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인의 경우는 일본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분간이 잘 되지 않는다. 「金田」,「南」등의 이름도 일본 사람일 가능성도 많아서 쉽게 분간하기 어렵다.
1990년대 들어 상황은 조금씩 좋아지기는 했지만, 통명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인거류민단으로 발족했는데, 여기에서 박열은 단장에 선출되었다. 1945년 8월 15일 박열은 대한민국정부수립축전에 참석하기 위해 일시 귀국한 후 다시 도일했다가 1950년 4월초에 영주 귀국했다. 박열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6월 27일 장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은 일본 사회운동세력의 지원이나 협조속에서 이루어졌다. 재일조선인은 일본사회운동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민족해방에 기여함과 동시에 일본사회운동에 일익을 담당하는 이중적 효과를 낳았다.
1930년에 국제공산당의 결정에 따라 여러 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간도출병이라는 명분의 구실을 삼아 만주로의 진출을 꾀했다.
Ⅴ. 끝나지 않은 조선인학살
한국정부는 2013년 11월 19일 조선인 학살자 명단 290명의 명단을 발표하며 일본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했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정부차원의 제대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인 참가자들을 유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나구모 사토루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 “조선인이 일본인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진지하게 믿고서 綠旗의 활동에 모여든 사람들은, 일본인도 조선인도, 녹기연맹이란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