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상에서 어휘 '폭력' 사용영역의 변화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동기
(2) 폭력의 정의 및 연구사
(3) 학문적 의의
(4) 사회언어학적 접근

2. 어휘 ‘폭력’의 사용범위의 확장

3. 사례분석

4. 사례의 일반화 및 해석

5. 사회적 원인 및 배경에 대한 고찰

6. 결론
(1) 요약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반을 하면 죄책감과 함께 자기 존중감 상실을 느낀다.
교육의 목적은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를 배우는 것이다.
졸업장은 경제적 가치와 자기 존중감을 높여준다.
고용주-종업원간 관계는 상호이익에 기반을 두는 일종의 계약이다.
고용 여부와 승진 결정은 오로지 기술과 규칙에 근거해서만 이루어진다.
경영은 개인의 경영이다.
일이 인간관계보다 우선이다.
개인의 자유와 의사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면서 어떤 형태로든 개인의 자유와 선호가 침해당하는 것은 불합리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당사자들도 매우 불쾌하게 생각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양적 공리주의는 이제 더 이상 사람들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다. 다수에 의해, 집단에 의해 소수가, 개인이 희생해야 한다는 논리는 더 이상 먹혀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선호와 개인의 의사에 의한 선택이 아닐 경우, 공동체의 문화라는 측면에서 혹은 관행적으로 늘 그래왔다고 해서, 또는 상대방이 범죄자이거나 인권보호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해서 개인 의사에 반하는 것을 타율적으로 강요하는 것은 ‘폭력’이라고 규정하며 지탄하게 되었다. 사형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이나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장하는 사람들 및 종교적인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권을 주장하는 것, 동성애자를 비롯한 성적 소수자들의 권리를 보호해주자는 주장, 여성의 인권보호 등이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제기된 문제들인 것이다.
게다가 ‘폭력’이라고 인식되는 기준이 객관적인 기준이나 가해자 혹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 사회적인 규범과 인식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세워지게 되었다는 것이 놀라운 변화이다. 받는 사람이 ‘폭력’이라고 인식하거나 느끼면 그것을 ‘폭력’이라고 규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개인의 의사와 권리에 높은 가치를 두는 사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6. 결론
(1)요약
지금까지 ‘폭력’이라는 어휘가 쓰인 담화 사례를 중심으로 ‘폭력’의 의미가 어떻게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에 대해 해석해보고, 그 사회적인 배경과 의미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기존에 사용하던 어휘 '폭력‘ 중에는 물리적인 의미나 가시적인 형태의 부당한 ‘폭력’ 이 대부분이었다면, 최근에 올수록 암묵적인 형태의 ‘폭력’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집단보다 개인의 입장에서, 다수보다 소수의 입장에서, 강자보다 약자의 입장에서 인식하는 것까지 ‘폭력’이라고 규정하는 등 그 사회적 의미와 사용영역이 확대되면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사회적인 요인으로 국가를 비롯한 권력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것과 집합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이행하면서 개인의 자유에 보다 많은 가치를 부여하게 되었다는 점을 들어 사회와 언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본래는 인터넷의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기사 자료를 검색하여 어휘 ‘폭력’의 사용빈도를 해방 후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조사하려고 했으나, 자료의 양은 매우 방대한데 기사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위를 좁혀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조사하지 못했다. ‘폭력’의 사용빈도가 높아졌음을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된다면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리라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본고에서는 자료의 체계적 분류와 제시에 있어서 치명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각 인터넷신문마다 웹사이트의 검색 시스템 오류로 인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자료정리가 거의 불가능했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담화사례들은 검색 웹사이트인 엠파스(empas)에서 ‘일종의 폭력’의 문구로 검색하여 얻어진 글들 중, 비교적 공식적으로 승인된 글로써 내용이 일반적이고 논리전개가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선택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사례는 주철환, 김주환 등 신문방송분야 교수의 칼럼에서부터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터넷 토론에 참여한 개인의 의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마지막으로 사회학적인 접근 방법에 주의를 기울이다보니 언어학적인 측면에는 다소 소홀했는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좋은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1996
삐에르 부르디외, 상징 폭력과 문화 재생산 (정일준 옮김), 새물결, 1995
파스칼 세계대백과사전, 동서문화사, 1996
John Gaventa, Power and Powerlessness: Quiescence and Rebellion in an Appalachian Valley,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0
David G. Myers, Soci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2001
※참고자료
http://www.empas.com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7270000185579015&s=0&e=1097702047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063000002314091&s=1766&e=2016
http://www.yeongnam.com/young/sub3_20020105.html
http://home.mokwon.ac.kr/~p1316/column/pre1.html
http://home.pusan.ac.kr/%7Ediscuss/Paper/010426_KangMyungkwan.htm
http://altair.chonnam.ac.kr/%7Ecnu518/data/data6_3099.html
http://www.i-depth.com/P/a/aj00711.frm.wookie20017.msg/1215.html
http://womenvoters.or.kr/internet/event04/05-onlinechatting/ko01.html
http://isleboy.com/fly/catandrel.htm
http://www.jkim.net/column/column_18.php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10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