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독상담이론 >
Ⅰ. 권면적 상담
1. 권면적 상담 서론
2. 권면적 상담의 개념
3. 권면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4. 권면적 상담 평가
Ⅱ. 성경적 상담
1. 성경적 상담 서론
2. 성경적 상담의 주요개념 및 전제
3. 성경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4. 성경적 상담 평가
Ⅰ. 권면적 상담
1. 권면적 상담 서론
2. 권면적 상담의 개념
3. 권면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4. 권면적 상담 평가
Ⅱ. 성경적 상담
1. 성경적 상담 서론
2. 성경적 상담의 주요개념 및 전제
3. 성경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4. 성경적 상담 평가
본문내용
교회의 지도자들이 각 지체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관심을 적절하게 취급할 수 없 다는 점이다. 교회의 지도자가 모든 것을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 지교회의 모든 성도들 이 감당해야 한다.
b. 격려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
크렙은 교회가 서로 격려하는 공동체가 되는 일에 우선적인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크리스챤의 사명에 대하여 말하기를 크리스챤이라면 누구든지 그의 은사나 교육정도에 관계없이 ‘서로 격려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교회를 “격려하는 공동체”로 이해하고, 교회의 본질인 ‘코이노니아 공동체성’의 회복을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임무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성의 회복은 인본주의적 심리학 방법이 아니라 성경이 교훈하는 성경적 원리에 따라서 이루어져햐 한다.
(2) 목회사역에서의 적용
a. 성경적 상담자로서의 목회자
목회자는 상담에 대해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상담자로서의 목회자는 성경과 신학에 대한 이해가 분명해야 한다. 목회자는 교회의 코 이노니아성 회복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제도나 규범보다 지체로서의 관계회복을 먼저 도모해야 생명력 있는 교회의 본질을 분명히 할 수 있다.
b. 평신도를 통한 사역
크렙은 평신도들에게 격려를 통한 상담훈련을 강조하는데, 언어를 통한 격려의 훈련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4. 성경적 상담 평가
1. 장점
a. 성경과 심리학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b. 바른 교회론에서 상담이론을 출발시켰다.
c. 중요성과 안전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강조함으로 기독교적 세계관 정립을 시도하였다.
d. 상담 사역의 영역확장을 시도하였다. 목회자 + 평신도
e. 인간 감정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부정적 감정을 성경적 감정으로 바꾸어 주는 상담의 영역 확장을 시도했다.
2. 약점
a. 심리학을 전공한 평신도의 입장에서 성경적 상담이론과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성경의 해석상의 문제점이 있다. -성경보다는 심리학을 우위에 두는 혼합적 접근
b. 크렙은 퍼스낼리티(personality)의 구조를 의식적인 마음, 무의식적인 마음, 기본적인 방향, 의지, 정서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심리학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비록 그가 “인간은 나눌 수 없는 온전한 존재라고 분명하게 주장한다”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위의 설명이 매우 자상하고 길게 여러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인격을 나누고 있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b. 격려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
크렙은 교회가 서로 격려하는 공동체가 되는 일에 우선적인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크리스챤의 사명에 대하여 말하기를 크리스챤이라면 누구든지 그의 은사나 교육정도에 관계없이 ‘서로 격려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교회를 “격려하는 공동체”로 이해하고, 교회의 본질인 ‘코이노니아 공동체성’의 회복을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임무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성의 회복은 인본주의적 심리학 방법이 아니라 성경이 교훈하는 성경적 원리에 따라서 이루어져햐 한다.
(2) 목회사역에서의 적용
a. 성경적 상담자로서의 목회자
목회자는 상담에 대해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상담자로서의 목회자는 성경과 신학에 대한 이해가 분명해야 한다. 목회자는 교회의 코 이노니아성 회복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제도나 규범보다 지체로서의 관계회복을 먼저 도모해야 생명력 있는 교회의 본질을 분명히 할 수 있다.
b. 평신도를 통한 사역
크렙은 평신도들에게 격려를 통한 상담훈련을 강조하는데, 언어를 통한 격려의 훈련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4. 성경적 상담 평가
1. 장점
a. 성경과 심리학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b. 바른 교회론에서 상담이론을 출발시켰다.
c. 중요성과 안전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강조함으로 기독교적 세계관 정립을 시도하였다.
d. 상담 사역의 영역확장을 시도하였다. 목회자 + 평신도
e. 인간 감정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부정적 감정을 성경적 감정으로 바꾸어 주는 상담의 영역 확장을 시도했다.
2. 약점
a. 심리학을 전공한 평신도의 입장에서 성경적 상담이론과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성경의 해석상의 문제점이 있다. -성경보다는 심리학을 우위에 두는 혼합적 접근
b. 크렙은 퍼스낼리티(personality)의 구조를 의식적인 마음, 무의식적인 마음, 기본적인 방향, 의지, 정서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심리학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비록 그가 “인간은 나눌 수 없는 온전한 존재라고 분명하게 주장한다”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위의 설명이 매우 자상하고 길게 여러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인격을 나누고 있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