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야심경의 내용을 여기 독후감에 적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어서 교수님께 정말 죄송하다는 말밖에는 할 말이 없다. 어쨌든 나는 이 반야심경을 읽으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바로 불교의 사상은 종교보다는 학문에 가깝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실 우리가 불교하면 불교신자들이 숭배하는 석가모니가 떠오르기 마련이다. 왜냐하면 석가모니로 인하여 불교라는 종교가 탄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교의 사상을 자세히 알고 나면 불교는 부처를 숭배하는 종교라기보다는 부처의 삶을 본받는 학문에 가깝다는 사실을 이 반야심경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사실 이 반야심경의 내용을 보면서 정말 인간의 도리로서는 본받을 만한 내용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하지만 이 반야심경의 내용이 결코 진리는 아니다는 생각도 하였다. 우리의 진리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고 진리의 말씀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말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이 반야심경이란 책을 통해서 불교의 세계에 대해서 더욱 잘 알게 되었고 우리가 아무렇게나 불교인들을 무시해서는 않 되겠고 우리는 크리스챤으로서 먼저 사랑과 선행으로 그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겠고 그것을 계기로 그들을 전도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 아닐까 생각된다.
추천자료
도교[道敎] 유교[儒敎] 불교[佛敎, Buddhism]
디지털시대의 청소년문화의 흐름과 불교의 역할
순관(純觀, suddha-vipassan )에 대하여 남방상좌불교 수행론
한국의 불교
중국과 불교 중간 고사 자료
[만해 한용운][님의 침묵]만해 한용운과 한용운의 시 및 님의 침묵 분석(한용운의 불교 사상,...
붓다, 부처, 부처님, 샤카무니의 생애와 불교 사상
원시불교의 사상
불교와인간 영화 감상문
생명과학과 불교윤리 -낙태문제와 불교적인식
[인도종교, 인도의 종교] 인도의 종교(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요가)
[무시선법][무시선][무시선법 성격]무시선법(무시선)의 성격, 무시선법(무시선)의 목적, 무시...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고구려의 불교와 회화, 가야의 토기)
유아교육 사상,유아교육 사상,조선시대의 유아교육,불교의 유아교육사상,유교의 유아교육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