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동사와 형용사의 정의
1) 동사
2) 형용사
3) 용언
(2) 활용 형식에 따른 동사와 형용사 구분
1) 기본형 구분
2) 현재형 구분
3) 의도와 목적 구분
4) 명령형과 청유형 구분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동사와 형용사의 정의
1) 동사
2) 형용사
3) 용언
(2) 활용 형식에 따른 동사와 형용사 구분
1) 기본형 구분
2) 현재형 구분
3) 의도와 목적 구분
4) 명령형과 청유형 구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는 중이다가 가능해서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귀엽다 귀엽는, 귀엽고 있다, 귀엽는 중이다는 어색하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3) 의도와 목적 구분
의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려’나 목적을 나타내는 ‘-러’가 사용되면 동사이고 불가능하면 형용사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먹다 먹으려, 먹으러는 자연스럽기 때문에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슬프다 슬프려, 슬프러는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이해할 수 있다.
4) 명령형과 청유형 구분
명령어와 청유형을 사용할 수 있으면 동사이고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이다. 일어나다 일어나라, 일어나자로 각각 명령형과 청유형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아름답다 아름다워라, 아름답자는 실제 사용 측면에서 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을 알아보았다. 가장 대표적인 구별법은 글자 그대로 움직임과 상태이다. 움직임이 강조되면 동사이고 성질과 상태에 방점을 두면 형용사가 되는 것이다. 이 구별법으로 구분이 불가능하면 활용 형식에 따라서 하나씩 조건에 따라 구별해 볼 수 있다. 본 리포트를 통해서 동사와 형용사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 국어독서창고, 티스토리
https://keewoong25.tistory.com/1117
(2) 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동사와 형용사란 무엇인가, ratsgo’s blog
https://ratsgo.github.io/korean%20linguistics/2017/05/09/verb/
3) 의도와 목적 구분
의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려’나 목적을 나타내는 ‘-러’가 사용되면 동사이고 불가능하면 형용사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먹다 먹으려, 먹으러는 자연스럽기 때문에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슬프다 슬프려, 슬프러는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이해할 수 있다.
4) 명령형과 청유형 구분
명령어와 청유형을 사용할 수 있으면 동사이고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이다. 일어나다 일어나라, 일어나자로 각각 명령형과 청유형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아름답다 아름다워라, 아름답자는 실제 사용 측면에서 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을 알아보았다. 가장 대표적인 구별법은 글자 그대로 움직임과 상태이다. 움직임이 강조되면 동사이고 성질과 상태에 방점을 두면 형용사가 되는 것이다. 이 구별법으로 구분이 불가능하면 활용 형식에 따라서 하나씩 조건에 따라 구별해 볼 수 있다. 본 리포트를 통해서 동사와 형용사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 국어독서창고, 티스토리
https://keewoong25.tistory.com/1117
(2) 용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동사와 형용사란 무엇인가, ratsgo’s blog
https://ratsgo.github.io/korean%20linguistics/2017/05/09/verb/
추천자료
학교문법의 방향 및 교육방법 제시
「외래어+する」「외래어+하다」의 대응관계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종속절로 이어진문장과 부사절로 안긴문장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을 나열하고 설명해 보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을 나열하고 설명해 보시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다음 보기 중 하나의 문법 항목을 선택한 후 한국인을 대상...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에 대한 고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 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차이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품사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A+ 받은 과제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
소개글