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Bloom의 목표 분류학(한글파일)
-인지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정의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심동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인지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정의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심동적 영역(파워포인트 파일)
본문내용
블룸(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
※ 블룸 …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 운동적 영역의 3 가지 영역으로 구분
※문제점 … 지식, 이해, 적용만 주로 이용되는 적용상의 문제점. 인지적 영역을 구성하는 범주간의 위계성에 대한 의문
(1) 인지적 영역(Bloom)
1) 지식 : 학습되었으리라고 생각되는 것의 "기억" 또는 "재생"을 강조하는 목표
① 특수 사상(사실 및 대상)에 관한 지식: 용어나 특수 사실에 대한 지식
② 특수 사상을 다루는 방법과 수단에 관한 지식: 준거나 방법, 규칙, 계열, 유목에 관한 지식
③ 보편적 및 추상적 사상에 관한 지식: 원리, 법칙, 학설, 구조에 관한 지식
2) 이해력 : 전달되는 내용을 알게 되고, 거기에 포함된 아이디어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블룸), 제시되는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며 “의사소통능력”-번역, 해석, 추론, 설명
① 번역: 도표를 보고 언어로 표현하기, 도표속의 의미를 언어로 표현하기
② 해석: 관계를 알고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식별해 낼 수 있는 능력(블룸)
③ 추론(외삽):주어진 경향, 조건, 추세들을 “넘어서 지각하는 능력”(블룸), 추측능력
3) 적용력 : 특수하고 구체적인 사태에 일반적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는 능력. 지식의 의미를 파악하여 새로운 상황의 문제 해결-개념, 원리, 법칙, 절차를 끌어들이는 능력 및 이것들을 귀납적, 연역적인 논리적 추리를 통해 정당화 시키는 능력, 즉 문제해결능력
4) 분석력 : 분해하고 부분간의 관계와 그것이 조직되어 있는 방법을 발견하는 능력. 어떤 사태를 일으킨 요소를 찾고, 요소의 관계, 배경 원리 등을 파악하는 능력.
① 요소의 분석: 문제의 요소(elements)를 분석하는 능력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 블룸 …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 운동적 영역의 3 가지 영역으로 구분
※문제점 … 지식, 이해, 적용만 주로 이용되는 적용상의 문제점. 인지적 영역을 구성하는 범주간의 위계성에 대한 의문
(1) 인지적 영역(Bloom)
1) 지식 : 학습되었으리라고 생각되는 것의 "기억" 또는 "재생"을 강조하는 목표
① 특수 사상(사실 및 대상)에 관한 지식: 용어나 특수 사실에 대한 지식
② 특수 사상을 다루는 방법과 수단에 관한 지식: 준거나 방법, 규칙, 계열, 유목에 관한 지식
③ 보편적 및 추상적 사상에 관한 지식: 원리, 법칙, 학설, 구조에 관한 지식
2) 이해력 : 전달되는 내용을 알게 되고, 거기에 포함된 아이디어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블룸), 제시되는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이며 “의사소통능력”-번역, 해석, 추론, 설명
① 번역: 도표를 보고 언어로 표현하기, 도표속의 의미를 언어로 표현하기
② 해석: 관계를 알고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식별해 낼 수 있는 능력(블룸)
③ 추론(외삽):주어진 경향, 조건, 추세들을 “넘어서 지각하는 능력”(블룸), 추측능력
3) 적용력 : 특수하고 구체적인 사태에 일반적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는 능력. 지식의 의미를 파악하여 새로운 상황의 문제 해결-개념, 원리, 법칙, 절차를 끌어들이는 능력 및 이것들을 귀납적, 연역적인 논리적 추리를 통해 정당화 시키는 능력, 즉 문제해결능력
4) 분석력 : 분해하고 부분간의 관계와 그것이 조직되어 있는 방법을 발견하는 능력. 어떤 사태를 일으킨 요소를 찾고, 요소의 관계, 배경 원리 등을 파악하는 능력.
① 요소의 분석: 문제의 요소(elements)를 분석하는 능력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추천자료
[택지개발]택지개발(택지개발사업)의 정의와 목표, 택지개발(택지개발사업)의 효과, 택지개발...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정의와 목표,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교육부...
전환교육(장애인, 특수교육)의 정의와 목표, 전환교육(장애인, 특수교육)의 현실, 전환교육(...
교과교실제(학교특별교실, 교과교육실)의 정의와 목표, 교과교실제(학교특별교실, 교과교육실...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정의와 목표,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정의와 목표,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자료개...
교육과정의 정의,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배경,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학교급...
[몬테소리 프로그램] 유아교육-몬테소리의 개념과 정의 및 교육목표
피아제의 생애,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정의,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목표와 필수요소, 피아...
전환교육(특수교육,직업교육)의 정의와 목표, 전환교육(특수교육,직업교육) 필요성과 구성요...
[미디어교육]미디어교육의 정의, 미디어교육의 의의, 미디어교육의 목표, 미디어교육의 기본 ...
[교육정보화]교육정보화의 정의, 교육정보화의 중요성, 교육정보화의 목표, 교육정보화의 비...
[EBS교육방송]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목표, EBS교육방송 VOD서비스의 정의, EBS...
제주 삼다수 마케팅 전략/자사분석/삼다수의 역사/경영목표와 윤리경영/생수의 정의/국내생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