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석한 텍스트 : 「베토벤 바이러스」 9회 중 일부분
1. 머리말
2. 화용의 구성 요소
2.1 텍스트 소개
2.2 화자와 청자
2.3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2.4 상황
3. 화용의 원리
3.1 화용 통사론적 분석
3.2 화용 담화적 분석
3.3 대화 전략의 원리
3.4 체면의 원리
4. 맺음말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1. 머리말
2. 화용의 구성 요소
2.1 텍스트 소개
2.2 화자와 청자
2.3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2.4 상황
3. 화용의 원리
3.1 화용 통사론적 분석
3.2 화용 담화적 분석
3.3 대화 전략의 원리
3.4 체면의 원리
4. 맺음말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이것도 수용 못합니다.
강마에 음표하나, 삐소리 하나까지도 다 여러분에게 보수로지급 될 겁니다. 정해진 1년 스 케쥴 외에 갑자기 생기는 관제행사, 연주안합니다.
시장 아들이, 딸이, 사위가, 조카가 연주회 여는데 협연해라? 말도 못 꺼내게 할 겁 니다. 우리는 우리의 정해진 스케쥴로 뚜벅뚜벅 앞만 향해서 갑니다.
강마에...그리고 무엇보다.....여러분을 창피하게 만들지 않겠습니다. 우리가 연주할 음악 앞에, 작곡가 앞에, 관객들 앞에, 여러분이 당당히 나서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의 음 악을 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이 힘든 세상의 작은 위로라도 받을 수 있게 하겠습 니다.
못하겠다는 말을 반복하며 거부의 의사표시를 하고 있으며 (반복 하기 전략) 음악을 해야 하는 상황을 예로 들면서 뚜벅뚜벅 앞만 향해서 간다는 말로 비유 하고 있다. (비유 전략)
3.4 체면의 원리
체면 깎기
강마에(그러다 꼿꼿한 척, 비죽 미소로 쳐다보며).....웃어도 됩니다.
용기/희연.....?
강마에맨날 구박만 하던 사람 쥐어박을 기회가 생겼는데 뭘 그리 참으십니까. 춤이라도 추세요.
희연(아이구야....한숨..)
용기(저 사람이 진짜....어이 없어 보다가)...선생님 친구 없죠? 왕따죠?
강마에인생은 어차피 혼자 사는 겁니다. 친구는 환상이죠.
용기(참듯 고개 돌리며 군시렁) 아우~ 저 따구루 하시니까 개나 끼구 살지....
강마에(미소 띄고는 있지만 미묘하게 흔들리는...)
희연(그러지 말라는 듯 툭 용기치고, 강마에 향해 좋게)...선생님, 저희는 항의라기보다 그 뭐냐, 중재, 그거거든요? 공연해야 되잖아요. 통 크게 딱 한번만 사과를...
강마에(O.L) 제가 사과할 께 뭐가 있죠?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고, 똥은 똥 아닙니까. (희연 긁듯 비죽 웃으며) 아, 그냥 똥이 아니라 똥덩어리던가요?
용기는 왕따라는 말로 강마에의 체면을 깎고 있다. 허나 강마에는 어차피 인생은 혼자사는 것이라면서 무시하고 있다. 희연은 강마에를 회유하려고 하나 희연의 말을 무시하면서 똥덩어리라는 말로 희연의 체면을 깎고 있다.
종진(답답한 듯) 선생님 말투가요, 워낙~~(하는데)
강마에말투요? (종이 들어 보이며) 그럼 이건 결국 요약하면 이 소리네요. “선생님, 말투 좀 고쳐주세요”
말투를 꼬투리 잡아 강마에에게 반박하려는 종진의 말을 강마에는 무시하고 말투가 문제가 되어 단원들이 요구를 정리하면 말투나 고치라는 말이라며 종진의 체면을 깎고 있다.
이 텍스트의 분석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
등장 인물 : 강마에, 루미, 용기, 희연, 갑용, 이든, 건우, 중진, 악장, 주연, 주희, 혁권
상황 :
전체적으로 강마에의 사과 문제를 놓고 인물들이 대립을 보이고 있다. 루미는 이든과 갑용에게 강마에에게 왜 그렇게 했는지 추궁하고 이든은 강마에 탓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S#19에서는 악장이 용기와 희연, 강마에가 만나도록 주선한다. 용기는 비속어로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면서 강마에를 압박하고 희연은 계속 사과하라는 말을 한다. 루미는 강마에를 만나서 용기와 희연을 만나면서 생긴 일에 대해 묻고 강마에는 용기와 희연의 의견을 듣고 사과를 해야 겠다는 마음을 굳혔다고 말한다. 사과하는 날 모두의 바람과 같이 사과가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못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로 강마에는 말을 하고 다른 조건을 들어 단원들을 설득시킨다.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서로가 서로의 입장차로 공격과 방어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마무리는 그 선택을 하지 않음으로써 마무리되는 모습을 보인다.
