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원당정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

4. Result & Discus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이용한다. 황산구리(CuSO4) 69.315g을 물에 녹여 1L(리터)의 제 1용액을 만든다. 로셀염(타르타르산칼륨나트륨, NaKC4H4O6) 346g과 수산화나트륨(NaOH) 100g을 물에 녹여 1L를 만든 후, 석면으로 걸러서 제 2용액을 얻는다. 이 두 용액을 혼합한 펠링용액은 황산구리의 용액보다 진한 청람색이 된다. 여기에 알데히드기(─CHO)를 가하면 타르타르산 착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구리(Ⅱ)이온을 환원시켜 적색인 불용성의 산화구리(Ⅰ)로 만든다. 따라서 액은 무색이 되며 산화구리(Ⅰ)의 붉은 침전이 생긴다.
무기질
우유의 함량(평균값 g/L)
칼슘(Ca)
1.21
인(P)
0.65
칼륨(K)
1.44
나트륨(Na)
0.60
염소(Cl)
1.08
마그네슘(Mg)
0.125
황(S)
0.32
다음으로 우유 속에 당 이외에 어떤 성분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우유의 단백질은 카세인이 약 80 %를 차지하며 수용성인 알부민이나 글로불린은 적다. 카세인은 인을 함유하는 단백질로서 칼슘과 결합되었다. 카세인칼슘은 수분 중에 미세한 입자로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우유에 광선을 쬐면 입자가 난반사(亂反射)를 일으켜 희고 불투명하게 보인다. 지방은 수 μm 정도의 둥근 모양으로 현탁(懸濁)되어 있어 우유가 노르스름하게 보인다. 유지방에는 분자량이 적은 저급지방산, 특히 부티르산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당분은 99.8 % 젖당이며, 젖당은 젖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당분으로 포도당과 갈락토오스가 결합된 것이다. 갈락토오스는 당분의 일종으로 인지질과 함께 뇌의 발육에 중요한 구실을 하여 젖당은 그 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회분으로는 인과 칼슘이 많고 비타민류는 거의 모든 종류를 함유한다.
우유, 유제품
에너지(kcal/100g)
단백질(%)
지질(%)
당질(%)
비타민A
모유
65
1.1
3.5
7.2
47
우유
60
3.2
3.2
4.7
28
저지방유
51
3.6
1.5
5.6
13
요구르트(액상)
52
0.8
1.1
9.7
0
체다치즈
42.3
25.7
33.8
1.4
345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유제품 마다 단백질, 지질, 당질, 비타민A의 함량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제품 이외에 우리가 알고자 하는 다른 제품에 당류의 함량이 어느식품명
당류(%)
식품명
당류(%)
백미
77.5
무우
5.6
현미
76.8
마늘
32.0
식빵
59.7
토마토
6.9
라면
63.5
당근
7.2
백설탕
99.5
콩나물
2.9
감자
14.4
사과
11.5
대두
21.6

11.6
배추
2.7
된장
10.7
통김치
1.3
고추장
25.9
정도 되는지도 조사해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가 실험에서 알아본 우유의 당류와 다른 식품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당 함량이 제일 높은 것은 백설탕인 것을 알 수 있었고, 백미, 현미도 많은 양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에서 비교해 보았을 때 무가 우리의 실험결과 값으로 얻은 우유의 값과 비슷한 값을 갖았다. 이번 실험을 통해 평소에 무심코 먹었던 식품들의 환원당량을 구해보면서 다른 식품들과 비교도 해보고, 실험원리와 실험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Homework
1. 환원당의 정량방법
Introduction 기재 (2page 6번째 줄부터)
2. 환원당의 Bertrand표 보는 방법
우리가 시험을 통해 구한 구리의 중량을 가지고 Bertrand표를 보고 당류를 구할 수 있다. Bertrand표를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장 왼쪽은 당의 중량, 왼쪽은 각 당의 중량당 해당하는 구리의 반응질량이다. 구리의 중량이 소수점 아래 한자리까지 내려오기 때문에 소수점 한자리 이하는 비례식을 통해 계산해야 한다.
예) ① glucose 당의 구리량 131.4mg 일때 → 당류71mg
② 전화당의 구리량 131.6mg 일때 → 비례배분 → 당류 71.5mg
비례당분 : 71 + = 71 + 0.5 = 71.5
3. 반응에 따른 화학반응식과 색변화
황산구리액(CuSO4ㆍ5H2O)에 알칼리성 Rochelle염 용액을 가하면 진한 청색의 구리착염용액이 된다.
CuSO4ㆍ5H2O + 2NaOH → Cu(OH)2 + Na2SO4 + 5H2O
Fehling 용액의 일정량을 당액의 일정량에 가하고 한정된 시간동안 가열하면 환원당의 함량에 비례하여 2가의 구리(Cu2+)가 환원되어 적색의 1가의 아산화구리(Cu2O)가 침전된다. 환원당은 산화되어 RCOOH로 된다.
2Cu(OH)2 + RCHO → Cu2O + 2H2O + RCOOH
Cu2O를 황산 제 2철(3가철)의 산성용액으로 녹이면 Cu2O는 산화되어 황산구리가 되고, 황산 제 2철은 환원되어 황산 제2철(2가철)로 된다. (연두색)
Cu2O + Fe2(SO4)3 + H2SO4 → 2CuSO4 + 2FeSO4 + H2O
생성되는 황산 제 1철의 양은 Cu2O의 양에 비례하므로 생성된 황산 제 1철의 양을 측정하면 Cu2O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KMnO4와 황산 제 1철은 당량비로 반응하기 때문에 KMnO4 표준용액으로 적정하면 황산 제1철의 양을 정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리의 색깔변화와 황산 제1철, KMnO4의 색깔변화로 붉은색을 나타낸다.
10FeSO4 + 2KMnO4 + 8H2SO4
→ 5Fe2(SO4)3 + 2MnSO4 + K2SO4 + 8H2O
REFERENCE
1. 박동기, 식품종합실험실습서,유한문화사, 2003, p107
2. 김덕웅 외 3명, 식품분석 및 위생실험, 석학당, 2007, p171-176
3. 식품성분표(5판), 1996. 농촌진흥청, p.310~311
4.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제6개정판
5. 한국낙농육우협회 & 한국유가공협회 홈페이지
6. 네이버(백과사전)
7. http://cafe.naver.com/yonseibow.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7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2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