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1) 측정관
2) 평가관
3) 총평관
참고문헌
1) 측정관
2) 평가관
3) 총평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지 않고 함께 총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환경모형(環境模型) : model of environment)과 개인모형(個人模型 : model of individual)을 창안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증거를 개개의 독립된 낱개로서가 아니라 통합된 한 개의 모형 속에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이한 증거(개인과 환경에 관한) 사이의 합치도를 판정하는 것도 이 개개의 틔어진 증거를 관련시켜주는 모형 혹은 구인(construct)에 의존하며, 동시에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분석도 이 모형 혹은 구인에 의존하다. 모형 혹은 구인이라는 것은 곧 이론(theory)이라는 뜻과도 직결된다. 그러므로 총평에서 관심을 갖는 것은 구인 타당도(構因 妥當度 : construct validity)이다. 즉, 개인의 구체적 행동특성과 환경에 관한 증거 및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증거가 가정한 이론 및 구인으로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한지에 따라 구인 타당도의 정도는 결정된다. 또한 총평에서는 예언 타당도에도 관심을 갖는다. 즉 개인과 환경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어느 한쪽의 특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얼마나 예언할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된다.
총평의 용도는 흔히 예언, 실험, 분류에 쓰인다. 그러나 지금가지도 총평에서는 주로 환경의 특성, 준거의 특성에 관한 분석에 치중한 편이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분석방법은 별로 창안되지 못한 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조되어 온 측면이 환경의 분석 및 검사방법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이영덕, 황정규, 이홍우 공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총평의 용도는 흔히 예언, 실험, 분류에 쓰인다. 그러나 지금가지도 총평에서는 주로 환경의 특성, 준거의 특성에 관한 분석에 치중한 편이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분석방법은 별로 창안되지 못한 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조되어 온 측면이 환경의 분석 및 검사방법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이영덕, 황정규, 이홍우 공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 (Educational Evaluation)
교육평가의 전반적 개괄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방향 고찰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교육평가의 모형 (목표달성모형, 가치판단모형, 의사결정모형)
교육평가의 모든 것
일제고사의 시행에 대한 찬.반의견과 교육관 & 교육평가방법의 이해
[단위학교][외국 단위학교 사례][단위학교의 개선 과제]단위학교의 교육과정, 단위학교의 교...
교육평가 - 타일러와 브루너
교육평가는 수요자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교육평가A형)유아인성검사도구-검사도구 양호도를 바탕으로 인성검사도구의 목표, 문항수...
유아교육평가_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법의 특징,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 관찰법의 공통성과 차...
체육교육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