해야 하며 공중자세는 자유롭게 한다.
착지된 곳의 계측은 구름판 표시선에서 가장 가까운 신체부위 (발뒤꿈치 손 엉덩이 등) 의 착지점까지 거리를 구름판 표시선과 직각이 되도록 계측한다.
2회 실시하여 멀리 뛴 거리를 기록하되 단위는 cm로 하고 cm 이하는 반올림한다.
- 유의사항
신체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모래사장에서 실시한다.
항상 모래 표면의 높이는 수평이 되도록 한다.
발구름판 위에서 표시선을 넘지 않도록 한다.
수직으로 팔 뻗치기 검사
수직으로 팔 뻗치기 검사는 의자에 앉아 로프를 두 손으로 잡고 두 어깨와 팔 손 몸무게
를 위로 끌어 옮기는 능력을 측정하는 순발력 검사종목이다. 특히 이 종목은 윗몸의 근육이
잘 발달된 사람이나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그리고 간편한 방법으로 쉽게 누구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순발력 측정종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종목
도 제자리 높이뛰기와 마찬가지로 근수축력을 발휘할 때 자기의 몸무게를 중량물로 이용하
고 있기 때문에 엄밀한 파워를 측정하려면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의
점수는 다음의 공식 ( 점수 = 당긴거리 X 몸무게/12 )으로 변환하여 기준표를 작성해야한
다.
- 측정방법
피검자는 의자에 앉아서 (약 15인치 높이) 팔을 뻗어 두 손으로 로프를 잡고 두 손의 바
로 윗부분에 테이프로 표시한다
그리고, 두 다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준비 자세를 취한다.
피검자는 신호와 함께 아래에 위치한 손과 팔로 몸을 끌어올려 로프의 최고 위쪽을 잡도
록 한다.
측정자는 피검자가 로프를 옮겨 잡은 손 바로 위에 테이프로 표시한다.
처음에 테이프로 표시한 부분에서 손을 옮겨 잡고 표시한 부분의 거리를 계측한다.
2회 실시하여 가장 높이 잡은 거리를 기록하되 단위는 cm로 하고 cm 이 하는 반올림함
- 유의사항
피검자는 측정을 위해 테이프 표시를 완료할 때까지 무릎을 구부리지 않는다.
피검자는 옮겨 잡은 손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측정자는 피검자와 같은 높이의 의자에 올라가 옮겨 잡은 손의 위치를 빠르게 표시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5.1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