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맹자 ‘성선설’의 특징
2. ‘성선설’의 인간규정의 문제
3. 나의 입장
<참고 문헌>
2. ‘성선설’의 인간규정의 문제
3. 나의 입장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세우고, 이기성과 쾌락추구 성향은 감추어야 했다. 그 결과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기적 욕구를 뒤에서 몰래 챙기도록 만든 것이다. 현재 사회에 만연한 이중성, 체면치레, 명분주의, 형식주의들은 다라고는 못하겠지만 맹자의 탓도 있는 것이다.
<참고 문헌>
맹자, 「公孫上丑」, 6장.
남기덕, “한국인의 이중성 그 진정한 실체는”, 사회과학연구, 강원대 사회과학연구소, 1999.
김영건, “맹자의 성선설은 타당한 논변인가”, 오늘의 동양사상,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1.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 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4.
정용환,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7.
<참고 문헌>
맹자, 「公孫上丑」, 6장.
남기덕, “한국인의 이중성 그 진정한 실체는”, 사회과학연구, 강원대 사회과학연구소, 1999.
김영건, “맹자의 성선설은 타당한 논변인가”, 오늘의 동양사상,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1.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 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4.
정용환,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동양철학연구, 동양철학연구회,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