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십자군원정의 의미
Ⅱ. 십자군원정의 배경
Ⅲ. 십자군원정의 동기
Ⅳ. 십자군원정의 경과
1. 십자군의 선발대(민중의 십자군)
2. 제1차 십자군 운동
3. 제2차 십자군 운동
4. 제3차 십자군 운동
5. 제4차 십자군 운동(1202 - 1204)
6. 소년 십자군 운동 1212년
7. 제5·6차 십자군 운동(1218 - 1229)
8. 제7차 십자군 운동(1248 - 1250)
9. 제8차 십자군 운동(1271 - 1272)
Ⅴ. 십자군원정의 결과
Ⅵ. 십자군원정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
1. 사회적 변화와 이유
2. 문화적 변화와 이유
3. 종교적 변화와 이유
4. 경제적 변화와 이유
참고문헌
Ⅱ. 십자군원정의 배경
Ⅲ. 십자군원정의 동기
Ⅳ. 십자군원정의 경과
1. 십자군의 선발대(민중의 십자군)
2. 제1차 십자군 운동
3. 제2차 십자군 운동
4. 제3차 십자군 운동
5. 제4차 십자군 운동(1202 - 1204)
6. 소년 십자군 운동 1212년
7. 제5·6차 십자군 운동(1218 - 1229)
8. 제7차 십자군 운동(1248 - 1250)
9. 제8차 십자군 운동(1271 - 1272)
Ⅴ. 십자군원정의 결과
Ⅵ. 십자군원정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
1. 사회적 변화와 이유
2. 문화적 변화와 이유
3. 종교적 변화와 이유
4. 경제적 변화와 이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식어 가고, 봉건 제후와 기사들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왕권은 강화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교황과 교회의 권위는 낮아졌다. 14세기 초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는 프랑스왕 필리프 4세와 성직자에 대한 과세권을 가지고 싸웠으나 패하고 말았다. 그 후 로마 교황청은 필리프 4세에 의해 남부 프랑스 아비뇽으로 옮겨져 약 70년간 교황이 프랑스 왕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였다. 이것을 \'아비뇽 유수\'라고 한다. 그 후 로마와 아비뇽에서 두 명의 교황이 각각 선출되어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였는데, 이 때가 교회의 대분열 시기이다. (13781417). 교황권의 실추와 더불어 성직자의 부패는 교회에 대한 비판과 개혁을 부르짖게 하였으니, 교회는 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콘스탄츠 종교 회의를 개최하여 교회의 대분열을 마무리 지었으나, 교황권의 쇠퇴는 막을 수 없었다.
Ⅵ. 십자군원정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
1. 사회적 변화와 이유
상공업 발달로 인한 화폐사용증가하면서 화폐시대가 등장하였고 농노들이 해방되었고 농노제에 의하여 경영되는 장원제도가 무너지게 되었다. 십자군의 출발 항구였던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 즉, 제노바, 피사, 베네치아 등은 십자군의 물자 수송을 통해 큰 돈을 벌었으며, 돌아올 때에는 그곳의 물건을 가져왔기 때문에 오며가며 돈을 벌었던 것이다. 그 이전의 생활은 매우 단순했으나 이런 복잡한 상거래를 함으로써 수학이 발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피사의 수학자 피보나치의 수판의 책》이 널리 보급된 배경에는 이러한 상황이 깔려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그 후 16세기에 이르러 방정식이 크게 유행했다. 그 역시 아래와 같은 시대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십자군원정→막대한 돈의 이윤→금융 기관의 발달→복잡한 계산술의 발달)
2. 문화적 변화와 이유
동방의 서적들과 학자들이 서방으로 유입되면서 동서문화의 교류를 통해 한층 더 문화를 성숙시키게 되지만 전쟁의 결과로 많은 문화재가 손실되었다.
3. 종교적 변화와 이유
십자군전쟁의 실패로 교황의 권위가 도전을 받게 되면서 교황의 권위가 실추되었고 그 결과 좀더 영적이고 정신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도록 했고 교회는 칼로써 승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양심에 호소하는 평화의 메세지로서 승리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게 했다.
4. 경제적 변화와 이유
전쟁을 위한 물자운송 등을 통하여 제노아, 피사, 베니스 같은 이탈리아 항구도시들의 경제적인 성장에 기여하였지만 이탈리아 상인들은 십자군 운동의 발생여부와는 상관없이 동쪽 지역과 교역을 추진했을 것이므로 직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니라고 본다.
참고문헌
김주한(1998), 서양의 역사, 역사교양사
배영수 외(2000), 서양사 강의, 한울 아카데미
브라이언 타이어니·시드니 페인터(1995), 서양 중세사, 집문당
앙리 피렌느(1997), 중세 유럽의 도시, 신서원
쟈크 르 고프(1995), 서양 중세 문명, 문학과 지성사
차하순(2000), 서양사 총론1, 탐구당
한양대 서양사 연구회(1998), 서양의 역사와 문화, 한양대 출판부
Ⅵ. 십자군원정 이후 유럽사회의 변화
1. 사회적 변화와 이유
상공업 발달로 인한 화폐사용증가하면서 화폐시대가 등장하였고 농노들이 해방되었고 농노제에 의하여 경영되는 장원제도가 무너지게 되었다. 십자군의 출발 항구였던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 즉, 제노바, 피사, 베네치아 등은 십자군의 물자 수송을 통해 큰 돈을 벌었으며, 돌아올 때에는 그곳의 물건을 가져왔기 때문에 오며가며 돈을 벌었던 것이다. 그 이전의 생활은 매우 단순했으나 이런 복잡한 상거래를 함으로써 수학이 발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피사의 수학자 피보나치의 수판의 책》이 널리 보급된 배경에는 이러한 상황이 깔려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그 후 16세기에 이르러 방정식이 크게 유행했다. 그 역시 아래와 같은 시대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십자군원정→막대한 돈의 이윤→금융 기관의 발달→복잡한 계산술의 발달)
2. 문화적 변화와 이유
동방의 서적들과 학자들이 서방으로 유입되면서 동서문화의 교류를 통해 한층 더 문화를 성숙시키게 되지만 전쟁의 결과로 많은 문화재가 손실되었다.
3. 종교적 변화와 이유
십자군전쟁의 실패로 교황의 권위가 도전을 받게 되면서 교황의 권위가 실추되었고 그 결과 좀더 영적이고 정신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도록 했고 교회는 칼로써 승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양심에 호소하는 평화의 메세지로서 승리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게 했다.
4. 경제적 변화와 이유
전쟁을 위한 물자운송 등을 통하여 제노아, 피사, 베니스 같은 이탈리아 항구도시들의 경제적인 성장에 기여하였지만 이탈리아 상인들은 십자군 운동의 발생여부와는 상관없이 동쪽 지역과 교역을 추진했을 것이므로 직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니라고 본다.
참고문헌
김주한(1998), 서양의 역사, 역사교양사
배영수 외(2000), 서양사 강의, 한울 아카데미
브라이언 타이어니·시드니 페인터(1995), 서양 중세사, 집문당
앙리 피렌느(1997), 중세 유럽의 도시, 신서원
쟈크 르 고프(1995), 서양 중세 문명, 문학과 지성사
차하순(2000), 서양사 총론1, 탐구당
한양대 서양사 연구회(1998), 서양의 역사와 문화, 한양대 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