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복음서의 역사적 신빙성에 대한 이해
1. 현재의 상황
2. 복음서에 대한 우리의 이해
3. 목회자로서 복음서를 바라보는 눈
Ⅲ. 나가는 말
Ⅱ. 복음서의 역사적 신빙성에 대한 이해
1. 현재의 상황
2. 복음서에 대한 우리의 이해
3. 목회자로서 복음서를 바라보는 눈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나가는 말
크레이그 L. 블롬버그 교수는 『복음서의 역사적 신빙성』을 통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한국교회와 목회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복음서에 나타나 역사적 문제를 제시하는 것은 시대를 거듭하면 거듭할수록 더 많은 근거를 바탕으로 치열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진리인 복음서를 지키는 방법은 바로 우리들의 사명에 달려있다. 블롬버그 교수는 객관적인 입장으로 자신이 연구한 결과들을 이 책을 통해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 또한 복음서에 나타난 일치점과 차이점을 찾아봄으로써 그곳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해 내야 한다. 분명히 이 책의 내용 가운데 모든 것이 다 맞다 고는 할 수 없지만 분명히 필자에게 깨닫게 하는 한 가지 사실은 복음서에 대한 우리의 시각과 연구가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라고 하는 사실이다. 원문을 통해서 조금만 사건을 비교해도 알 수 있는 사실들을 전혀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사건에 나타난 의미들만 파악하려고 함으로써 그 의미를 전달만 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제는 복음서를 통해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의 역사적 사실들을 깊이 있게 전달할 때이다.
크레이그 L. 블롬버그 교수는 『복음서의 역사적 신빙성』을 통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한국교회와 목회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복음서에 나타나 역사적 문제를 제시하는 것은 시대를 거듭하면 거듭할수록 더 많은 근거를 바탕으로 치열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진리인 복음서를 지키는 방법은 바로 우리들의 사명에 달려있다. 블롬버그 교수는 객관적인 입장으로 자신이 연구한 결과들을 이 책을 통해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 또한 복음서에 나타난 일치점과 차이점을 찾아봄으로써 그곳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해 내야 한다. 분명히 이 책의 내용 가운데 모든 것이 다 맞다 고는 할 수 없지만 분명히 필자에게 깨닫게 하는 한 가지 사실은 복음서에 대한 우리의 시각과 연구가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라고 하는 사실이다. 원문을 통해서 조금만 사건을 비교해도 알 수 있는 사실들을 전혀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사건에 나타난 의미들만 파악하려고 함으로써 그 의미를 전달만 하는 전달자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제는 복음서를 통해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의 역사적 사실들을 깊이 있게 전달할 때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나라에 관한 해석들
예수의 증언 - E.케제만
신약개론(신약 정경화의 형성)
누가복음서와 사도행전-제자훈련(레온모리스-신약신학)
케제만의 예수의 유언기도를 읽고
예수의 상담
신약 성서의 종말론
로마서5장에 나타난 아담 기독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새로운 신약성서 개론
[신약신학] 신약신학에서 말하는 성령의 중심성 - 누가의 성령신학, 요한의 성령신학, 바울서...
[신약신학] <간추린 신약신학> 요약 _ 토마스 R. 슈라이너 저
[신약신학] (요약) 간추린 신약신학 - 제9장 죄의 문제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Henry David Thoreau)에 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