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게슈탈트 사회심리학 이론
2. 자이가닉 효과
3. Fritz Heider의 대인관계 심리학 : POX이론
4. 인지불협화 이론
5. 귀인이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게슈탈트 사회심리학 이론
2. 자이가닉 효과
3. Fritz Heider의 대인관계 심리학 : POX이론
4. 인지불협화 이론
5. 귀인이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다. 결국 필자는 타인의 행동을 설명할 때 외부의 영향은 과소평가하고 개인 특성이나 태도처럼 행위자의 영향은 과대평가하는 기본귀인오류 같은 책
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귀인 오류는 올바른 귀인을 하도록 이끌 정보의 풍부함 속에서도 인간으로 하여금 잘못된 원인판단과 잘못된 선택을 낳게 한다.
만일 친구에게 수업에 대한 조언을 할 경우라면 상대방이 과소평가하기 쉬운 상황의 영향은 구체적인 수치나 객관적인 정보로 말해주는 것이 좋다. ‘수업이 진짜 어렵더라’와 같이 막연하고 주관적인 생각보다는, ‘중간고사의 평균점수대가 어느 정도였다’라는 객관적인 정보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과제가 정말 어렵고 많더라’고 말하기 보다는 ‘과제가 몇 번에 걸쳐 제공된다’와 같은 구체적 숫자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상대방이 과대평가하기 쉬운 행위자개인의 내부요인은 최소화되는 것이 좋다. 그런 점에서 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는 친구나 선배보다는 GLS의 ‘추천 명강의’에 게시되어 있는 학생들의 체험담과 관련정보를 참고하는 것이 더 현명한 일일 것이다. 그곳에는 학생들의 이름이 실명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대부분이 본인과 밀접한 친분을 가지지 못한 낯선 이들이다. 그들의 지금까지의 성적이나 성실도를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니 그들의 내적 요인(학업수행능력, 성실도)이 과대평가될 염려도 없다. 이런 상황은 그들이 제공한 외적 요인(수업의 난이도, 교수의 교수법)에 집중한 판단을 가능케 하여, 기본귀인오류를 범할 확률을 줄인다.
Ⅲ. 결론
과제를 수행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우리가 배운 심리학 이론으로 설명이 된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심리학개론을 들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심리학의 정의를 떠올리면 사실은 놀라운 일도 아니다. 심리학의 정의는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심리학 이론이라면 당연히 인간의 일상생활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그런 측면에서 심리학이 앞으로는 더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이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천성문 외 공저(2006),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김경희(2000),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CLYDE W. FRANKLIN II, 정창수 역(2005), 이론으로 본 사회심리학, 그린.
한덕웅 외 공저(2007), 인간의 마음과 행동, 전영사.
한덕웅(2004), 인간의 동기심리, 박영사.
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귀인 오류는 올바른 귀인을 하도록 이끌 정보의 풍부함 속에서도 인간으로 하여금 잘못된 원인판단과 잘못된 선택을 낳게 한다.
만일 친구에게 수업에 대한 조언을 할 경우라면 상대방이 과소평가하기 쉬운 상황의 영향은 구체적인 수치나 객관적인 정보로 말해주는 것이 좋다. ‘수업이 진짜 어렵더라’와 같이 막연하고 주관적인 생각보다는, ‘중간고사의 평균점수대가 어느 정도였다’라는 객관적인 정보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과제가 정말 어렵고 많더라’고 말하기 보다는 ‘과제가 몇 번에 걸쳐 제공된다’와 같은 구체적 숫자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상대방이 과대평가하기 쉬운 행위자개인의 내부요인은 최소화되는 것이 좋다. 그런 점에서 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는 친구나 선배보다는 GLS의 ‘추천 명강의’에 게시되어 있는 학생들의 체험담과 관련정보를 참고하는 것이 더 현명한 일일 것이다. 그곳에는 학생들의 이름이 실명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대부분이 본인과 밀접한 친분을 가지지 못한 낯선 이들이다. 그들의 지금까지의 성적이나 성실도를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니 그들의 내적 요인(학업수행능력, 성실도)이 과대평가될 염려도 없다. 이런 상황은 그들이 제공한 외적 요인(수업의 난이도, 교수의 교수법)에 집중한 판단을 가능케 하여, 기본귀인오류를 범할 확률을 줄인다.
Ⅲ. 결론
과제를 수행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우리가 배운 심리학 이론으로 설명이 된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심리학개론을 들을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심리학의 정의를 떠올리면 사실은 놀라운 일도 아니다. 심리학의 정의는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심리학 이론이라면 당연히 인간의 일상생활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그런 측면에서 심리학이 앞으로는 더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이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천성문 외 공저(2006),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김경희(2000),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CLYDE W. FRANKLIN II, 정창수 역(2005), 이론으로 본 사회심리학, 그린.
한덕웅 외 공저(2007), 인간의 마음과 행동, 전영사.
한덕웅(2004), 인간의 동기심리, 박영사.
키워드
추천자료
주의 집중과 스포츠
교육심리
군필자,면제자 간 태도차이및 집단 간 갈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사회복지] 정신역동모델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 정신역동적 시각 이론을 중심
[소비자행동] 소비자행동의 모든것
[유아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해와 현장적용
원본 레지오
발달에 관한 관점 중 인지주의 관점을 논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을 비교 분석해보고 자...
(인간과교육)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현대사회평생...
[인간과교육 공통] 1.현대사회에서평생교육의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현대사회에서평...
[유아발달 B형]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의 이론과 비고츠키의 이론을 각각 설명, 각 이론을 ...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피아제(Piaget)와 비고스키(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들...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핵심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