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갑신정변 배경, 의의 및 한계
2.갑오개혁 배경, 의의 및 한계
3.농민전쟁 배경, 의의 및 한계
2.갑오개혁 배경, 의의 및 한계
3.농민전쟁 배경,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로 인식하지 못하고 보수유생과 민비의 공격으로 실각하였다. 이후 조선에는 민비를 중심으로 한 민씨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조선을 이끌어 갈만한 정치적 역량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농민들은 낡은 구질서를 과감하게 거부하고 새로운 사회구조를 지향하게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동학농민운동은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제기된 반침략과 반외세를 분명히 하였다. 농민군은 외세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며 이를 극복하려는 민족사적 요구에 가장 먼저 희생적으로 나섬으로서 근대 민족운동의 효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동학농민혁명으로 한국근대사의 방향이 결정되었다. 19세기 후반 조선은 외세배격의 자주화와 반봉건의 근대화라는 두가지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지배층은 반외세의 입장에서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기도 하고, 반봉건의 입장에서 개화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모두 자주화 또는 근대화의 한 측면만을 강조하고 주장함으로서 당시 조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즉 위로부터의 개혁은 실해파고 만 것이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농민들이 아래로부터 개혁을 추진하여 동학농민운동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동학농민혁명은 한국 민족민주통일운동의 시발점이라는 것이다. 동학농민운동은 실패하였다. 실패한 혁명이라는 말이 성립되지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이후 전개되는 한국사의 발전과정에서 동학농민혁명이 민족민주통일 운동의 정신적뿌리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며, 현대에 전개된 여러 민주화운동인 4.19혁명, 5.18광주민중항쟁, 6.29민주화운동 역시동학농민혁명으로부터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 동학농민운동의 결과
1). 정치적으로 개국 연호를 사용하며, 왕실과 정부의 사무 분리로 국왕의 전제권을 제한할 것. 과거제도 폐지, 새로운 관리 임용제도 실시, 사법권 행정권의 분리, 지방관 권한 축 소.
2). 경제면에 있어서는 재정의 일원화 (재정은 탁지부가 관장), 은본위의 화폐 제도 채택, 조세의 금납제 시행,도량형의 통일
3). 사회면에서 신분제 철폐 (양반.평민의 계급 타파), 공사 노비제도 폐지, 인신매매행위 금지, 봉건적 폐습의 타파(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 폐지.
4). 국방면에서는 개혁 과정에서 훈련대의 창설 및 확충, 사관 양성소의 설치 등을 시도했 으나 조선의 군사력 강화를 꺼린 일본의 방해로 군사 제도의 개혁은 실패.
* 동학농민운동의 결과
1). 정치적으로 개국 연호를 사용하며, 왕실과 정부의 사무 분리로 국왕의 전제권을 제한할 것. 과거제도 폐지, 새로운 관리 임용제도 실시, 사법권 행정권의 분리, 지방관 권한 축 소.
2). 경제면에 있어서는 재정의 일원화 (재정은 탁지부가 관장), 은본위의 화폐 제도 채택, 조세의 금납제 시행,도량형의 통일
3). 사회면에서 신분제 철폐 (양반.평민의 계급 타파), 공사 노비제도 폐지, 인신매매행위 금지, 봉건적 폐습의 타파(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 폐지.
4). 국방면에서는 개혁 과정에서 훈련대의 창설 및 확충, 사관 양성소의 설치 등을 시도했 으나 조선의 군사력 강화를 꺼린 일본의 방해로 군사 제도의 개혁은 실패.
추천자료
[역사학] 일본전쟁사... - 일본 전쟁 -
아편전쟁
중세의 위기 : 농민반란
[A+레포트]근대 중국의 농민사회
고려 시대의 농민 항쟁에 관해서
태평천국의 발생배경과 농민혁명의 전개 및 그 성격
한국전쟁과 마을에서의 전쟁 경험 사례 연구
메이지 유신 역사, 유래, 청일전쟁, 러일전쟁, 민주사변, 중일전쟁, 2차세계대전, 태평양 전...
논문요약-아편전쟁과문호개방에대한중국의역사교육과역사인식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한민족 전쟁사 - 항일 의병전쟁 : 항일운동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 독립군 항일...
조선시대의 사회와 문화 - 조선후기의 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
전쟁과 평화 - Voyna I M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