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갈등론적 교육관 발생의 배경
1) 갈등론적 사회관
2) 갈등론의 교육적 적용
Ⅱ 자본주의 체제의 교육실태(전개)
1. 자본주의 체제와 교육
1)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교육
2. 보울스와 진티스의 갈등론적 교육이론('경제적 재생산이론')
1)『자본주의와 학교교육』
2) 교육과 경제적 불평등
3) 대응원리
4) 경제적 재생산이론
5) 보울스, 진티스의 갈등주의 교육관
3. 보울스와 진티스의 갈등론적 교육이론 한계
1) 보울스, 진티스 이론의 한계와 비판점
Ⅲ 결론
1) 갈등론적 사회관
2) 갈등론의 교육적 적용
Ⅱ 자본주의 체제의 교육실태(전개)
1. 자본주의 체제와 교육
1)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교육
2. 보울스와 진티스의 갈등론적 교육이론('경제적 재생산이론')
1)『자본주의와 학교교육』
2) 교육과 경제적 불평등
3) 대응원리
4) 경제적 재생산이론
5) 보울스, 진티스의 갈등주의 교육관
3. 보울스와 진티스의 갈등론적 교육이론 한계
1) 보울스, 진티스 이론의 한계와 비판점
Ⅲ 결론
본문내용
화결손이론의 설명을 거부함으로써 학교가 무엇에 책임이 있는지를 명백히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학교의 문제를 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시되고 있다.
등의 갈등론적 교육론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Ⅲ 결론보울스, 진티스의 『자본주의와 학교교육』을 통해서 갈등론적 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사회학적 이론인 맑스의 '계급갈등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베베의 갈등론적 입장도 이들의 갈등론적 교육관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울스와 진티스는 사회구조의 이해와 이에 교육을 적용하고 있는 예로써 그들의 저작『자본주의와 학교교육』으로써 훌륭하게 갈등론적 교육이론을 표현해내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갈등, 자본주의의 질서체제의 모순, 교육이 사회구조와의 관계를 맺고 있는 구도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잘 정리하고 있다. 그들의 주요 이론인 '경제적 재생산이론'은 사회의 구조는 물질적인 경제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논리로 전개하고 있으며 이 저작의 대표적인 내용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구조의 변혁을 위하여 교육이 앞장서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육개혁의 방향을 탐지하고 나름의 방법으로 사회구조의 변화를 교육과 관련하여 혁명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보울스와 진티스의 결론으로 제시하는 부분 중에서 필자 개인적으로 수용의 가치가 높고 현실적용의 가능성이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한 부분은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부분이었다. 보울스, 진티스는 이 부분에 관해서는 아주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갈등이론의 후발주자로 나선 저항이론가 H.지루의 견해에서 아주 강력하게 언급되고 있다. 지루의 교육론에 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교육은 인간의 진보와 변화에 기본바탕이 되는 것이며, 교사는 변혁적인 지성인으로서 학생들에게 민주적인 투쟁의 방법을 가르치면서 스스로 투쟁에 참여하는 적극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지루는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로 인하여 사회의 변혁을 추구하는데 학교의 그 역할이 지니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필자 역시 교사를 지망하는 한 사람으로서 지루의 견해에 동의하며 이러한 주장이 우리사회의 변화에 힘이 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을 갖는다. 사회의 구조에 따라 변하는 교육의 모습이 아닌 사회의 모순에 저항하고 본연의 가치를 충실히 전달하고 내면화시키는 학교교육이 피어나기를 바라면서 갈등론적 교육론 보고서『자본주의와 학교교육』을 정리한다.
