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곽희의 산수화 창작 이론 - 구도법
1) 삼원법
2.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1) 금강산도 제작과정
- 신묘년풍악도첩
- 해악전신첩
- 금강전도
2) 금강산도 구도의 특징
3. 단원 김홍도의 ‘금강사군첩’ (모사본 60첩 금강사군첩을 중심으로)
1) 금강사군첩 제작과정
2) 傳 모사본 60첩 금강사군첩
3) 금강사군첩 구도의 특징
1) 삼원법
2.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1) 금강산도 제작과정
- 신묘년풍악도첩
- 해악전신첩
- 금강전도
2) 금강산도 구도의 특징
3. 단원 김홍도의 ‘금강사군첩’ (모사본 60첩 금강사군첩을 중심으로)
1) 금강사군첩 제작과정
2) 傳 모사본 60첩 금강사군첩
3) 금강사군첩 구도의 특징
본문내용
대각선구도는 주로 담(潭)과 연(淵)을 끼고 있는 산악지역의 구성방식에 적합하다.
<명연>[도판 24]을 살펴보면 전형적인 대각선구도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명연을 중심으로 뒤에 보이는 봉우리를 ‘V\'자 형으로 배치하고 있고, 명연 아래를 좌우로 산 모양으로 흐르게 하고 있어 시선을 중앙으로 유도하고 있다.
(4) 타원형구도
타원형구도는 경물을 타원형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짜임새 있고 넓은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타원형구도는 호수를 끼고 있는 지역이나 숲에 둘러 쌓여있는 사찰을 그릴 때 적합한 방식이다.
먼저 <삼일포>[도판 25]를 살펴보면 삼일포 호수를 타원형으로 구성하고 주위로 산을 배치하여 호수가 있는 지형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월정사>[도판 9]는 숲에 둘러 쌓여있는 사찰을 표현한 작품인데, 전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월정사를 부감법으로 처리하여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타원형구도로 사찰을 구성하고 있어 포근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또한 월정사 주위로 계곡이 감싸듯 흐르고 있고, 뒤로 보이는 산 아래로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보는 이의 시선을 보이지 않는 신선의 세계로 유도하는 듯하다.
<참고 단행본 목록>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서울: 일지사, 1993).
신영주, 『郭熙의 林泉高致』 (문자향, 2003).
정병모,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이다』, (서울다할미디어, 2001).
智順任,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1).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최완수,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범우사, 1993).
<참고 논문 목록>
김미자, “실경 산수화의 구도법 연구 -실경산수화와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김시현, “19세기 진경산수화연구 금강산도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박영학,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여백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3).
신미화 ,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이미지에 의한 색채 표현 : 본인 작업 분석과 함께.” (창원 대 대학원 학위논문, 2007).
이은숙,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표현기법과 예술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정선순, “겸재 진경산수화가 현대 산수화에 미친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정윤태,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10).
정은주,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최진우, “금강사군첩으로 본 단원 김홍도의 실경산수 구도와 시점 연구 : 모사본 60폭 금강사군첩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도판 목록>
[도판 1] 겸재 정선, ‘금강산내총도’, ‘피금정’, ‘단발령만금강산’, ‘장안사’, ‘불정대’, ‘백전교’, ‘옹천’, ‘해산정’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판 2] 겸재 정선, ‘화정연’ (견본담채, 25.132.2cm, 간송미술관 소장),
‘장자연’ (견본담채, 24.832.0cm, 간송미술관 소장),
‘피금정’ (견본담채, 24.932.1cm, 간송미술관 소장),
‘불정대’ (견본담채, 25.733.6cm, 간송미술관 소장),
‘해산정’ (견본담채, 25.433.5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3] 겸재 정선, ‘금강전도’ (지본수묵담채, 130.794.1cm, 국보 217호,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도판 4] 겸재 정선, 신묘년 풍악도첩 ‘총석정’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 장)
[도판 5] 겸재 정선, 해악전신첩 ‘총석정도’ (지본담채, 56.042.8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6] 겸재 정선, 신묘년 풍악도첩 ‘장안사’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 장)
[도판 7] 겸재 정선, 해악전신첩 ‘장안사비홍교’ (견본담채, 24.932.1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8] 겸재 정선, ‘비로봉도’ (지본수묵담채, 100.047.0cm, 개인소장)
[도판 9]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월정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0]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청심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1]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오대산 중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2]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대관령’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3]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경포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4]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장안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5]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명경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6]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삼불암’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7]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표훈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8]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구룡연’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9]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피금정’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0]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죽서루’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1]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구산서원’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2]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낙산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3] 겸재 정선, ‘박연폭포’ (수묵화, 지본수물, 52119.1cm, 개인소장)
[도판 24]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명연’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5]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삼일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명연>[도판 24]을 살펴보면 전형적인 대각선구도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명연을 중심으로 뒤에 보이는 봉우리를 ‘V\'자 형으로 배치하고 있고, 명연 아래를 좌우로 산 모양으로 흐르게 하고 있어 시선을 중앙으로 유도하고 있다.
