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와인(포도주)의 종류
Ⅱ. 와인(포도주)의 제조법
Ⅲ. 와인(포도주)의 마시는 방법
1. 레드 와인
2. 화이트 와인
Ⅳ. 각 나라별 다양한 와인(포도주)
1. 이탈리아
2. 한국
3. 미국
4. 스페인
5. 독일
Ⅴ. 프랑스 와인(포도주)의 등급
1. 종류
2. 원산지 명칭
3. 임의 기재사항
Ⅵ. 그리스 와인(포도주)의 등급
1. O.P.A.P.
2. O.P.E
3. Topikos Inos(티피코스 아이노스)
4. Epitrapezios Inos(에피트라페지우스 아이노스)
참고문헌
Ⅱ. 와인(포도주)의 제조법
Ⅲ. 와인(포도주)의 마시는 방법
1. 레드 와인
2. 화이트 와인
Ⅳ. 각 나라별 다양한 와인(포도주)
1. 이탈리아
2. 한국
3. 미국
4. 스페인
5. 독일
Ⅴ. 프랑스 와인(포도주)의 등급
1. 종류
2. 원산지 명칭
3. 임의 기재사항
Ⅵ. 그리스 와인(포도주)의 등급
1. O.P.A.P.
2. O.P.E
3. Topikos Inos(티피코스 아이노스)
4. Epitrapezios Inos(에피트라페지우스 아이노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Sweet 와인들이다.
※ Mavrodafni of Kefalonia, Mavrodafni of Patra, Muscat of Kefalonia, Muscat of Limnos, Muscat of Rhodes, Muscat of Patra, Muscat of Rio of Patra, Muscat of Samos
- Reserve and Grande Reserve : OPAP와 OPE 포도주 생산자들은 2년간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통속에서, 또 6개월간은 병 속에서)와 3년간 숙성시킨 적포도주 (백포도주와 같이 상기한 최소한의 조건을 갖춘)에 대해서 Reserve란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Grand reserve는 3년 이상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1년간을 통속에서, 또 1년간은 병 속에서)와 4년을 숙성시킨 적포도주 (최소 2년간은 통속에서, 또 2년간을 병 속에서)에 대해서 쓸 수 있는 말이다.
3. Topikos Inos(티피코스 아이노스)
Topikos Inos(본고장 포도주)란 그리스 말로서 불어의 Vins de pays에 해당하는 말이다. 현재 139 가지의 원산지표기가 있다. 이 범주에 드는 것으로 Appellation by Tradition라는 특별표기가 있는데, 이에는 Retsina와 Verdea가 있다.
- Cava : Topikos Inos 등급의 와인중 2년간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통속에서, 또 6개월간은 병 속에서)와 3년간 숙성시킨 적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새로 만든 참나무 통 속에서, 또는 12~18개월간을 묵은 참나무통 속에서 지내고 또 18개월간을 병 속에서 지낸)에 대해서 Cava(대충 번역해서, cellared 지하저장소에서 숙성한다는 말로서, 그리스에서는 질적인 의미를 연상시키고 있다.)라는 용어를 쓸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4. Epitrapezios Inos(에피트라페지우스 아이노스)
Epitrapezios Inos (식탁용 포도주)란 말은 불어의 Vin de Table과 같은 말이다.
참고문헌
김기재 외 3명 -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세종서적
김종법, 이탈리아 포도주 이야기, 학민사, 2003
김혁 - 김혁의 프랑스 와인 명가를 찾아서, 세종서적, 2006
김혁 - 김혁의 프랑스 와인기행
윤철 - 와인한잔 그리고 멋진 요리, 효성출판사, 2000
이미현 외 4명 - 이탈리아 와인의 비밀, 미학사, 2007
※ Mavrodafni of Kefalonia, Mavrodafni of Patra, Muscat of Kefalonia, Muscat of Limnos, Muscat of Rhodes, Muscat of Patra, Muscat of Rio of Patra, Muscat of Samos
- Reserve and Grande Reserve : OPAP와 OPE 포도주 생산자들은 2년간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통속에서, 또 6개월간은 병 속에서)와 3년간 숙성시킨 적포도주 (백포도주와 같이 상기한 최소한의 조건을 갖춘)에 대해서 Reserve란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Grand reserve는 3년 이상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1년간을 통속에서, 또 1년간은 병 속에서)와 4년을 숙성시킨 적포도주 (최소 2년간은 통속에서, 또 2년간을 병 속에서)에 대해서 쓸 수 있는 말이다.
3. Topikos Inos(티피코스 아이노스)
Topikos Inos(본고장 포도주)란 그리스 말로서 불어의 Vins de pays에 해당하는 말이다. 현재 139 가지의 원산지표기가 있다. 이 범주에 드는 것으로 Appellation by Tradition라는 특별표기가 있는데, 이에는 Retsina와 Verdea가 있다.
- Cava : Topikos Inos 등급의 와인중 2년간 숙성시킨 백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통속에서, 또 6개월간은 병 속에서)와 3년간 숙성시킨 적포도주 (최소 6개월간은 새로 만든 참나무 통 속에서, 또는 12~18개월간을 묵은 참나무통 속에서 지내고 또 18개월간을 병 속에서 지낸)에 대해서 Cava(대충 번역해서, cellared 지하저장소에서 숙성한다는 말로서, 그리스에서는 질적인 의미를 연상시키고 있다.)라는 용어를 쓸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4. Epitrapezios Inos(에피트라페지우스 아이노스)
Epitrapezios Inos (식탁용 포도주)란 말은 불어의 Vin de Table과 같은 말이다.
참고문헌
김기재 외 3명 -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세종서적
김종법, 이탈리아 포도주 이야기, 학민사, 2003
김혁 - 김혁의 프랑스 와인 명가를 찾아서, 세종서적, 2006
김혁 - 김혁의 프랑스 와인기행
윤철 - 와인한잔 그리고 멋진 요리, 효성출판사, 2000
이미현 외 4명 - 이탈리아 와인의 비밀, 미학사,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