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1 사회 문제
Ⅱ-1 국사 문제
Ⅲ. 결론
Ⅱ. 본론
Ⅱ-1 사회 문제
Ⅱ-1 국사 문제
Ⅲ. 결론
본문내용
의 사회문항들과 같은 형식의 국사 문제들에서 한 가지의 정보만 알고서는 정답을 고를 수 없도록 구성된 문항이 눈에 띄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도를 제시하고 그것을 해석하는 문제들도 들어가 있고, 사회문항 보다는 훨씬 더 중립적이면서 매력적인 오답들이 많이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시험의 난이도를 측정 하자면 '중하'의 사회문제와 '중상'의 국사 문제들이 한 시험지에 섞여 있기 때문에 '중'의 난이도를 보이고 있는 시험으로 보는 것이 합당 할 듯하다.
그리고 이 시험의 이원 분류의 수준을 이야기 하자면, 전체적으로 지식, 이해, 적용의 유형의 문항이었다. 이중 이해와 적용의 문항은 사회문항에서 각각 2문제 1문제 정도였고, 국사문제는 이해 문제만 3문제 정도로 대부분이 지식을 확인하는 문제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과 과목의 시험이 암기과목으로 인식되는 것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어서 문항배열을 살펴보면 사회과 과목은 민주주의를 다루는 문제에서 시작해 정치, 끝으로 경제영역의 문제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논리적인 순서를 따라 문항을 배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사문제들은 전부 조선시대에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사과목의 특징에 맞게 조선의 건국에서부터 임진왜란으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문항을 배열한 모습을 보인다. 쉽게 이야기하면, 사회문제나 국사문제나 둘 다 각각 교과서 차례에 맞게 문항을 배열 한 것이다.
끝으로 편집 상태는 별다른 이야기를 할 것이 없을 듯하다. 굳이 이야기 하자면 국사 문항 중에 19,23,26,27 문제들은 각각 사진과 지도가 제시된 문제들인데, 지도 같은 경우는 지도 속의 글자를 알아보기 힘이 들고, 사진이 제시된 문항은 어떤 그림인지 상당히 알아보기 힘들어, 문제를 푸는데 있어 쓸데없는 시간낭비를 초래 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 됐다. 이 부분만 제외 하고는 전반적인 편집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충분히 평가 할 수 있다.
수십 년이라고는 비약해서 말 할 수 없지만, 중등학교를 졸업한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목 시험은 암기해서 쳤던 그때 그 시절과 전혀 달라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교육과정이 바뀌어 수업의 방식과 유형이 이전과 는 다른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여기저기서 이야기 하지만, 정작 평가의 부분은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진정 변화가 있었다면 이 시험문제들이 나에게 정말 어색하게 다가 왔을 터인데, 너무나도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을 보니 별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정작 시대는 순간순간 바뀌어가고 있는데, 평가방법은 여전히 수 십년전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니, 참 마음을 힘들게 하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우선은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제도가 변화해야 할 듯하다. 구성주의다 뭐다 정말 새롭고 멋진 교육방법과 평가법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금방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고등학생들에게는 구성주의는 힘없는 외침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어찌 학교에서 구성주의에 입각한 야심 찬 새 교육을 실시하고 평가를 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가장먼저 대학이 기존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평가방법을 가지고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평가 방법의 도입을 과감하게 감행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이란 움직임에 맞추어 중등학교도 새로운 몸부림을 치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번 시험문제에 관련한 연구를 통해서 중등학교의 평가방법의 변화가 지지부진한 사실을 파악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앞으로 시험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나는, 보다 새로운 평가 방법을 시도해 봐야 하겠다는 다짐을 했다.
그리고 이 시험의 이원 분류의 수준을 이야기 하자면, 전체적으로 지식, 이해, 적용의 유형의 문항이었다. 이중 이해와 적용의 문항은 사회문항에서 각각 2문제 1문제 정도였고, 국사문제는 이해 문제만 3문제 정도로 대부분이 지식을 확인하는 문제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과 과목의 시험이 암기과목으로 인식되는 것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어서 문항배열을 살펴보면 사회과 과목은 민주주의를 다루는 문제에서 시작해 정치, 끝으로 경제영역의 문제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논리적인 순서를 따라 문항을 배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사문제들은 전부 조선시대에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사과목의 특징에 맞게 조선의 건국에서부터 임진왜란으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문항을 배열한 모습을 보인다. 쉽게 이야기하면, 사회문제나 국사문제나 둘 다 각각 교과서 차례에 맞게 문항을 배열 한 것이다.
끝으로 편집 상태는 별다른 이야기를 할 것이 없을 듯하다. 굳이 이야기 하자면 국사 문항 중에 19,23,26,27 문제들은 각각 사진과 지도가 제시된 문제들인데, 지도 같은 경우는 지도 속의 글자를 알아보기 힘이 들고, 사진이 제시된 문항은 어떤 그림인지 상당히 알아보기 힘들어, 문제를 푸는데 있어 쓸데없는 시간낭비를 초래 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 됐다. 이 부분만 제외 하고는 전반적인 편집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충분히 평가 할 수 있다.
수십 년이라고는 비약해서 말 할 수 없지만, 중등학교를 졸업한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목 시험은 암기해서 쳤던 그때 그 시절과 전혀 달라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교육과정이 바뀌어 수업의 방식과 유형이 이전과 는 다른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여기저기서 이야기 하지만, 정작 평가의 부분은 전혀 바뀌지 않고 있다. 진정 변화가 있었다면 이 시험문제들이 나에게 정말 어색하게 다가 왔을 터인데, 너무나도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을 보니 별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정작 시대는 순간순간 바뀌어가고 있는데, 평가방법은 여전히 수 십년전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니, 참 마음을 힘들게 하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우선은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제도가 변화해야 할 듯하다. 구성주의다 뭐다 정말 새롭고 멋진 교육방법과 평가법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금방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고등학생들에게는 구성주의는 힘없는 외침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어찌 학교에서 구성주의에 입각한 야심 찬 새 교육을 실시하고 평가를 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가장먼저 대학이 기존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평가방법을 가지고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평가 방법의 도입을 과감하게 감행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이란 움직임에 맞추어 중등학교도 새로운 몸부림을 치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번 시험문제에 관련한 연구를 통해서 중등학교의 평가방법의 변화가 지지부진한 사실을 파악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앞으로 시험문제를 출제해야 하는 나는, 보다 새로운 평가 방법을 시도해 봐야 하겠다는 다짐을 했다.
추천자료
7차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 수학과 평가 및 6차 교육과정과의 비교
학교 교육과정 평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및 신구 교육과정 비교
교육과정및_평가_형식도야이론
교육과정 및 평가, 수업목표진술, 수업목표, 이원분류표, 문항
교육과정및평가 중간시험과제물 C형
수행 평가 및 교육과정 개발과 과제
제 6 장 교육과정 평가
현대 교육과정 및 평가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수업유형, 심화보충...
학교교육과정의 개념, 학교교육과정의 운영,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원칙, 학교교육과정의 수립...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특성,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체제, 학교교육과정의 ...
[2017 교직실무]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서술하시오. (교육과정 운영계획 수립, 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