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법상 표현대리에 대하여
Ⅰ. 관련 법규정
* 제 125조 [ 대리권 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
* 제 126조 [ 권한을 넘는 표현대리 ]
* 제 129조 [ 대리권소멸후의 표현대리 ]
Ⅱ. 개요
1. 表見代理制度의 趣旨
2. 表見代理의 意義
3. 表見代理의 類型
Ⅲ. 代理權 授與의 表示에 의한 表見代理(表示代理 : 제125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效果
4. 適用範圍
Ⅳ. 權限을 넘는 表見代理(越權代理 : 제126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效果
4. 適用範圍
5. 夫婦間의 日常家事代理權(제827조)과의 관계
Ⅴ. 代理權 消滅後의 表見代理(제129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효
4. 適用範圍
Ⅵ. 특수한 表見代理
1. 제126조와 제129조의 혼합
2. 제125조와 제126조의 혼합
Ⅶ. 無權代理와 表見代理의 關係
(1) 表見代理의 本質
(2) 무권대리 규정(제130 ~ 135조)의 적용여부
Ⅰ. 관련 법규정
* 제 125조 [ 대리권 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
* 제 126조 [ 권한을 넘는 표현대리 ]
* 제 129조 [ 대리권소멸후의 표현대리 ]
Ⅱ. 개요
1. 表見代理制度의 趣旨
2. 表見代理의 意義
3. 表見代理의 類型
Ⅲ. 代理權 授與의 表示에 의한 表見代理(表示代理 : 제125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效果
4. 適用範圍
Ⅳ. 權限을 넘는 表見代理(越權代理 : 제126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效果
4. 適用範圍
5. 夫婦間의 日常家事代理權(제827조)과의 관계
Ⅴ. 代理權 消滅後의 表見代理(제129조의 表見代理)
1. 意義
2. 要件.
3. 효
4. 適用範圍
Ⅵ. 특수한 表見代理
1. 제126조와 제129조의 혼합
2. 제125조와 제126조의 혼합
Ⅶ. 無權代理와 表見代理의 關係
(1) 表見代理의 本質
(2) 무권대리 규정(제130 ~ 135조)의 적용여부
본문내용
的 授權은 없으나 外部的 授權은 있는 경우요, 越權代理는 월권행위 부분에 대하여 내부적 수권은 없으나 [正當한 理由]에 의하여 외부적 수권이 인정되는 경우이며, 멸권대리는 내부적 수권은 소멸하였으나 외부적 수권은 소멸하지 않은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의 본인의 책임은 모두 본인의 외부적 수권에 기한 법률효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는 무권대리가 아니라 유권대리의 아종으로 보아야 한다고 한다.
(2) 무권대리 규정(제130 ~ 135조)의 적용여부
여러 설이 있으나 다수설은 제130 ~ 135조는 협의의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이라는 전제에 서면서 그러나 표현대리도 협의의 무권대리로서의 성질을 잃지 않고 있으므로 표현대리에 대해서도 협의의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며 다만 형평상 제135조만은 예외라고 한다.
(2) 무권대리 규정(제130 ~ 135조)의 적용여부
여러 설이 있으나 다수설은 제130 ~ 135조는 협의의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이라는 전제에 서면서 그러나 표현대리도 협의의 무권대리로서의 성질을 잃지 않고 있으므로 표현대리에 대해서도 협의의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며 다만 형평상 제135조만은 예외라고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리(대리인)에 관한 요약정리
(대리모 제도) 대리모 출산 및 계약에 따른 법적, 사회.윤리적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
대리운전자의 근로자성 여부
대리모에 관한 분석 보고서
광고와 성 표현
대리모 불임부부 가정에 희망이란 가면을 쓰다.
모든 개념을 표현하는 기호체계인 용어의 사용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
법률행위의 대리행위, 복대리 (공인중개사 요약정리)
민사소송법상 대리인의 개념과 소송상 대리인의 종류
대리이론과 모럴해저드
민사소송법상 임의대리인과 법정대리인의 차이점
대리인
유통경영 (컴퓨터 대리점, 전자상가, 가구대리점, 가구단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