화용의 특징 :
루미가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갑용이나 강마에와 대화할 때는 존댓말을 쓰고 있으나 어린 이든에게는 반말을 쓰고 있다.
악장, 희연, 강마에, 용기는 서로 존댓말을 쓰고 있으나 그 어휘가 존대하는 상황에서는 쓸 수 없는 것들이다.
화용 전략 :
루미는 이든과 갑용에 대해 강경한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고 이든은 강온 교대 전략을 갑용은 유화적인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와 용기, 희연은 대개 존대하는 말을 쓰고 있으나 용기는 반말을 사용하고 또한 비속어와 욕설로 상대를 모욕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희연은 강온 교대 전략과 설득하기, 비판하기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와 루미는 상호 친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로 유화적인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는 장소에 따라 다른 전략을 택하고 있다. 루미, 용기, 건우, 희연과 사적으로 만날 때는 주로 해요체를 쓴다. 또 연습실과 같이 공적인 장소에서는 하십시오체를 주로 사용하며 두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주어와 서술어가 도치된 언어와 반복, 강조, 비유하는 언어전략을 채택해 자신의 상황을 변호하고 있다.
기타 : 이 텍스트는 무엇보다도 말과 행동의 실사 구현을 전제로 쓰여졌다. 구어적 요소가 강하기에 맞춤법에는 벗어난 단어들도 많아 실제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또 행동을 통해서도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말과 행동을 관련 지어서 발화 전략이 어떤 것이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4. 맺음말
‘베토벤 바이러스 ’의 드라마 대본 일부분을 인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드라마 대본에서 나오는 상황이 실제 상황과 비슷하기에 분석하는 데 있어서 매우 흥미로웠다. 행동을 나타내는 지문들로도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지만 대사를 중심으로 상황 맥락이나 화청자의 관계나 대화 전략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전체 대본을 살펴 보아도 좋았겠지만 분량이 많은 관계로 다 볼 수 없어서 아쉬었다. 그러나 주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꼼꼼하게 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박영순,「한국어화용론」, 박이정, 2007.
베토벤 바이러스 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drama/thoven/
*목차
분석한 텍스트 : 「베토벤 바이러스」 9회 중 일부분
1. 머리말
2. 화용의 구성 요소
2.1 텍스트 소개
2.2 화자와 청자
2.3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2.4 상황
3. 화용의 원리
3.1 화용 통사론적 분석
3.2 화용 담화적 분석
3.3 대화 전략의 원리
3.4 체면의 원리
4. 맺음말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강마에 음표하나, 삐소리 하나까지도 다 여러분에게 보수로지급 될 겁니다. 정해진 1년 스 케쥴 외에 갑자기 생기는 관제행사, 연주안합니다.
시장 아들이, 딸이, 사위가, 조카가 연주회 여는데 협연해라? 말도 못 꺼내게 할 겁 니다. 우리는 우리의 정해진 스케쥴로 뚜벅뚜벅 앞만 향해서 갑니다.
강마에...그리고 무엇보다.....여러분을 창피하게 만들지 않겠습니다. 우리가 연주할 음악 앞에, 작곡가 앞에, 관객들 앞에, 여러분이 당당히 나서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의 음 악을 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이 힘든 세상의 작은 위로라도 받을 수 있게 하겠습 니다.
못하겠다는 말을 반복하며 거부의 의사표시를 하고 있으며 (반복 하기 전략) 음악을 해야 하는 상황을 예로 들면서 뚜벅뚜벅 앞만 향해서 간다는 말로 비유 하고 있다. (비유 전략)
3.4 체면의 원리
체면 깎기
강마에(그러다 꼿꼿한 척, 비죽 미소로 쳐다보며).....웃어도 됩니다.
용기/희연.....?
강마에맨날 구박만 하던 사람 쥐어박을 기회가 생겼는데 뭘 그리 참으십니까. 춤이라도 추세요.
희연(아이구야....한숨..)
용기(저 사람이 진짜....어이 없어 보다가)...선생님 친구 없죠? 왕따죠?
강마에인생은 어차피 혼자 사는 겁니다. 친구는 환상이죠.
용기(참듯 고개 돌리며 군시렁) 아우~ 저 따구루 하시니까 개나 끼구 살지....
강마에(미소 띄고는 있지만 미묘하게 흔들리는...)
희연(그러지 말라는 듯 툭 용기치고, 강마에 향해 좋게)...선생님, 저희는 항의라기보다 그 뭐냐, 중재, 그거거든요? 공연해야 되잖아요. 통 크게 딱 한번만 사과를...
강마에(O.L) 제가 사과할 께 뭐가 있죠?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고, 똥은 똥 아닙니까. (희연 긁듯 비죽 웃으며) 아, 그냥 똥이 아니라 똥덩어리던가요?
용기는 왕따라는 말로 강마에의 체면을 깎고 있다. 허나 강마에는 어차피 인생은 혼자사는 것이라면서 무시하고 있다. 희연은 강마에를 회유하려고 하나 희연의 말을 무시하면서 똥덩어리라는 말로 희연의 체면을 깎고 있다.
