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익명조합의 개념
1. 의의
2. 개념요소
Ⅱ. 익명조합의 효력
1. 익명조합의 내부관계
2. 익명조합의 외부관계
Ⅲ. 익명조합의 종료
1. 의의
2. 개념요소
Ⅱ. 익명조합의 효력
1. 익명조합의 내부관계
2. 익명조합의 외부관계
Ⅲ. 익명조합의 종료
본문내용
명조합의 종료
1. 종료사유
가. 당사자의 해지
(1) 존속기간의 정함이 없는 때 혹은 종신계약
(가) 계약으로 조합의 존속기간을 정하지 않았거나
(나) 어느 당사자의 종신까지 존속할 것을 약정한 때에는 각 당사자는
영업 년도 말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상법 제83조 1항 본문)
(다) 이 규정에 의한 계약해지를 하려는 당사자는 6개월 전에 미리 상대방에게 예고하여야 한다.
(2)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
(가) 존속기간의 약정의 유무에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각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상법 제 83조 2항)
나. 법정사유에 의한 종료
익명조합계약은 다음의 사유로 인하여 종료한다.(상법 제84조)
(1) 영업의 폐지 또는 양도
(2) 영업자의 사망 또는 금치산 경우
(3) 영업자 또는 익명조합원의 파산
2. 종료의 효과
가. 익명조합계약이 종료한 때에는 영업자는 익명조합원에게 그 출자의 가액을
반환하여야 한다.
나. 출자가 손실로 인하여 감소된 때에는 그 잔액을 반환하면 된다.(상법 제85조)
다. 익명조합원이 현물로 출자를 한 경우에도 그 가액을 반환하면 족하다.
라. 계산은 종료단시의 재산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 종료사유
가. 당사자의 해지
(1) 존속기간의 정함이 없는 때 혹은 종신계약
(가) 계약으로 조합의 존속기간을 정하지 않았거나
(나) 어느 당사자의 종신까지 존속할 것을 약정한 때에는 각 당사자는
영업 년도 말에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상법 제83조 1항 본문)
(다) 이 규정에 의한 계약해지를 하려는 당사자는 6개월 전에 미리 상대방에게 예고하여야 한다.
(2)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
(가) 존속기간의 약정의 유무에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각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상법 제 83조 2항)
나. 법정사유에 의한 종료
익명조합계약은 다음의 사유로 인하여 종료한다.(상법 제84조)
(1) 영업의 폐지 또는 양도
(2) 영업자의 사망 또는 금치산 경우
(3) 영업자 또는 익명조합원의 파산
2. 종료의 효과
가. 익명조합계약이 종료한 때에는 영업자는 익명조합원에게 그 출자의 가액을
반환하여야 한다.
나. 출자가 손실로 인하여 감소된 때에는 그 잔액을 반환하면 된다.(상법 제85조)
다. 익명조합원이 현물로 출자를 한 경우에도 그 가액을 반환하면 족하다.
라. 계산은 종료단시의 재산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추천자료
근대 유럽에서의 협동조합사상의 흐름 및 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우리나라 농업협동조합의 발전과정을 설명해 보시오.
우리나라 노동조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사관계론]국내외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연구
농정개혁의 성과와 협동조합개혁의 주요내용과 평가
핀란드의 협동조합 기업지배구조의 이슈 및 사례분석
영국 노사관계 현황과 신노동조합주의 도입 및 시사점
[노동조합]노동자 개인의 노조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산별교섭][금융노조][은행노조][금속노조][보건의료노조][병원노조][노동조합]산별교섭 실태...
근대 유럽에서의 협동조합사상의 흐름 및 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조사방법 설계]조사방법 설계 사례1(시민만족도), 조사방법 설계 사례2(5 18), 조사방법 설...
[사회복지법제]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기본개념, 진행상황, 한국사례, 외국사례 등에 대하...
몬드라곤 협동조합
대전 도시철도 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