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조직풍토와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조직풍토와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조직풍토
2. 교육조직풍토를 구성하는 요인
3. 학교 조직풍토의 차원
4. 학교 조직풍토의 유형
5. 바람직한 교육조직의 풍토와 문화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내 자율장학의 한 방법에는 수업장학이 있다.
1) 수업장학의 정의
수업장학이란 학생들이 학습 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의 교수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학교내에서 스스로 지도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수업장학 담당자 설정
일반적으로 장학담당자로 교육감, 장학사, 교장, 교감이 되는 것이 관행이지만 이보다는 동료교사를 수업장학 담당자로 선정하여 이를 실행해보는 것이 보다 자율적이고 효과적인 장학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즉 동료교사들이 본인의 교수활동에 조언을 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조직풍토의 개선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보다 열린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3) 자율장학
기존의 획일적인 장학보다는 각 교사이 개성에 맞도록 개별적으로 선택 적용된 장학의 실천을 통하여 장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학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특히 동료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학년 단위나 교과 단위 또는 경험교사와 초임교사가 짝이 되어 동료 교사끼리 수행하는 장학형태는 상호간의 원활한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경직된 장학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동료장학을 수행할 경우 교장/교감은 지도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조언과 지원을 수행함으로써 교육조직 풍토에서 개방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확보해주는 바람직한 조직운영방안이라고 생각된다.
III. 결론
교육조직풍토는 교사의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교사의 업무 만족감이나 자율적인 업무참여를 유도하는데 있어 교사의 자아효능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사의 자아효능감은 업무가 어렵더라도 도전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보다 수용적이고 관용적이며, 모든 학생에게 주의를 기울리고 격려하며, 좋은 학습환경을 조성해주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따라서 조직풍토는 이러한 교사의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즉 교육조직의 풍토는 교사로하여금 학생들에 대한 교육의 열정을 불러일으킬수 있도록 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하며 이를 발전시켜 학교의 변화와 혁신까지 이르게 해야 할 것이다.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 조직풍토라고 한다. 이는 건강한 조직환경이 마련될 때 해당 조직의 교사는 보다 많은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문에서 제안한 자율장학을 실천한다면 교사 스스로 장학활동에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동료교사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마련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열린 조직풍토 조성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IV. 참고문헌
1. 김주희, 2010년, 유아교육기관 조직풍토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2. 김찬옥, 2011년, 학교조직풍토와 조직내 의사소통과의 관계 연구
3. 이명재, 2009년, 학교조직풍토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 가격5,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18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