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로농구 경기의 특성 및 비득점 부문의 내용변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농구경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농구경기의 창안
2. 농구경기의 보급
3. 농구경기의 특성
4. 한국 프로농구의 특성
5. 한국농구의 도입과 전망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및 처리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비득점 부문 내용변화 분석
1) 리바운드 획득률 변화 분석
2) 어시스트 성공률 변화 분석
3) 파울 횟수 변화 분석
4) 스틸 성공률 변화분석
5) 실책 횟수 변화분석
6) 블록 슛 성공률 변화분석
7) 팀 리바운드 변화분석
8) 부정수비 변화분석
9) 속공 성공률 변화분석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000∼'2001시즌에는 상위그룹이 6.37개의 빈도를 보였고 하위그룹이 5.98개의 빈도로 상위그룹이 평균 0.39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즌
그룹
97시즌
97-98시즌
98-99시즌
99-2000시즌
2000-2001시즌
평 균
M±SD
M±SD
M±SD
M±SD
M±SD
M
上位
5.08±0.81
3.98±0.97
4.70±0.59
6.37±1.38
5.03
下位
3.50±0.73
2.80±0.73
3.86±0.50
5.98±1.57
4.03
<표 10> 속공 성공률 각 그룹별 평균 및 표준편차
전체 시즌의 속공 빈도는 상위그룹이 평균 5.03개의 빈도를 보였으며 하위그룹은 4.03개의 빈도로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위그룹이 전체평균 1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형기(1998)의 연구에서는 승리했을 경우 5.14회, 패배했을 경우 3.82회로 나타났으며 속공의 경우 어시스트와 마찬가지로 직접 골과 연결할 수 있는 점수 획득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보고하였다.
이성구(2000)의 저서에서는 "농구에 있어서 속공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속공은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할 때 상대편이 자기의 수비진영으로 돌아가서 수비태세를 갖추기 전에 상대편보다 먼저 볼을 공격지역으로 운반하여 노 마크 상태에서 슈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는 만큼 어떤 공격법보다 가장 효과적인 중요한 공격법의 하나이다." 라고 속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김차용·박제영(1999)의 연구에서 역시 승리했을 경우 4.08회, 패배했을 경우 2.76회로 선행연구와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Ⅴ. 결 론
본 고는 남자 프로농구의 경기내용 중 비득점 부문의 기록을 각 시즌별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평균을 빈도 분석하였으며 평소 선수들의 훈련과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개의 각 시즌별 비득점 부문의 기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자 프로농구에서 경기성적이 우수한 상위그룹은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실책, 블록 슛, 부정수비, 속공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경기성적이 저조한 하위그룹은 파울, 팀 리바운드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경기성적에 따른 비득점 부문의 경기요인은 어시스트, 스틸, 속공 등의 공격요인이 경기성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비요인의 파울, 팀 리바운드, 부정수비 등은 경기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문헌
김차용·박제영(1999). '98-99시즌 한국프로농구 경기의 승·패 요인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2호 pp. 455∼464.
경향신문(1997). 1월 27일자.
籠球界(1991). 농구창설 100주년-대한농구협회 창립 60주년 기념호. 대한농구협회.
대한농구협회(1999). 농구경기규칙(1999∼2002), 대한농구협회.
대한농구협회(2000). 대한농구협회 홈페이지, http://www.basketball.or.kr
大韓籠球協會「韓國籠球 80年」史 編纂委員會(1989). 韓國籠球八十年. 大韓籠球協會
모창배(1999). 체육문화사, 청주대학교 출판부.
______(2000). 모창배의 홈페이지(농구교실), http://cyber.chongju.ac.kr/~cbmo
문홍수(1998). 프로농구 경기의 내용 및 승패 요인 분석. 용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명수·이종희(1987). 아시아 경기대회 농구경기 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학 논문집. 15. 123-135.
박제영(1996). 제18회 유니버시아드 여자 농구경기의 승패요인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5(2). 111-118.
방 열(1997). 바스켓볼 농구를 잘 아는 길 농구를 잘 하는 길, 도서출판 하나로.
스포츠조선(2000). "프로농구 운영-규칙 대폭변경", 10월 12일자.
이성구(2000). 농구의 기본적 배경(Winner Basketball). 도서출판 일원.
이행준(1997). '97 FILA배 농구 경기의 요인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종희(1972). "농구경기 기술에 관한 연구", 농구2, 3호, 서울 : 대한농구협회.
유인영(2000). 한국프로농구의 경기내용 변화분석.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세영(1997). FILA배 '97 프로농구연감, 한국농구연맹.
______(1998). FILA배 97-98 프로농구연감, 한국농구연맹.
______(1998). 현대걸리버盃 98-99 프로농구 미디어가이드북, 한국농구연맹.
______(1999). 현대걸리버盃 98-99 프로농구연감, 한국농구연맹.
______(1999). '99-2000 애니콜 프로농구 미디어가이드북, 한국농구연맹.
______(2000). '99-2000 애니콜 프로농구연감, 한국농구연맹.
______(2000). 한국농구연맹 홈페이지, http://www.kbl.or.kr
______(2001). 2000-2001 애니콜 프로농구연감, 한국농구연맹.
윤형기(1998). '97-'98 FILA배 프로농구 경기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요소분석. 체육과학논총 제11호 pp. 143∼164.
윤형기·이종희(1998). 97-98 농구대잔치 경기의 승·패 요인 분석. 경희대학교 체육학논문집 26. pp 208-228.
점프볼(2000). 점프볼"농구박사"(2000년 2월호), (주)아펠인포메이션.
최현열(1997). "韓國프로 籠球 時代 開幕 SBS와 大宇의 開幕戰으로 元年 優勝은 起亞 엔터프라이스", 籠球界 제41호. 대한농구협회.
한국농구연맹(2000). KBL 경기규칙 2000-2001, 한국농구연맹
若松親光(1995). バスケットボルの基本と練習法, 株式會社 西東社.
笠原成元(1995). ジュニアスポツシリズ バスケットボル敎室, 成美堂出版.
月刊バスケットボル(2000). 月刊バスケットボル 四月 , 日本文化出版株式會社.
Glenn, W.(1982). Basketball. Dubuque, I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9.2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