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독교의 전파와 국제 정세 ․ 국내 정세의 관련성
2. 조선말의 형사법제도에서 드러나는 조선 사회의 발전성
2. 조선말의 형사법제도에서 드러나는 조선 사회의 발전성
본문내용
교에서 우위를 점하고 정치적 압박을 더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보고서는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조금 과장되게 표현된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참 오랜 세월이 지나지 않았는데 너무도 많은 것이 변해버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100년여의 세월동안 한국은 이렇게 바뀌었구나 하는 것이 먼저 떠올랐다. 이상하게도 당시의 시대상이나 역사적 내용보다도 이러한 생각이 먼저였다. 그렇지만 이 책과 수업을 통해서도 느끼는 것은 변하지 않는 것은 역시 있다는 점이다. 역사는 쌓여지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단지 1열의 단선이 아니라 밑에서부터 쌓이고 쌓여서 이룩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에 더욱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아닌가 싶다. 단지 한 번 가면 아니 오는 그런 것이 아니라 쌓인 것을 파헤쳐서 우리를 밝히고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참으로 수난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침략과 열강의 침탈에 의해서 그러했다면 최근에는 우리의 역사를 빼앗기는 수난으로 그러하다. 일제 시대를 왜곡하는 일본의 우익세력과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에 빼앗겨 버릴지 모르는 위기... 모두 우리의 역사에서 공조와 사죄가 필요한 당사자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민족이 아닌 세계의 관점에서 좀 더 솔직해질 수 없는 현실, 그리고 정치적 논리가 역사를 지배하는 현실은 참으로 뼈아프다. 이러한 면에서 조금은 순수한 눈으로 우리의 역사 한 순간을 포착해준 이 책은 오히려 감사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의 공조가 역사의 공조로부터 함께하는 시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제시대의 법왜곡(교육법)
친일파-친일과 전향의 논리
일제시대 경제운동-물산장려운동과 농촌진흥운동
일제시대의 사회주의 운동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현대소설의 이해, 이태준의 생애와 그의 문학에 대해서
실학의 새로운 발견
[한국경제사]식민지 개발과 한국인들의 삶
일제식민기에 대한 이해 및 견해
[서평] 김교신 평전 _ 전인수 저
[식민주의, 식민주의와 식민적 근대성, 식민주의와 식민주의담론, 식민주의와 일제단맥설, 식...
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하)의 사회주의운동, 민중계몽운동, 농지탈환운동, 민족개조론, ...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침략과정, 침략정책,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회유...
김일성과 제주도의 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