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신학의 차이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철학과 대립관계에 있는 신학

2. 참된 철학으로서의 신학

3. 초자연적 계시와 달리 “자연적 이성”으로 기능하는 철학

4. 이성적 보편성과 종교적 주관성

5. 종교적 표상을 철학적 개념으로 지양하기

본문내용

신학과 철학 사이의 변화무쌍한 관계사를 조직적인 의도를 갖고 접근하기 원한다면 양자의 관계가 어떤 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신학과 철학에 대한 어떤 전형적인 관계 설정이 그 관계의 역사에 실제적으로 등장했는지에 대해서 우선적인 몇 가지 점에서 심사숙고하는 게 좋을 것이다. 철학과 신학의 관계는 a) 상반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 b)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더 나아가서 c) 신학을 철학보다 우위에 두거나, 혹은 반대로 d) 철학을 신학보다 우위에 두었다. 이로써 네 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한 관계 설정이 주어졌다. 이것들은 곧 뒤에서 설명하게 되겠지만 철학과 신학의 관계사로부터 발생한 분명한 위치를 규정하게 된다. 물론 자세하게 고찰하게 되면 결국 이러한 형식상의 관계 설정은 최선의 경우에 미리 생각을 깊숙이 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며, 또한 철학과 신학의 관계가 그 역사에서 사실적으로 형태를 갖게된 그 방식의 복잡성에 직면해서 그 한계를 발견하게 된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그렇지만 이미 주어진 형식상의 관계 설정에 근거해서 이 실태를 파악해보는 일은 유용하다. 신학과 철학의 관계 설정에 대한 가장 전형적인 한계 가능성으로서는 이 관계 설정이 그 역사과정 가운데서 양자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의미가 있다.
1. 철학과 대립관계에 있는 신학
신학이 철학과 대치된다는 예를 들자면 교황 그레고리 7세의 고문관이며 그 당시 신학의 변증학자들의 절대자였던 추기경 페트루스 다미아니(Petrus Damiani, 1007-1071)였다. 하나님의 권능에 대한 그의 저서에서 다미아니는 민수기 21:10-13에 대한 알레고리칼 해석을 제시하면서 신학자들이 철학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가에 대해서 자기 생각을 표명했는데, 이 민수기의 내용은 일종의 고대 이스라엘 전쟁법의 일부로서 그들이 노예로 사로잡은 여자 포로들을 어떻게 다루었는가에 대한 확인이다. 우선 이스라엘 사람은 철학의 머리털을 밀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필요 없는 이론들을 없애버려야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손톱도 (이 손톱은 의심의 결과이다) 잘라내야 했다. 그리고 먼저 입었던 옷을 (이방인의 우화와 신화) 벗겨낸 다음에야 신부로 맞아들여야 했다. 이 여자는 그 주인의 여종으로 남아 있어야만 하며, 또한 여주인의 신앙을 뒤따라야만 한다. 이 부분에 대한 해석은 중세기에 철학을 “신학의 시녀”(ancilla theologiae)로 다루게 된 단초가 되었다. 그리고 이 양자의 관계 규정의 뒤바뀜은 임마누엘 칸트에 의해서 이런 해석과 여전히 관계된다. 철학은 여주인의 시녀로서 횃불을 높이 들어야 하지만 옷자락을 끌지는 않아야 한다고 그 유명한 비유를 제기했다.

키워드

철학,   신학,   차이점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24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