(4) 타원형구도
타원형구도는 경물을 타원형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짜임새 있고 넓은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타원형구도는 호수를 끼고 있는 지역이나 숲에 둘러 쌓여있는 사찰을 그릴 때 적합한 방식이다.
먼저 <삼일포>[도판 25]를 살펴보면 삼일포 호수를 타원형으로 구성하고 주위로 산을 배치하여 호수가 있는 지형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월정사>[도판 9]는 숲에 둘러 쌓여있는 사찰을 표현한 작품인데, 전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월정사를 부감법으로 처리하여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타원형구도로 사찰을 구성하고 있어 포근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또한 월정사 주위로 계곡이 감싸듯 흐르고 있고, 뒤로 보이는 산 아래로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보는 이의 시선을 보이지 않는 신선의 세계로 유도하는 듯하다.
<참고 단행본 목록>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서울: 일지사, 1993).
신영주, 『郭熙의 林泉高致』 (문자향, 2003).
정병모,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이다』, (서울다할미디어, 2001).
智順任,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1).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최완수,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범우사, 1993).
<참고 논문 목록>
김미자, “실경 산수화의 구도법 연구 -실경산수화와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김시현, “19세기 진경산수화연구 금강산도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박영학,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여백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3).
신미화 ,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이미지에 의한 색채 표현 : 본인 작업 분석과 함께.” (창원 대 대학원 학위논문, 2007).
이은숙,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의 표현기법과 예술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정선순, “겸재 진경산수화가 현대 산수화에 미친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정윤태,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10).
정은주,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최진우, “금강사군첩으로 본 단원 김홍도의 실경산수 구도와 시점 연구 : 모사본 60폭 금강사군첩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도판 목록>
[도판 1] 겸재 정선, ‘금강산내총도’, ‘피금정’, ‘단발령만금강산’, ‘장안사’, ‘불정대’, ‘백전교’, ‘옹천’, ‘해산정’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판 2] 겸재 정선, ‘화정연’ (견본담채, 25.132.2cm, 간송미술관 소장),
‘장자연’ (견본담채, 24.832.0cm, 간송미술관 소장),
‘피금정’ (견본담채, 24.932.1cm, 간송미술관 소장),
‘불정대’ (견본담채, 25.733.6cm, 간송미술관 소장),
‘해산정’ (견본담채, 25.433.5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3] 겸재 정선, ‘금강전도’ (지본수묵담채, 130.794.1cm, 국보 217호,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도판 4] 겸재 정선, 신묘년 풍악도첩 ‘총석정’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 장)
[도판 5] 겸재 정선, 해악전신첩 ‘총석정도’ (지본담채, 56.042.8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6] 겸재 정선, 신묘년 풍악도첩 ‘장안사’ (견본담채, 36.0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 장)
[도판 7] 겸재 정선, 해악전신첩 ‘장안사비홍교’ (견본담채, 24.932.1cm, 간송미술관 소장)
[도판 8] 겸재 정선, ‘비로봉도’ (지본수묵담채, 100.047.0cm, 개인소장)
[도판 9]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월정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0]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청심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1]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오대산 중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2]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대관령’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3]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경포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4]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장안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5]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명경대’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6]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삼불암’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7]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표훈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8]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구룡연’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19]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피금정’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0]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죽서루’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1]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구산서원’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2]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낙산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3] 겸재 정선, ‘박연폭포’ (수묵화, 지본수물, 52119.1cm, 개인소장)
[도판 24]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명연’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도판 25] 단원 김홍도, 금강사군첩 ‘삼일포’ (1788, 견본담채, 3043.7cm, 개인소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