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음식 음식의세계] .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의 의미를 설명하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음식 음식의세계] . 교재 1장을 참고하여, 음식의 대표적 기능 3가지(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의 의미를 설명하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번 문제
1. 사회적 기능
2. 사회적 기능 활용 경험 사례 및 개선 방안
1) 경험 사례
2) 개선 방안
Ⅱ. 2번 문제
1. 납육
2. 식혜
3. 떡국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었다고 한다. 이때 떡국을 음복 음식이라고 불렀는데 음복이란 복을 먹는다는 의미이다. 즉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 후 가족이 모여 나누어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 떡국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가 먹는 떡국의 모습은 18세기와 19세기에 편찬된 문헌들에서 소개되고 있다. 『동국세사기』에서는 떡국의 색깔이 하얗다고 하여 백탕이라고 하거나 떡을 넣고 끓였다고 하여 병탕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병탕을 몇 사발 먹었느냐는 질문으로 상대방의 나이를 묻기도 했다고 한다. 이는 오늘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먹는다는 의미와 통용되는 모습이다.
새해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긴 가래떡과 관련이 있다. 설날은 모든 것이 새로 시작하는 날이다. 선조들은 새해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자 맑은 물에 하얀 떡을 넣어 떡국을 만들었다. 가래떡은 근엄함과 청결함을 상징하는 흰색이었고 이것을 먹으며 그동안 안 좋았던 일들이 모두 사라지고 앞으로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기원했다고 한다. 또한 가래떡처럼 오래오래 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다. 일각에서는 가래떡을 자르지 않고 길게 뽑아서 먹기도 했으며, 동그란 엽전 모양으로 썰어서 먹기도 했다. 이때 엽전 모양의 떡은 재물이 풍족해지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었다.
떡국은 대표적인 전통음식인 만큼 각 지방마다 만드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었다. 개성에서는 조랭이떡국을 만들어 먹었고 강원도에서는 만두떡국을 만들어먹었다. 충청북도에서는 미역생떡국, 충청남도에서는 구기자떡국을 만들어 먹었으며, 전라북도에서는 두부떡국을 만들고 전라남도에선 닭장떡국을 만들었다. 경상북도에서는 태양떡국을, 경상남도에서는 멸치떡국을 만들어 먹었다.
손정규의 『우리음식』에 소개된 떡국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흰떡을 어슷어슷하게 얇게 썰고 찬물에 씻어 놓는다. 이후 고기를 자근자근 다지고 파를 썰어 간장과 기름에 들들 볶다가 물을 넣어 국을 끓인다. 이후 떡을 넣어 끓인 다음 그릇에 담아 후춧가루를 뿌려 먹는다. 기호에 따라 달걀, 고기 산적, 김 등을 올려먹기도 한다.
참고문헌
- 김철원(2023).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박노훈. 겨울에는 찬 음식 먹어야 추위 이길 수 있다?. 헬스조선. 2011년 12월 20일자.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1121902794 (검색일: 2024.3.14.)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1.30
  • 저작시기202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3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