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속근로년수의 의미
2. 대법원의 견해
3. 근로하지 않은 기간과 계속근로년수
4. 계속근로기간에 대한 행정해석의 문제점
2. 대법원의 견해
3. 근로하지 않은 기간과 계속근로년수
4. 계속근로기간에 대한 행정해석의 문제점
본문내용
에서 퇴직금은 계속근로년수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하고 판례에 의해 계속근로년수란 근로관계가 실질적으로 유지된 기간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는바, 노동부 스스로도 방학기간을 근로계약기간만 단절되었을 뿐 근로관계까지 단절된 것으로 보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방학기간을 계속근로년수에서 제외하도록 하는 당사자간 특약은 근로기준법이 정한 최저기준(계속근로년수)에 위반하여 무효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5) 근로제공 중단과 계속근로기간에 불산입의 문제
방학기간에는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하므로 계속근로기간에서 제외된다는 논리 역시 위에서 본 휴업기간, 결근기간, 전임기간 심지어 징계 정직기간조차도 근로관계가 유지되는 한 계속근로년수에 포함된다는 기존의 해석에 비추어 부당하다 할 것이다.
5) 근로제공 중단과 계속근로기간에 불산입의 문제
방학기간에는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하므로 계속근로기간에서 제외된다는 논리 역시 위에서 본 휴업기간, 결근기간, 전임기간 심지어 징계 정직기간조차도 근로관계가 유지되는 한 계속근로년수에 포함된다는 기존의 해석에 비추어 부당하다 할 것이다.
추천자료
조정권의 『선정묘지』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 REPORT
[산재보험][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독일 산재보험][미국 산업재해보상보험][산업재해][산재...
최저 임금제도의 내용 및 실태와 문제점분석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근로 사례][비정규직노동 사례]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
[노인][고령자][고령화][노인복지]노인(고령자), 고령화의 정의, 범위, 특징과 노인(고령자),...
[근로자복지][근로자복지 관련 제도][근로자 생활기반 안정][삶의 질 향상 대책]근로자복지 ...
[지식근로자][신지식인]지식근로자(신지식인)의 개념과 필요성, 지식근로자(신지식인)육성을 ...
평균임금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산정방법
[기업연금] 퇴직연금제도의 설계와 운영방안
현행 사회보험 보험료 산정 및 징수 규정의 문제점
[사회복지정책론]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에 관해서
[★PPT★]국민國民기초생활보장제도의 모든 것,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문제점, 국민기초생활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