※참고문헌 - S. Bowles &H. Gintis,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1976) 보울스& 진티스, 『자본주의와 학교교육』번역; 이규환 외 (1986, 사계절)- 이종각, 『교육사회학총론』(2003, 동문사)- H.지루, 『교사는 지성인이다』번역; 이경숙 (2001, 아침이슬)- H.지루,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번역; 성기완 (2001, 아침이슬)- A.기든스,『현대사회학』번역; 김미숙 외(2003-3판, 을유문화사)- P.프레이리, 『프레이리의 교사론』번역; 교육문화연구회 (2001, 아침이슬)- J.터너 외, 『사회학 이론의 형성』번역; 김문조 외 (2003, 일신사)- 조화섭, 『교육학 下』(2003, 한국교육문화원)- M.애플, 『교육과 이데올로기』-「4장 교육과정의 역사와 사회통제」(1985, 한길사)- 최장집,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1989, 까치)- 조석래, 『베버의 사회학』-「사회계층분석」(2003, 사회학2 발제문)- 최재훈, 『베버의 사상적 기원과 배경』-「막스 베버 사회학의 기원」(2003, 사회학2 발제문)- COPYRIGHT (C)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9-2002
등의 갈등론적 교육론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Ⅲ 결론보울스, 진티스의 『자본주의와 학교교육』을 통해서 갈등론적 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사회학적 이론인 맑스의 '계급갈등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베베의 갈등론적 입장도 이들의 갈등론적 교육관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울스와 진티스는 사회구조의 이해와 이에 교육을 적용하고 있는 예로써 그들의 저작『자본주의와 학교교육』으로써 훌륭하게 갈등론적 교육이론을 표현해내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갈등, 자본주의의 질서체제의 모순, 교육이 사회구조와의 관계를 맺고 있는 구도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잘 정리하고 있다. 그들의 주요 이론인 '경제적 재생산이론'은 사회의 구조는 물질적인 경제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논리로 전개하고 있으며 이 저작의 대표적인 내용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평등한 사회구조의 변혁을 위하여 교육이 앞장서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육개혁의 방향을 탐지하고 나름의 방법으로 사회구조의 변화를 교육과 관련하여 혁명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보울스와 진티스의 결론으로 제시하는 부분 중에서 필자 개인적으로 수용의 가치가 높고 현실적용의 가능성이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한 부분은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부분이었다. 보울스, 진티스는 이 부분에 관해서는 아주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갈등이론의 후발주자로 나선 저항이론가 H.지루의 견해에서 아주 강력하게 언급되고 있다. 지루의 교육론에 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교육은 인간의 진보와 변화에 기본바탕이 되는 것이며, 교사는 변혁적인 지성인으로서 학생들에게 민주적인 투쟁의 방법을 가르치면서 스스로 투쟁에 참여하는 적극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지루는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로 인하여 사회의 변혁을 추구하는데 학교의 그 역할이 지니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필자 역시 교사를 지망하는 한 사람으로서 지루의 견해에 동의하며 이러한 주장이 우리사회의 변화에 힘이 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을 갖는다. 사회의 구조에 따라 변하는 교육의 모습이 아닌 사회의 모순에 저항하고 본연의 가치를 충실히 전달하고 내면화시키는 학교교육이 피어나기를 바라면서 갈등론적 교육론 보고서『자본주의와 학교교육』을 정리한다.
※참고문헌 - S. Bowles &H. Gintis,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1976) 보울스& 진티스, 『자본주의와 학교교육』번역; 이규환 외 (1986, 사계절)- 이종각, 『교육사회학총론』(2003, 동문사)- H.지루, 『교사는 지성인이다』번역; 이경숙 (2001, 아침이슬)- H.지루,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번역; 성기완 (2001, 아침이슬)- A.기든스,『현대사회학』번역; 김미숙 외(2003-3판, 을유문화사)- P.프레이리, 『프레이리의 교사론』번역; 교육문화연구회 (2001, 아침이슬)- J.터너 외, 『사회학 이론의 형성』번역; 김문조 외 (2003, 일신사)- 조화섭, 『교육학 下』(2003, 한국교육문화원)- M.애플, 『교육과 이데올로기』-「4장 교육과정의 역사와 사회통제」(1985, 한길사)- 최장집,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1989, 까치)- 조석래, 『베버의 사회학』-「사회계층분석」(2003, 사회학2 발제문)- 최재훈, 『베버의 사상적 기원과 배경』-「막스 베버 사회학의 기원」(2003, 사회학2 발제문)- COPYRIGHT (C)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9-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