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한 걸음 다가서기' 책 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요약

1부 우리가 생각하는 북한은 지구상에 없다
1. ‘한국:조선’ 그리고 ‘남조선:북한’
2. 지역 자립 체제, 한국전이 남긴 심리적 자폐 중후군
3. 계층 구조, 한국전이 남긴 계층 구조의 돌연변이
4. 주체 사상에 기초한 조직 생활
5. 북한 사회의 변화와 통일의 비전

2부 우리가 해야 하는 북한선교 우리가 하고 있는 북한 선교
1. 북한선교, 이래서 해야 한다
2. 북한선교, 이렇게 하고 있다
3. 북한선교, 이렇게 해야 한다

3부 탈북자, 21세기 북한선교의 화두
1. 탈북자 입국 현황과 정부의 지원 체계
2. 북한선교 전략으로서 탈북자들이 중요한 이유
3. 탈북자의 남한 적응 실태를 통해 본 북한 주민의 의식 구조
4. 탈북자 선교의 구체적 방안

본문내용

주민들의 냉대와 무관심에 괴로워 한다. 탈북자들은 이중성과 공격적이고 비판적이며 신경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특성은 봉건적 유교 사상이 강하다는 것이다. 탈북자들은 자신이 북한 사람인지 남한 사람인지에 대한 자기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는데 이는 남북한 관계가 좋지 않거나 남한 사람들이 자기들을 대하는 태도가 냉정할 때 자기 스스로 남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탈북자들이 남한 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고민을 함께 이해하며 해결해 줄 참다운 이웃이 필요하다.
4. 탈북자 선교의 구체적 방안 : 탈북자들은 대할 때 초라하다고 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멸시하고 냉대해선 안된다. 주님께서 우리를 조건없이 사랑하신 것처럼 인내를 가지고 종된 마음으로 그들을 섬겨야 한다. 탈북자들이 교회에 나오면 많은 성도들이 관심을 가지지만 서둘러 복음을 전하려고 하면 안된다. 남한 사람들은 탈북자들을 만나게 되면 성격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쉽지 않지만 넓은 마음으로 포용하고 삶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 또한 그들과 만날 기회를 갖고 다양한 방법으로 양육하며 그들을 가르치려 하지 말고 배우려고 해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