종진(답답한 듯) 선생님 말투가요, 워낙~~(하는데)
강마에말투요? (종이 들어 보이며) 그럼 이건 결국 요약하면 이 소리네요. “선생님, 말투 좀 고쳐주세요”
말투를 꼬투리 잡아 강마에에게 반박하려는 종진의 말을 강마에는 무시하고 말투가 문제가 되어 단원들이 요구를 정리하면 말투나 고치라는 말이라며 종진의 체면을 깎고 있다.
이 텍스트의 분석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르 :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
등장 인물 : 강마에, 루미, 용기, 희연, 갑용, 이든, 건우, 중진, 악장, 주연, 주희, 혁권
상황 :
전체적으로 강마에의 사과 문제를 놓고 인물들이 대립을 보이고 있다. 루미는 이든과 갑용에게 강마에에게 왜 그렇게 했는지 추궁하고 이든은 강마에 탓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S#19에서는 악장이 용기와 희연, 강마에가 만나도록 주선한다. 용기는 비속어로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면서 강마에를 압박하고 희연은 계속 사과하라는 말을 한다. 루미는 강마에를 만나서 용기와 희연을 만나면서 생긴 일에 대해 묻고 강마에는 용기와 희연의 의견을 듣고 사과를 해야 겠다는 마음을 굳혔다고 말한다. 사과하는 날 모두의 바람과 같이 사과가 이루어지는 듯 했으나 못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로 강마에는 말을 하고 다른 조건을 들어 단원들을 설득시킨다.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서로가 서로의 입장차로 공격과 방어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마무리는 그 선택을 하지 않음으로써 마무리되는 모습을 보인다.
화용의 특징 :
루미가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갑용이나 강마에와 대화할 때는 존댓말을 쓰고 있으나 어린 이든에게는 반말을 쓰고 있다.
악장, 희연, 강마에, 용기는 서로 존댓말을 쓰고 있으나 그 어휘가 존대하는 상황에서는 쓸 수 없는 것들이다.
화용 전략 :
루미는 이든과 갑용에 대해 강경한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고 이든은 강온 교대 전략을 갑용은 유화적인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와 용기, 희연은 대개 존대하는 말을 쓰고 있으나 용기는 반말을 사용하고 또한 비속어와 욕설로 상대를 모욕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희연은 강온 교대 전략과 설득하기, 비판하기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와 루미는 상호 친밀한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로 유화적인 태도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강마에는 장소에 따라 다른 전략을 택하고 있다. 루미, 용기, 건우, 희연과 사적으로 만날 때는 주로 해요체를 쓴다. 또 연습실과 같이 공적인 장소에서는 하십시오체를 주로 사용하며 두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주어와 서술어가 도치된 언어와 반복, 강조, 비유하는 언어전략을 채택해 자신의 상황을 변호하고 있다.
기타 : 이 텍스트는 무엇보다도 말과 행동의 실사 구현을 전제로 쓰여졌다. 구어적 요소가 강하기에 맞춤법에는 벗어난 단어들도 많아 실제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또 행동을 통해서도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말과 행동을 관련 지어서 발화 전략이 어떤 것이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4. 맺음말
‘베토벤 바이러스 ’의 드라마 대본 일부분을 인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드라마 대본에서 나오는 상황이 실제 상황과 비슷하기에 분석하는 데 있어서 매우 흥미로웠다. 행동을 나타내는 지문들로도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지만 대사를 중심으로 상황 맥락이나 화청자의 관계나 대화 전략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전체 대본을 살펴 보아도 좋았겠지만 분량이 많은 관계로 다 볼 수 없어서 아쉬었다. 그러나 주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꼼꼼하게 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박영순,「한국어화용론」, 박이정, 2007.
베토벤 바이러스 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drama/thoven/
*목차
분석한 텍스트 : 「베토벤 바이러스」 9회 중 일부분
1. 머리말
2. 화용의 구성 요소
2.1 텍스트 소개
2.2 화자와 청자
2.3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2.4 상황
3. 화용의 원리
3.1 화용 통사론적 분석
3.2 화용 담화적 분석
3.3 대화 전략의 원리
3.4 체면의 원리
4. 맺음말
5. 참고 문헌 및 사이트
키워드
추천자료
의미생성과 의미고정에 관한 시론
구술문학과 기호학
[한국어의 문장구조] 종결어미 '-는데'의 의미
화시소, 함축의미, 전제의미 및 화행이론과 영어교육에의 시사점
뉴 미디어시대 연극 커뮤니케이션과 연극공간 기능의 통합적 시각
[국어 교육론] 언어지도의 위상과 국어지식영역의 목표와 내용
사회방언 중 통신언어에 관한 조사
[언어장애][언어장애치료][언어장애인]언어장애의 정의, 언어장애의 원인과 언어장애의 분류 ...
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
[중세국어] 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
읽기 지도의 개념과 방법
사회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