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관,평가관,총평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정관,평가관,총평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1) 측정관
2) 평가관
3) 총평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지 않고 함께 총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환경모형(環境模型) : model of environment)과 개인모형(個人模型 : model of individual)을 창안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증거를 개개의 독립된 낱개로서가 아니라 통합된 한 개의 모형 속에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이한 증거(개인과 환경에 관한) 사이의 합치도를 판정하는 것도 이 개개의 틔어진 증거를 관련시켜주는 모형 혹은 구인(construct)에 의존하며, 동시에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분석도 이 모형 혹은 구인에 의존하다. 모형 혹은 구인이라는 것은 곧 이론(theory)이라는 뜻과도 직결된다. 그러므로 총평에서 관심을 갖는 것은 구인 타당도(構因 妥當度 : construct validity)이다. 즉, 개인의 구체적 행동특성과 환경에 관한 증거 및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증거가 가정한 이론 및 구인으로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한지에 따라 구인 타당도의 정도는 결정된다. 또한 총평에서는 예언 타당도에도 관심을 갖는다. 즉 개인과 환경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어느 한쪽의 특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얼마나 예언할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된다.
총평의 용도는 흔히 예언, 실험, 분류에 쓰인다. 그러나 지금가지도 총평에서는 주로 환경의 특성, 준거의 특성에 관한 분석에 치중한 편이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분석방법은 별로 창안되지 못한 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조되어 온 측면이 환경의 분석 및 검사방법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이영덕, 황정규, 이홍우 공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0.2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